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Thinary Electronic - ATmega328PB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개발 환경 구성

아래의 보드와,

New NodeMcu v3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기본 개발 환경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1595

함께 선물받은 것인데, 보드가 하도 작은 데다 별다른 문구도 없습니다. 윈도우에 연결하면 "New NodeMcu v3 아두이노 호환 보드의 기본 개발 환경 구성"에서 다룬 보드와 마찬가지로 다행히 장치 관리자에서 "USB-SERIAL CH340 (COM3)"라고 인식이 됩니다. 단서를 더 찾기 위해 chip 위에 있는 작은 글씨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적혀 있는데,

atmega328pb
-u 1743d (m/w) 
a4bujd

찾아 보면, 생김새는 아래의 제품과 그나마 비슷한 정도입니다.

미니 USB 나노 V3.0 ATmega328P CH340G 5 볼트 16 메터 마이크로 컨트롤러 보드 아두 이노 나노 328 마력 나노 3.0
; https://ko.aliexpress.com/item/MINI-USB-Nano-V3-0-ATmega328P-CH340G-5V-16M-Micro-controller-board/32699243759.html

그런데, 생김새와 달리 Arduino IDE의 "Tools" / "Board: ..." 메뉴에서 "Arduino Nano"로 선택을 하면 스케치의 업로드가 안 됩니다. 다행히 검색해 보면,

4.4. ATmega328PB support in the Arduino IDE
; https://www.pololu.com/docs/0J74/4.4

"ATmega328PB microcontroller" 컨트롤러가 Arduino Uno와 Pro Mini같은 것들에 사용되는 ATmega328P와 호환된다고 하는데, 그중에서 "Arduino Pro or Pro Mini"가 동작했습니다.

Build options changed, rebuilding all
Archiving built core (caching) in: %LOCALAPPDATA%\Temp\arduino_cache_946300\core\core_arduino_avr_pro_cpu_16MHzatmega328_6826da51d56b4f3f96be6dd90b83846d.a
Sketch uses 928 bytes (3%) of program storage space. Maximum is 30720 bytes.
Global variables use 9 bytes (0%) of dynamic memory, leaving 2039 bytes for local variables. Maximum is 2048 bytes.

반면 "Arduino/Genuino Uno"로는 업로드가 안 됩니다. 그래도 일단 "Pro Mini"에 호환하는 듯 하니, 그렇게 잡고 프로그램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건 그렇고, "Arduino Pro Mini"나 "New NodeMcu v3" 같은 제품을 라즈베리 파이 제로가 했던 것처럼,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4

USB 키보드나 마우스 장치로 만드는 것이 가능할까요? 미리 말하자면, 가능은 하지만 매우 불편하므로 그냥 USB 장치로써 인식을 지원하는 다른 아두이노 모델을 구매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가령 다음의 제품들은 USB 장치로써 인식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 Arduino Pro Micro
  • Arduino Leonardo

가격도 저렴하므로 여러분들의 귀한 시간을 충분히 만회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래도 USB 키보드 장치로 인식시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Arduino USB HID Keyboard
; http://mitchtech.net/arduino-usb-hid-keyboard/

위의 글은, Arduino UNO 장치를 키보드로 바꾸고 있는데 이를 위해 다음의 펌웨어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A fork of Darran's Arduino UNO Keyboard HID version 0.3.
; https://github.com/trusktr/arduino-lufa-keyboard

개인적인 의견으로, 여러분들의 정신 건강을 생각한다면 그냥 Pro Micro나 Leonardo 버전을 구매하실 것을 다시 한번 권장합니다. ^^

참고로 아두이노와 USB 장치로 검색해 보면 FTDI라는 부품이 나옵니다. 제가 전자 부품 쪽은 잘 몰라서 "정확한" 설명을 할 수는 없는데요. 일단 제 수준에서 설명한다면, 이것은 한마디로 USB-UART라는 장치로 USB 인터페이스를 갖지만 장치 자체는 Serial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더 쉽게 설명하면, FTDI 부품을 아두이노에 연결하면, 이제부터 아두이노를 PC에 USB 케이블로 연결할 수는 있지만 단지 직렬(Serial) 포트 통신을 하는 장치를 갖는 것과 같습니다.




