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74.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83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닷넷 COM+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Server Error in '/' Application.
--------------------------------------------------------------------------------

Failed to load the runtime.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700) 
Description: An unhandled exception occurr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web request. Please review the stack trace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error and where it originated in the code. 

Exception Details: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Failed to load the runtime.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700)

Source Error: 

An unhandled exception was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web request. Information regarding the origin and location of the exception can be identified using the exception stack trace below.  

Stack Trace: 

[COMException (0x80131700): Failed to load the runtime.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700)]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ThrowExceptionForHRInternal(Int32 errorCode, IntPtr errorInfo) +0
   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ThrowExceptionForHR(Int32 errorCode) +16
   System.EnterpriseServices.Thunk.Proxy.CoCreateObject(Type serverType, Boolean bQuerySCInfo, Boolean& bIsAnotherProcess, String& uri) +301
   System.EnterpriseServices.ServicedComponentProxyAttribute.CreateInstance(Type serverType) +195
   System.Runtime.Remoting.Activation.ActivationServices.IsCurrentContextOK(RuntimeType serverType, Object[] props, Boolean bNewObj) +85
   WebSiteTest.ComPlusServerTest.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in d:\WebSiteTest4\ComPlusServerTest.aspx.cs:115
   System.Web.UI.Control.OnLoad(EventArgs e) +104
   System.Web.UI.Control.LoadRecursive() +112
   System.Web.UI.Page.ProcessRequestMain(Boolean includeStagesBeforeAsyncPoint, Boolean includeStagesAfterAsyncPoint) +2213

--------------------------------------------------------------------------------
Version Information: Microsoft .NET Framework Version:4.0.30319; ASP.NET Version:4.7.2623.0 

만약 COM+가 "서버 활성화" 유형이고 해당 DLL이 CLR 2 기반으로 빌드된 것이라면 저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COM+의 dllhost.exe에서 DLL을 활성화시킬 때 DLL의 Target Framework 버전이 2.0 ~ 3.5라면 dllhost.exe 내에 .NET Framework 2.0 ~ 3.5에 해당하는 런타임을 올리려 할 것입니다. 문제는, 해당 운영체제에 .NET 3.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저런 식으로 "Failed to load the runtime" 예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문제의 원인을 알았으니 해결도 간단합니다.

그냥 .NET Framework 3.5를 설치하든가, 해당 COM+ DLL을 .NET Framework 4.0 이상의 버전으로 다시 빌드해 배포하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8/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8-19 07시44분
[지나갑니다.] 혹시 윈도우10 환경에서 닷넷 4.6 혹은 4.7만 설치되어있을 경우에도 위의 에러가 발생할 수 있을까요?
[guest]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66정성태2/12/200929711웹: 8. IE 8: 프로세스와 윈도우의 관계 - LCIE [1]파일 다운로드1
665정성태2/7/200926100웹: 7. Internet Explorer 8 - XHR, XDR, XST, XSRF [1]
664정성태2/5/200922083Windows: 42. Concurrency Runtime
663정성태2/5/200926669.NET Framework: 123. WPF - Arial Narrow 폰트 문제
662정성태2/3/200922259VS.NET IDE: 59. HyperAddin 도구 사용 설명 [1]
661정성태2/3/200925954오류 유형: 68. msxml6r.dll 설치 오류
660정성태2/3/200924667Windows: 41. UAC 보안 취약 [2]
659정성태2/2/200935960오류 유형: 67.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을 때.
658정성태2/1/200928116Team Foundation Server: 30. 소스 서버 보안
657정성태2/1/200931108Windows: 40. Q1 Ultra + Windows 7 베타
656정성태2/1/200932345디버깅 기술: 24. .NET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655정성태1/31/200928847Windows: 39. IE8 표준 모드 [4]
653정성태1/29/200923663.NET Framework: 122.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성능은 어떨까!파일 다운로드1
652정성태1/22/200924305.NET Framework: 121. WPF - PrintTicket provider failed to bind to printer.
651정성태1/20/200921927.NET Framework: 120. 타입이 다른 배열끼리의 변환
650정성태1/19/200933686COM 개체 관련: 21. C/C++ 프로젝트에 /clr 옵션 적용으로 인한 COM 개체 사용 오류
649정성태1/18/200931284Windows: 38. Q1U UMPC에 Windows 7 베타 설치하기
648정성태1/18/200929874Windows: 37. Windows PE를 USB 메모리에 적용
647정성태1/18/200940123Windows: 36. Windows PE ISO 이미지 만들기 [1]
646정성태1/18/200933084디버깅 기술: 23. COMPLUS_ZapDisable -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1]
645정성태1/11/200931715Windows: 35.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로딩 방법
644정성태1/11/200922786Windows: 34. VPC 설치 후기 [2]
643정성태1/10/200928138Windows: 33. Windows 7 베타와 VMA 충돌 [1]
642정성태1/8/200926837개발 환경 구성: 34. Sysinternals의 모든 툴을 한번에 업데이트 하는 방법 [1]
641정성태1/7/200923880기타: 27. D820 - A09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패치 [2]
640정성태1/4/200925623Team Foundation Server: 29.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 배포를 Team Build에 추가.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