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148. Windows - Raw Input의 Top level collection 의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67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Windows: 148. Windows - Raw Input의 Top level collection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1612

.NET Framework: 788. RawInput을 이용한 키보드/마우스 입력 모니터링
; https://www.sysnet.pe.kr/2/0/11615

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213

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 https://www.sysnet.pe.kr/2/0/12215

.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 https://www.sysnet.pe.kr/2/0/12216

.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18

.NET Framework: 917. C# - USB 관련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46

.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 https://www.sysnet.pe.kr/2/0/12469

.NET Framework: 1062. Windows Forms - 폼 내에서 발생하는 마우스 이벤트를 자식 컨트롤 영역에 상관없이 수신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60

개발 환경 구성: 607. 로컬의 USB 장치를 원격 머신에 제공하는 방법 - usbip-win
; https://www.sysnet.pe.kr/2/0/12858




Windows - Raw Input의 Top level collection 의미

오호~~~ 아래와 같은 질문이 있는데,

windows7 C# SetWindowHookex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27e36513-c0b6-4bb0-8525-5a4ce00fa7cf/windows7-c-setwindowhookex?forum=visualcsharpko

저도 처음 알았습니다. Windows 7에는,

Global hooks getting lost on Windows 7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alejacma/global-hooks-getting-lost-on-windows-7

다음의 제약이 있습니다.

On Windows 7 we have to make sure that the callback function of the hook can return in less than LowLevelHooksTimeout, which is 300 ms. And we allow for the application to be timed out 10 times when processing the hook callback message. If it times out an 11th time, Windows will unhook the application from the hook chain. This is a by design feature and it was added in Win7 RTM.


시나리오가 그려지는군요. ^^ SetWindowsHookEx을 마련해놨는데,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들이 그것의 구현을 잘못하게 되면 시스템의 키보드/마우스의 반응이 함께 느려지는 것입니다. 사용자들은, 어떤 응용 프로그램이 SetWindowsHookEx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 수 없으므로 결국에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결함으로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아마도... 이런 상황을 더는 두고 볼 수가 없었겠지요. 그래서 윈도우 운영체제가 HOOKPROC 콜백 함수를 호출했을 때 300ms 이상 지연되는 횟수가 11회까지 되면 해당 HOOK을 제거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SetWindowsHookEx보다는 Raw Input을 이용한 방법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 둘 간의 차이는 있습니다. SetWindowsHookEx는 키보드 입력 시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도 가능하지만, Raw Input 관련 기술의 경우 막는 것까지는 안 되고, 모니터링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어쨌든, 모니터링 정도만 원한다면 굳이 SetWindowsHookEx보다는 Raw Input을 사용하는 것은 좋은 의도로 보입니다.

Using Raw Input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desktop/inputdev/using-raw-input

그런데 위의 사용법에 보면 usUsagePage와 usUsage 속성에 넣는 값이 좀 낯섭니다.

RAWINPUTDEVICE Rid[2];
        
Rid[0].usUsagePage = 0x01; 
Rid[0].usUsage = 0x02; 
Rid[0].dwFlags = RIDEV_NOLEGACY;   // adds HID mouse and also ignores legacy mouse messages
Rid[0].hwndTarget = 0;

Rid[1].usUsagePage = 0x01; 
Rid[1].usUsage = 0x06; 
Rid[1].dwFlags = RIDEV_NOLEGACY;   // adds HID keyboard and also ignores legacy keyboard messages
Rid[1].hwndTarget = 0;

if (RegisterRawInputDevices(Rid, 2, sizeof(Rid[0])) == FALSE) {
    //registration failed. Call GetLastError for the cause of the error
}

관련 구조체의 도움말을 보면,

RAWINPUTDEVICE structu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user/ns-winuser-rawinputdevice

usUsagePage - Top level collection Usage page for the raw input device. 
usUsage - Top level collection Usage for the raw input device. 

* TLC(top level collection)

더 낯설어서 별로 도움이 안 됩니다. ^^ 어쨌든, 예제 코드를 통해 다음의 설정으로 정리가 됩니다.