반대로 Arduino에 키보드 장치를 연결하는 것은 그나마 표준적인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이때 USB 키보드보다는 PS/2 키보드를 쓰는 것이 더 쉽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고.

Arduino Playground - PS2Keyboard
; http://playground.arduino.cc/Main/PS2Keyboard

PaulStoffregen/PS2Keyboard 
; https://github.com/PaulStoffregen/PS2Keyboard

참고로, "Sketch" / "Include Library..." / "Manage Libraries..." 메뉴를 통해 Library Manager에서 ps2로 검색하면 다음의 항목이 나옵니다.

promini_keyboard.png

헷갈리지 마시라고 ^^ 말씀드리는 건데 위의 라이브러리들은 Arduino 장치를 키보드로 인식시켜 주는 것이 아니라 키보드를 Arduino에 연결했을 때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8정성태2/4/201278419.NET Framework: 300. C#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47]파일 다운로드1
1227정성태2/3/201229293.NET Framework: 299.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26정성태1/28/201270226.NET Framework: 298. 홀 펀칭(Hole Punching)을 이용한 Private IP 간 통신 - C# [15]파일 다운로드3
1225정성태1/24/201225881.NET Framework: 297. 특정 EXE 파일의 실행을 Internet Explorer처럼 "Protected Mode"로 실행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정성태1/21/201237379개발 환경 구성: 139. 아마존 EC2에 새로 추가된 "1년 무료 Windows 서버 인스턴스"가 있다는데, 직접 만들어 볼까요? ^^ [11]
1223정성태1/20/201227356.NET Framework: 296. 괜찮은 문자열 해시함수?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222정성태1/18/201235065.NET Framework: 295. 괜찮은 문자열 해시 함수? [4]파일 다운로드1
1221정성태1/17/201224104오류 유형: 147.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0x80005000)
1220정성태1/15/201224265.NET Framework: 294. Master web.config 파일을 수정하려면?파일 다운로드1
1219정성태1/15/201226623.NET Framework: 293. Microsoft PowerPoint 슬라이드를 HTML 파일로 ".files" 폴더 없이 저장하는 방법 (C#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18정성태1/15/201239187.NET Framework: 292.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공개키와 개인키 구분 [1]파일 다운로드2
1217정성태1/14/201241276.NET Framework: 291. .NET에서 WAV, MP3 파일 재생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6정성태1/14/201229974오류 유형: 146. Microsoft Visual C++ 재배포 패키지 - 설치 로그 남기는 방법 [1]
1215정성태1/9/201227529제니퍼 .NET: 20.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3) - '닷넷'이 문제일까? '닷넷 개발자'가 문제일까? [6]
1214정성태1/3/201224345제니퍼 .NET: 19. 제니퍼 닷넷 설치/제거 방법 - IIS
1213정성태12/31/201124318.NET Framework: 290. WCF -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212정성태12/31/201124415오류 유형: 145.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1211정성태12/31/201129192.NET Framework: 289. WindowsFormsHost를 사용하는 XBAP 응용 프로그램파일 다운로드1
1210정성태12/30/201148165.NET Framework: 288. FFmpeg.exe를 이용한 C# 동영상 인코더 예제 [9]파일 다운로드1
1209정성태12/29/201122825개발 환경 구성: 138. BizTalk 2006 설치 방법
1208정성태12/28/201145830.NET Framework: 287. Excel Sheet를 WinForm에서 사용하는 방법 [8]파일 다운로드2
1207정성태12/26/201125077.NET Framework: 286. x86/x64로 구분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206정성태12/25/201126092.NET Framework: 285.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3) - 텍스처 매핑 예제파일 다운로드1
1205정성태12/25/201131718.NET Framework: 284. Thread 개체의 Interrupt와 Abort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204정성태12/22/201125233.NET Framework: 283. MEF를 ASP.NET에 성능 손실 없이 적용하려면? [7]
1203정성태12/21/201125580제니퍼 .NET: 18. MEF가 적용된 ASP.NET 웹 사이트를 제니퍼 닷넷으로 모니터링 해본 결과! [6]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