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77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67.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02

.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2

.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163

.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164

.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49

.NET Framework: 39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6) - MDbg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34

.NET Framework: 606.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43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

지난번 글에서 MSE(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콜 스택 덤프를 얻는 방법을 살펴봤었는데요. 그런데, 정작 그 소스 코드를 실행해 보면 실망하신 분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기존의 System.Diagnostics.StackTrace.ToString()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일단, MSE 소스 코드를 이용하면 스택 정보가 Microsoft.Mse.Library.FrameInfo 타입 안에 따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System.Diagnostics.StackTrace처럼 정보를 나타내려면 다음과 같은 구성이 필요합니다

CorDebugger debugger = new CorDebugger(txt);
using (ProcessInfo procInfo = new ProcessInfo(targetProcessId, debugger))
{
    procInfo.UpdateAllStackTraces(0);

    foreach (var info in procInfo.ThreadInfos)
    {
        Console.WriteLine("================");
        foreach (var frame in info.Value.FrameStack)
        {
            Console.Write("    at ");
            Console.Write(frame.FunctionFullName);
            Console.Write(" in ");
            Console.Write(frame.FunctionFileName);
            Console.Write(":line ");
            Console.WriteLine(frame.FunctionLineNumber);
        }
    }
}

그럼, 결과를 System.Diagnostics.StackTrace와 비교해 볼까요?

=== System.Diagnostics.StackTrace 출력 결과 ===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SafeFileHandle handle, Byte* bytes, Int32 numBytesToRead, Int32& numBytesRead, IntPtr mustBeZero)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Native(SafeFileHandle hFile, Byte[] bytes, Int32 offset, Int32 count, Int32 mustBeZero, Int32& errorCode)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Byte[] buffer, Int32 offset, Int32 count)
   at System.IO.StreamReader.ReadBuffer()
   at System.IO.StreamReader.ReadLine()
   at System.IO.TextReader.SyncTextReader.ReadLine()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Wait() in D:\...[생략]...\Program.cs:line 74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un(Object state) in D:\...[생략]...\Program.cs:line 60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Object obj)

=== MSE 출력 결과 ===
    at [Internal thisFrame, 'M-->U',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 in :line -1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Native in :line -1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 in :line -1
    at System.IO.StreamReader.ReadBuffer in :line -1
    at System.IO.StreamReader.ReadLine in :line -1
    at System.IO.TextReader.SyncTextReader.ReadLine in :line -1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Wait in Program.cs:line 75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un in Program.cs:line 61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 in :line -1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in :line -1

결정적으로, 해당 메서드의 Parameter 정보와 소스 코드 정보가 없습니다. 이번 글은, 이 2가지 정보를 알 수 있도록 MSE 소스 코드를 개선하는 것이 그 목적입니다. ^^




일단, 소스 코드 파일에 대한 정보를 맞추는 것은 간단합니다. 왜냐하면, MSE 소스 코드에서 단순히 FrameInfo에 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었는데도 웬일인지 누락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mseLibrary\FrameInfo.cs 파일의 생성자에서 소스 코드 파일의 전체 경로를 보관하는 변수만 하나 추가해 주면 됩니다.

string functionFileFullName;

public string FunctionFileFullName
{
    get { return functionFileFullName; }
}

internal FrameInfo(CorFrame frame, CorMetadataImport importer)
{
    ... [생략]...

    if (functionPos != null)
    {
        functionLineNumber = functionPos.Line;
        functionFileName = Path.GetFileName(functionPos.Path);
        functionFileFullName = functionPos.Path;
    }
    else
    {
        ResourceManager stackStrings = new ResourceManager(typeof(Resources));
        functionLineNumber = -1;//no line number available
        functionFileName = stackStrings.GetString("sourceUnavailable"); 
    }
}

이 결과를 반영해서 다시 예제 코드를 변경하고,

foreach (var info in procInfo.ThreadInfos)
{
    Console.WriteLine("================");
    foreach (var frame in info.Value.FrameStack)
    {
        Console.Write("    at ");
        Console.Write(frame.FunctionFullName);
        if (string.IsNullOrEmpty(frame.FunctionFileFullName) == false)
        {
            Console.Write(" in ");
            Console.Write(frame.FunctionFileFullName);
            Console.Write(":line ");
            Console.Write(frame.FunctionLineNumber);
        }
        Console.WriteLine();
    }
}