HID mouse
    usUsagepage = 0x01
    usUsage = 0x02

HID keyboard
    usUsagepage = 0x01
    usUsage = 0x06

game pad
    usUsagepage = 0x01
    usUsage = 0x05

joystick
    usUsagepage = 0x01
    usUsage = 0x04

그런데, 보고 있자니 다음의 글이 생각납니다.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363

위의 글에서 HID 장치에 대한 Report Descriptors를 작성한 것이 나오는데요, 바로 여기에 USAGE_PAGE와 USAGE가 있습니다.

05, 01, USAGE_PAGE (Generic Desktop)
09, 06, USAGE (Keyboard)
a1, 01, COLLECTION (Application)
...[생략]...
C0      END_COLLECTION

05, 01  USAGE_PAGE (Generic Desktop)
09, 02  USAGE (Mouse)
a1, 01  COLLECTION (Application)
...[생략]...
C0      END_COLLECTION

아하... 그러니까 위에서도 키보드인 경우 USAGE_PAGE == 1, USAGE == 6을 지정했고 마우스인 경우 USAGE_PAGE는 같고 USAGE 값이 2입니다. 정확히 일치하는군요. 결국 저 값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문서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Top-Level Collec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hid/top-level-collections

Top-Level Collections Opened by Windows for System Us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hid/top-level-collections-opened-by-windows-for-system-us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80정성태3/7/201521679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26689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2878정성태2/28/201527579.NET Framework: 503. == 연산자보다는 Equals 메서드의 호출이 더 권장됩니다. [3]파일 다운로드1
2877정성태2/28/201521755.NET Framework: 502. 연산자 재정의(operator overloading)와 메서드 재정의(method overriding)의 다른 점 - 가상 함수 호출 여부 [3]파일 다운로드1
2876정성태2/27/201524218VS.NET IDE: 98. IntegraStudio - Visual Studio에서 Java 프로그램 개발
2875정성태2/26/201522837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2874정성태2/26/201519580디버깅 기술: 71. windbg + 닷넷 디버깅 (2) - null 체크 패턴
2873정성태2/25/201537076.NET Framework: 501. FtpWebRequest 타입을 이용해 FTP 파일 업로드 [4]파일 다운로드1
2872정성태2/25/201521245디버깅 기술: 70. windbg + 닷넷 디버깅 (1) - 배열 인덱스 사용 패턴
2871정성태2/24/201525208개발 환경 구성: 258.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1]
2870정성태2/24/201526350개발 환경 구성: 257.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방법
2869정성태2/23/201520315.NET Framework: 500. struct로 정의한 값 형식(Value Type)의 경우 Equals 재정의를 권장합니다.파일 다운로드1
2868정성태2/23/201524825VS.NET IDE: 97. Visual C++ 프로젝트 디버깅 시에 Step-Into(F11) 동작이 원치 않는 함수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방법 [2]
2867정성태2/23/201518541오류 유형: 273. File History - Failed to initiate user data backup (error 80070005)
2866정성태2/23/201520374오류 유형: 272. WAT080 : Failed to locate the Windows Azure SDK. Please make sure the Windows Azure SDK v2.1 is installed.
1868정성태2/20/201517676오류 유형: 271. The type '...' cannot be used as type parameter 'TContext' in the generic type or method 'System.ServiceModel.DomainServices.EntityFramework.LinqToEntitiesDomainService<T>
1866정성태2/20/201518596오류 유형: 270. "aspnet_regiis -i" 실행 시 0x00000006 오류 해결 방법
1865정성태2/20/201519891.NET Framework: 499. 특정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 이후부터 제공되는 타입을 사용해야 한다면?
1864정성태2/18/201524866.NET Framework: 498. C#으로 간단하게 만들어 본 ASCII Art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1862정성태2/18/201528708.NET Framework: 497. .NET Garbage Collection에 대한 정리 [6]
1861정성태2/18/201524061.NET Framework: 496. 마우스 커서가 놓인 지점의 문자열 얻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860정성태2/18/201523883.NET Framework: 495. CorElementType의 요소 값 설명파일 다운로드1
1859정성태2/17/201524296Windows: 106.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절전(Power Saver) 전원 모드로 돌아가는 경우
1858정성태2/16/201534266Windows: 105. 자동으로 로그아웃/잠김 화면 상태로 전환된다면? [2]
1857정성태2/16/201522283.NET Framework: 494. 값(struct) 형식의 제네릭(Generic) 타입이 박싱되는 경우의 메타데이터 토큰 값파일 다운로드1
1856정성태2/15/201521258.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