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사물인터넷: 23. 가변저항으로 분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70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가변저항으로 분압

지난번에 소개한,

저항에 따른 전류 테스트
; https://www.sysnet.pe.kr/2/0/11649

10KΩ 가변 저항으로 다음과 같이 회로를 구성하면 분압이 됩니다. ^^

divide_volt.png

측정 저항값
검은색 측 저항: 909Ω
노란색 측 저항: 901Ω

위의 그림에서 가변저항에 연결된 선이 3개인데요, (중간을 제외한) 그중 하나는 9V 건전지로부터 연결되었고 (중간을 제외한) 다른 쪽엔 GND로 연결한 검은색 선이 있습니다.

이때 가변 저항의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모두 돌리면,

[GND - 전원 입력 간]
측정 전압: 9.09V
측정 전류: 10.08mA
계산 저항: V = IR, 9.09V = 10.08mA * x, 901.7857Ω

[측정 가변 저항]
빨간색 - 검은색: 10.41KΩ
빨간색 - 노란색: 2.8Ω

[부품 측정 전압]
검은색 측 저항의 전압: 0.783V
노란색 측 저항의 전압: 9.05V

중간 정도로 두면,

[GND - 전원 입력 간]
측정 전압: 9.23V
측정 전류: 1.51mA
계산 저항: V = IR, 9.23V = 1.51mA * x, 6112.5827Ω

[측정 가변 저항]
빨간색 - 검은색: 10.41KΩ
빨간색 - 노란색: 4.95KΩ

[부품 측정 전압]
검은색 측 저항의 전압: 0.223V
노란색 측 저항의 전압: 1.262V

시계 반대 방향의 끝으로 두면,

[GND - 전원 입력 간]
측정 전압: 9.19V
측정 전류: 0.83mA
계산 저항: V = IR, 9.19V = 0.83mA * x, 11072.2891Ω

[측정 가변 저항]
빨간색 - 검은색: 10.41KΩ
빨간색 - 노란색: 10.41KΩ

[부품 측정 전압]
검은색 측 저항의 전압: 0.413V
노란색 측 저항의 전압: 0.412V

결과를 보면, 가변 저항의 양 끝단에서는 원래의 가변 저항이 갖는 저항이 항상 걸리고 있는 반면 중앙의 노드로는 손잡이를 움직인 것에 비례해 저항이 바뀝니다. 따라서, 검은색 쪽으로는 굳이 저항을 달아 회로 보호를 할 필요는 없지만 노란색 쪽으로는 회로 보호를 위해 저항이 꼭 필요합니다.

또한, 노란색 쪽의 전압이 손잡이의 돌림 정도에 따라 일정하게 0 ~ [입력 전압] 범위에서 전압이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성질을 이용해 9V 전원이 있어도 가변 저항을 이용하면 4V, 5V, 6V와 같은 식의 전압으로 바꿔 회로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회로도 그림의 fzz 파일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8/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527정성태8/30/200734817Team Foundation Server: 20. 잠긴 파일을 강제로 해제 [2]
526정성태8/29/200724400오류 유형: 46. VS.NET 2008 - ASP.NET 디버깅 : Strong name validation failed.
525정성태8/27/200726618VS.NET IDE: 54. VS.NET 2008 - 새롭게 도입되는 XSD Schema Designer
524정성태8/23/200744296오류 유형: 45. 요청한 작업은, 사용자가 매핑한 구역이 열려 있는...
523정성태8/16/200726803VS.NET IDE: 53. VS.NET 2008 - 서비스 참조 시 기존 데이터 컨테이너 DLL 사용
522정성태8/13/200730417VS.NET IDE: 52. VS.NET 2008 - WCF를 위한 디버깅 환경 개선
521정성태8/8/200730149.NET Framework: 92. XmlSerializer 생성자의 실행 속도를 올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520정성태8/7/200725563VS.NET IDE: 51. Visual Studio 2008 베타 2 설치
519정성태7/27/200732065오류 유형: 44.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2]
518정성태7/26/200733376오류 유형: 43. System.ComponentModel.LicenseException [1]
517정성태7/19/200721311개발 환경 구성: 26. VPC -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구동
516정성태7/19/200724505오류 유형: 42. TFS - Error loading menu: Index was outside the bounds of the array [2]
515정성태7/18/200732674오류 유형: 41. SSL 서버 자격 증명을 만드는 동안 심각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514정성태7/14/200725168Team Foundation Server: 19. Orcas에서 개선되는 TFS 기능들
513정성태7/4/200736458.NET Framework: 91. Foreground Thread / Background Thread [1]
512정성태6/27/200725518오류 유형: 40. error PRJ0050: Failed to register output.
511정성태6/25/200734052.NET Framework: 90. XmlSerializer 생성자의 실행 속도를 올리는 방법 [2]
510정성태6/25/200749427디버깅 기술: 15. First-Chance Exception
508정성태6/21/200732048Team Foundation Server: 18. Team Build에 사용되는 각종 Property 값 [4]
507정성태6/11/200729568VS.NET IDE: 50. Orcas - UAC 설정 관련
506정성태6/9/200724187오류 유형: 39. VC Package not available or not registered
505정성태6/9/200724057오류 유형: 38. Visual SourceSafe - DB 잠김 오류
504정성태6/9/200729314오류 유형: 37. Visual SourceSafe - Anaylze 도중 비정상 종료
503정성태6/7/200732076VS.NET IDE: 49. Orcas - VC++ 다중 소스 동시 컴파일 옵션: /MP
502정성태6/7/200726958VS.NET IDE: 48. Orcas - VC++ 프로젝트 마이그레이션
500정성태6/4/200736143VS.NET IDE: 47. Orcas - Web Browser Debugger를 이용한 보호 모드의 ActiveX 컨트롤 디버깅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