실행해 보면, 결과가 좀 더 근사해집니다. ^^

=== 소스 파일 정보를 포함한 MSE 출력 결과 ===
    at [Internal thisFrame, 'M-->U',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Native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
    at System.IO.StreamReader.ReadBuffer
    at System.IO.StreamReader.ReadLine
    at System.IO.TextReader.SyncTextReader.ReadLine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Wait in D:\...[생략]...\Program.cs:line 75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un in D:\...[생략]...\Program.cs:line 61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이제 남은 것은 'parameter 정보'군요. ^^




처음에 저는, parameter 정보를 받아오는 것이 매우 쉬울 거라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다음과 같이 Method에 대한 Metadata Token 값을 구할 수 있었고, 이어서 이를 기반으로 .NET Reflection에서의 MethodInfo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string functionArguments;

public string FunctionArguments
{
    get { return functionArguments; }
}


private SourcePosition GetMetaDataInfo(CorMetadataImport importer)
{
    ...[생략]...

    MethodInfo methodInfo = importer.GetMethodInfo(thisFrame.Function.Token);
    foreach (var parameterInfo in methodInfo.GetParameters())
    {
        sbParamInfo.Append(parameterInfo.ParameterType);
        sbParamInfo.Append(" ");
        sbParamInfo.Append(parameterInfo.Name);
        sbParamInfo.Append(", ");
    }

    functionArguments = sbParamInfo.ToString().TrimEnd(',', ' ');
    ...[생략]...
}

이를 반영해서 다음과 같이 예제 코드를 변경하고,

foreach (var info in procInfo.ThreadInfos)
{
    Console.WriteLine("================");
    foreach (var frame in info.Value.FrameStack)
    {
        Console.Write("    at ");
        Console.Write(frame.FunctionFullName);
        Console.Write(string.Format("({0})", frame.FunctionArguments));
        ...[생략]...
    }
}

실행해 보면, 결과는 예상과는 다르게 엉뚱한 출력을 보여줍니다.

=== 함수의 인자 정보를 포함한 MSE 출력 결과 ===
    at [Internal thisFrame, 'M-->U',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Native(Type: System.IO.__ConsoleStream hFile, Type: System.IO.__ConsoleStream bytes, Type: System.IO.__ConsoleStream offset, Type: System.IO.__ConsoleStream count, Type: System.IO.__ConsoleStream mustBeZero, Type: System.IO.__ConsoleStream errorCode)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Type: System.IO.__ConsoleStream buffer, Type: System.IO.__ConsoleStream offset, Type: System.IO.__ConsoleStream count)
    at System.IO.StreamReader.ReadBuffer()
    at System.IO.StreamReader.ReadLine()
    at System.IO.TextReader.SyncTextReader.ReadLine()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Wait() in D:\...[생략]...\Program.cs:line 75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un(Type: ConsoleApplication1.Program state) in D:\...[생략]...\Program.cs:line 61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Type: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Type: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callback, Type: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Type: System.Threading.ThreadHelper obj)

매개 변수의 '이름'은 정상적으로 출력된 반면, 타입이 잘못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만히 보면, 매개 변수의 타입이 아니라 해당 메서드를 소유하고 있는 타입의 이름을 출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디버깅을 이용하여 parameterInfo.MetadataToken 값을 읽어 보면 0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음... 재미있군요. 그래도 명색이 디버거의 기능인데 무언가 정보를 모두 가져오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ICorDebugger와 Reflection의 연동에 문제가 있을까 싶어서 이번에는 순수하게 CorApi에 있는 기능들로 구성을 해보았습니다.

int argIndex = 0;
foreach (var parameterInfo in methodInfo.GetParameters())
{
    try
    {
        GetFunctionClassPath(sbParamInfo, thisFrame.GetArgument(argIndex).ExactType);
    }
    catch { }

    sbParamInfo.Append(" ");
    sbParamInfo.Append(parameterInfo.Name);
    sbParamInfo.Append(", ");

    argIndex++;
}

실행해 보면, 이번에는 쪼끔(!)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함수의 인자 정보를 포함한 MSE 출력 결과 ===
    at [Internal thisFrame, 'M-->U',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Native( hFile,  bytes,  offset,  count,  mustBeZero, System.Int32& errorCode)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 buffer,  offset,  count)
    at System.IO.StreamReader.ReadBuffer()
    at System.IO.StreamReader.ReadLine()
    at System.IO.TextReader.SyncTextReader.ReadLine()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Wait() in D:\...[생략]...\Program.cs:line 75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un(System.Object state) in D:\...[생략]...\Program.cs:line 61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 executionContext,  callback,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obj)

