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사물인터넷: 23. 가변저항으로 분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52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가변저항으로 분압

지난번에 소개한,

저항에 따른 전류 테스트
; https://www.sysnet.pe.kr/2/0/11649

10KΩ 가변 저항으로 다음과 같이 회로를 구성하면 분압이 됩니다. ^^

divide_volt.png

측정 저항값
검은색 측 저항: 909Ω
노란색 측 저항: 901Ω

위의 그림에서 가변저항에 연결된 선이 3개인데요, (중간을 제외한) 그중 하나는 9V 건전지로부터 연결되었고 (중간을 제외한) 다른 쪽엔 GND로 연결한 검은색 선이 있습니다.

이때 가변 저항의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모두 돌리면,

[GND - 전원 입력 간]
측정 전압: 9.09V
측정 전류: 10.08mA
계산 저항: V = IR, 9.09V = 10.08mA * x, 901.7857Ω

[측정 가변 저항]
빨간색 - 검은색: 10.41KΩ
빨간색 - 노란색: 2.8Ω

[부품 측정 전압]
검은색 측 저항의 전압: 0.783V
노란색 측 저항의 전압: 9.05V

중간 정도로 두면,

[GND - 전원 입력 간]
측정 전압: 9.23V
측정 전류: 1.51mA
계산 저항: V = IR, 9.23V = 1.51mA * x, 6112.5827Ω

[측정 가변 저항]
빨간색 - 검은색: 10.41KΩ
빨간색 - 노란색: 4.95KΩ

[부품 측정 전압]
검은색 측 저항의 전압: 0.223V
노란색 측 저항의 전압: 1.262V

시계 반대 방향의 끝으로 두면,

[GND - 전원 입력 간]
측정 전압: 9.19V
측정 전류: 0.83mA
계산 저항: V = IR, 9.19V = 0.83mA * x, 11072.2891Ω

[측정 가변 저항]
빨간색 - 검은색: 10.41KΩ
빨간색 - 노란색: 10.41KΩ

[부품 측정 전압]
검은색 측 저항의 전압: 0.413V
노란색 측 저항의 전압: 0.412V

결과를 보면, 가변 저항의 양 끝단에서는 원래의 가변 저항이 갖는 저항이 항상 걸리고 있는 반면 중앙의 노드로는 손잡이를 움직인 것에 비례해 저항이 바뀝니다. 따라서, 검은색 쪽으로는 굳이 저항을 달아 회로 보호를 할 필요는 없지만 노란색 쪽으로는 회로 보호를 위해 저항이 꼭 필요합니다.

또한, 노란색 쪽의 전압이 손잡이의 돌림 정도에 따라 일정하게 0 ~ [입력 전압] 범위에서 전압이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성질을 이용해 9V 전원이 있어도 가변 저항을 이용하면 4V, 5V, 6V와 같은 식의 전압으로 바꿔 회로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회로도 그림의 fzz 파일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8/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56정성태6/27/202410745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10152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9703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9902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12039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11199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11522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10031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11398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12763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10514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10224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11605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10427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9920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11284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3640정성태6/10/202411889Phone: 21. C# MAUI - Android 환경에서의 파일 다운로드(DownloadManager)
13639정성태6/8/202411132오류 유형: 906. C# MAUI - Android Emulator에서 "Waiting For Debugger"로 무한 대기
13638정성태6/8/202411327오류 유형: 905. C# MAUI - 추가한 layout XML 파일이 Resource.Layout 멤버로 나오지 않는 문제
13637정성태6/6/202410049Phone: 20. C# MAUI - 유튜브 동영상을 MediaElement로 재생하는 방법
13636정성태5/30/20249745닷넷: 2264. C# - 형식 인자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네릭 타입으로의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635정성태5/29/202411766Phone: 19. C# MAUI - 안드로이드 "Share" 대상으로 등록하는 방법
13634정성태5/24/202412531Phone: 18. C# MAUI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Activity 제어 [1]
13633정성태5/22/202411781스크립트: 64. 파이썬 - A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
13632정성태5/20/202410257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13631정성태5/19/202411489Phone: 16. C# MAUI - /Download 등의 공용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방법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