하지만, 극히 일부 매개 변수의 타입만 정상적으로 보여줄 뿐 대단히 실망스러운 결과입니다. 매개변수를 가져오지 못하는 항목들을 만날 때마다 다음과 같은 예외 메시지를 볼 수 있었습니다.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was caught
  Message=An IL variable is not available at the current native IP.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304)
  Source=CorApi
  ErrorCode=-2146233596
  StackTrace:
       at Microsoft.Samples.Debugging.CorDebug.NativeApi.ICorDebugILFrame.GetArgument(UInt32 dwIndex, ICorDebugValue& ppValue)
       at Microsoft.Samples.Debugging.CorDebug.CorFrame.GetArgument(Int32 index) in D:\...[생략]...\Thread.cs:line 502
       at Microsoft.Mse.Library.FrameInfo.GetMetaDataInfo(CorMetadataImport importer) in D:\...[생략]...\FrameInfo.cs:line 309

이와 관련해서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오는데요.

ICorDebugILFrame->GetArgument() wierdness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n/netfxtoolsdev/thread/85f54cb7-38d1-42be-b430-d137745b9937

음... 결국 디버거 측에서 ICorDebugModule2::SetJitCompilerFlags 메서드를 이용하여 해당 닷넷 프로그램이 CORDEBUG_JIT_DISABLE_OPTIMIZATION 옵션이 설정된 체로 실행되어야만 ICorDebugILFrame.GetArgument 메서드가 정상 동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쉽군요. 다른 스레드의 콜 스택을 뜨기 위해서 미리부터 위의 로직을 실행시켜놓고 ICorDebug를 붙여놓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방법에 불과합니다.

고민이 되는 문제군요... 혹시 이를 우회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을까 생각을 좀 더 해보았습니다. 그러다가, 이번에는 다시 Reflection으로 돌아가서 완전한 Full Version을 사용하는 것으로 방향을 바꿔 보았습니다.

MethodInfo temporaryMethodInfo = importer.GetMethodInfo(thisFrame.Function.Token);
MethodInfo methodInfo = null;

string typeName = temporaryMethodInfo.DeclaringType.FullName;
string methodName = temporaryMethodInfo.Name;
int methodToken = temporaryMethodInfo.MetadataToken;

Assembly asm = Assembly.LoadFrom(moduleFullName);

Type typeTarget = typeTarget = asm.GetType(typeName, false, true);

MemberInfo[] memberInfos = null;

if (typeTarget != null)
{
    memberInfos = typeTarget.GetMember(methodName, BindingFlags.Public | BindingFlags.NonPublic | BindingFlags.Static | BindingFlags.Instance);
    foreach (var memberInfo in memberInfos)
    {
        MethodInfo targetInfo = memberInfo as MethodInfo;
        if (targetInfo == null)
        {
            continue;
        }

        if (targetInfo.MetadataToken == methodToken)
        {
            methodInfo = targetInfo;
        }
    }
}

if (methodInfo != null)
{
    foreach (var parameterInfo in methodInfo.GetParameters())
    {
        sbParamInfo.Append(parameterInfo.ParameterType);
        sbParamInfo.Append(" ");
        sbParamInfo.Append(parameterInfo.Name);
        sbParamInfo.Append(", ");
    }

    functionArguments = sbParamInfo.ToString().TrimEnd(',', ' ');
}

해당 Assembly까지 직접 Load 처리를 하니,,, 오호~~~ 이번에말로 제법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 Assembly.LoadFrom을 이용한 MSE 출력 결과 ===
    at [Internal thisFrame, 'M-->U',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FileNative(Microsoft.Win32.SafeHandles.SafeFileHandle hFile, System.Byte[] bytes, System.Int32 offset, System.Int32 count, System.Int32 mustBeZero, System.Int32& errorCode)
    at System.IO.__ConsoleStream.Read(System.Byte[] buffer, System.Int32 offset, System.Int32 count)
    at System.IO.StreamReader.ReadBuffer()
    at System.IO.StreamReader.ReadLine()
    at System.IO.TextReader.SyncTextReader.ReadLine()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Wait() in D:\...[생략]...\Program.cs:line 75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un(System.Object state) in D:\...[생략]...\Program.cs:line 61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callback, System.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System.Object obj)

목적은 달성할 수 있었지만, 아쉽게도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의해야 할 사항이 하나 있습니다. 만약 대상 프로그램이 ".NET Framework 2.0 응용 프로그램"이고, 위의 콜 스택을 뜨는 프로그램이 ".NET Framework 4.0 응용 프로그램"이라면 Assembly.Load로 올라오는 BCL 라이브러리의 버전이 상이해져서 CorDebug로부터 얻어오는 MetadataToken 정보가 달라지게 되어 정확한 타입 이름을 얻지 못하게 됩니다. 현재 (또는 기약이 없지만) MSE 소스 코드는 .NET 2.0에 대해서만 지원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때문에 덤프 뜨는 프로그램을 4가지 버전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 dumpx86clr2.exe
  • dumpx86clr4.exe
  • dumpx64clr2.exe
  • dumpx64clr4.exe

불편하겠지만, '범용적으로 사용하려면' 실행하기 전에 대상 응용 프로그램의 Target Platform 및 CLR 정보를 알아내서 적절한 버전의 dump[...].exe를 실행해 주어야 합니다.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74정성태8/22/201719373.NET Framework: 674. Thread 타입의 Suspend/Resume/Join 사용 관련 예외 처리
11273정성태8/22/201721633오류 유형: 415. 윈도우 업데이트 에러 Error 0x80070643
11272정성태8/21/201724791VS.NET IDE: 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7 버전 15.3.1 - C# 7.1 공개 [2]
11271정성태8/19/201719230VS.NET IDE: 119. Visual Studio 2017에서 .NET Core 2.0 프로젝트 환경 구성하는 방법
11270정성태8/17/201730713.NET Framework: 673.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2]
11269정성태8/17/201721486디버깅 기술: 93. windbg - 풀 덤프에서 .NET 스레드의 상태를 알아내는 방법
11268정성태8/14/201721057디버깅 기술: 92. windbg - C# Monitor Lock을 획득하고 있는 스레드 찾는 방법
11267정성태8/10/201725115.NET Framework: 672. 모노 개발 환경
11266정성태8/10/201724916.NET Framework: 671. C# 6.0 이상의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명령행에서 컴파일하는 방법
11265정성태8/10/201753170기타: 66. 도서: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1]
11264정성태8/9/201724083오류 유형: 414. UWP app을 signtool.exe로 서명 시 0x8007000b 오류 발생
11263정성태8/9/201719569오류 유형: 413. The C# project "..." is targeting ".NETFramework, Version=v4.0", which is not installed on this machine. [3]
11262정성태8/5/201718248오류 유형: 412. windbg - SOS does not support the current target architecture. [3]
11261정성태8/4/201720833디버깅 기술: 91.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강력한 이름의 어셈블리 추출 후 사용하는 방법
11260정성태8/3/201718935.NET Framework: 670. C# - 실행 파일로부터 공개키를 추출하는 방법
11259정성태8/2/201718172.NET Framework: 669.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를 sn.exe -Vr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11258정성태8/1/201718972.NET Framework: 668. 지연 서명된 DLL과 서명된 DLL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1257정성태7/31/201719162.NET Framework: 66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256정성태7/25/201720656디버깅 기술: 90. windbg의 lm 명령으로 보이지 않는 .NET 4.0 ClassLibrary를 명시적으로 로드하는 방법 [1]
11255정성태7/18/201723207디버깅 기술: 89. Win32 Debug CRT Heap Internals의 0xBAADF00D 표시 재현 [1]파일 다운로드3
11254정성태7/17/201719569개발 환경 구성: 322.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에뮬레이터를 "Android Studio"와 함께 쓰는 방법
11253정성태7/17/201719912Math: 21. "Coding the Matrix" 문제 2.5.1 풀이 [1]파일 다운로드1
11252정성태7/13/201718450오류 유형: 411. RTVS 또는 PTVS 실행 시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VisualStudio.InteractiveWindow.Shell.IVsInteractiveWindowFactory2'
11251정성태7/13/201717136디버깅 기술: 88.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2)
11250정성태7/13/201720697디버깅 기술: 87.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1]
11249정성태7/12/201718521오류 유형: 410. LoadLibrary("[...].dll") failed - 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