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사물인터넷: 32.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PN2222A 트랜지스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6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PN2222A 트랜지스터

드디어 ^^ "짜릿짜릿 전자회로 DIY (2판) 뜯고 태우고 맛보고, 몸으로 배우는" 책에서 다루고 있는 트랜지스터를 구입했습니다.

PN2222A
; https://www.eleparts.co.kr/goods/view?no=642947

Transistors Bipolar (BJT) NPN Gen Pur SW

(첨부 파일에 datasheet - pn2221-2222a-11964.pdf가 있습니다.)

[그림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2N2222]
pn2222a_1.jpg

C1815 트랜지스터의 경우 다리 모양이 ECB 순이어서 책의 내용을 실습하면서 좀 헷갈렸는데 이제는 실수할 여지가 줄었습니다. ^^

일단 트랜지스터에 대한 실습은 C1815를 다루면서 했기 때문에,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
; https://www.sysnet.pe.kr/2/0/11651

단지, 지난번 회로를 다음과 같이 바꿔주는 정도만 하면 됩니다. (참고로, 그새 9V 건전지가 닳아서 8.6V 만 나옵니다. ^^)

pn2222a_2.png

+/- 전체 회로 미동작: 8.69V
+/- 전체 회로 동작: 8.69V

GND - Base: 8.69V
GND - Collector: 8.69V
GND - Emitter: 7.97V
GND - LED(+)

GND - 100K 저항: 6.01V

따라서, LED는 7.97V - 6.01V = 1.96V
        Base - Emitter 구간은 8.69V - 7.97V = 0.72V

저항[Right] - LED[Left] 구간의 Emitter 전류: 0.04mA

Base가 Emitter보다 0.7V 정도 높아야 한다는 것과 일치합니다. 그렇다면 C1815 트랜지스터의 경우에는 0.5V 정도의 차이만 난다면 동작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전류의 경우 200:1의 증폭이라면,

200:1 = 0.04mA:x
200x = 0.04mA
x = 0.0002mA

베이스 입력 전류가 0.0002mA라는 것인데 제 계측기의 측정 범위를 벗어나므로 측정으로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대신 저항을 1K로 낮추고 Emitter 측의 전류를 측정하면 5.32mA가 나왔고 5.32 / 200 = 0.0266mA가 베이스 측에 측정되어야 하는데 (아마도 제 계측기의 정밀도가 0.1mA이므로) 정확하지 않게 0.01mA가 계측되었습니다.




재미 삼아서, 트랜지스터의 입력 중 컬렉터의 선을 제거하면 어떻게 될까요? 여전히 베이스 - 이미터 간 연결은 잘 됩니다. 게다가 마치 그냥 선을 연결한 것과 다름없이 동작합니다. 실제로 전류 값을 측정해도 다음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일합니다.

베이스 측의 입력 전류: 5.23mA
이미터 측의 출력 전류: 5.23mA

베이스 측의 전압: 8.62V
이미터 측의 전압: 7.90V (차이: 0.72V)

그러니까, 트랜지스터의 각 노드 간 연결을 정리해 보면 이렇습니다. (혹시 틀린 사항 있으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

베이스 - 이미터: 베이스가 이미터보다 0.7V 만 높으면 낮은 저항처럼 동작
                컬렉터에 전압이 있는 경우 베이스로부터의 유입되는 전류가 이미터 대비 200:1의 비율로 낮춰짐

컬렉터 - 이미터: 평상시에는 단선
                하지만 베이스에 전압이 이미터보다 0.7V 높게 들어오면 베이스 대신 이미터로 전류를 흘려보냄
                일단 스위치가 켜지면 이 구간의 내부 저항은 거의 0에 가깝게 됨.
                이미터 측의 전압은 베이스로부터 0.7V 낮은 전압 (컬렉터 측의 전압과는 무관)

그 외에 계측기로 각 EBC에 대해 탐침으로 저항을 측정해 보면,

[-] 탐침 B
    [+] 탐침 E - 23.80MΩ
    [+] 탐침 C - 14.47MΩ

[-] 탐침 C
    [+] 탐침 B - (측정 불가)
    [+] 탐침 E - (측정 불가)

[-] 탐침 E
    [+] 탐침 C - (측정 불가)
    [+] 탐침 B - (측정 불가)

C1815와 마찬가지로 Base에 대해서만 나타나고 저항값은 좀 더 낮은 정도입니다.

(첨부 파일에 이 글의 그림에 대한 fzz 파일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토글형 스위치 소개로 마무리하겠습니다. 제가 구매한 것은 2가지 제품이었는데, 우선 아래의 것은 "기판용"이라고 되어 있고 실제로 브레드보드의 홀에 맞습니다.

AT1D-2M3.jpg

AT1D-2M3 기판용 소형토글스위치
; https://www.eleparts.co.kr/goods/view?no=32411

만능기판에 사용가능한 소형토글스위치

ON-ON(OFF)
제조사: DECO
회로: SPDT
스위치 기능: ON-ON
정격전압-AC: 48V
정격전압-DC: 48V
정격전류: 0.4A
조명: 비조광
종단타입: PCB 스루홀
IP등급/Seal: Sealed
실장타입: 스루홀

(첨부 파일에 datasheet - AT1D.jpg가 있습니다.)

문제는, 핀의 길이가 3.3mm라고 되어 있는데 너무 짧아서 브레드보드에서 토글을 힘줘서 시키면 (매번) 부품이 빠져나와서 도저히 쓸 수가 없습니다. 반면 또 다른 토글 스위치로 구매했던 아래의 제품은,

CS12ANW03.jpg

CS12ANW03 - SWITCH, SLIDE, SPDT, 3A, 250V, TH
; https://www.eleparts.co.kr/goods/view?no=3043331

제조사: NKK SWITCHES
시리즈: CS
회로: SPDT
스위치 기능: On-On
액추에이터 타입: 표준
종단타입: PC 핀
실장타입: 스루홀

(첨부 파일에 datasheet - 1783590.pdf, 2039771.pdf가 있습니다.)

기판 용이 아니지만, 제법 힘을 주면 브레드보드에 들어갑니다. 그런데 브레드보드 용 핀의 규격이 아니기 때문에 적당한 자리 하나 찾아서 그냥 꼽아 놓고 쓰는 것이 좋을 정도입니다.

그러니까... 딱히 브레드보드 용으로 적합한 토글 스위치 제품을 찾지는 못했는데, 그나마 위의 2개 제품에서는 아래의 것이 더 나은 정도입니다. (혹시 알고 있는 제품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스위치
   극(Pole)의 수: 한 번의 스위치 동작을 통해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는 회로 수
   절환(Throw)의 수: 출력 가지 수
     SPST: 단극단투, ON/OFF 스위치로 가장 일반적
     SPDT: 단극쌍투, A 또는 B로 연결할 수 있는 있는 스위치
     DPST: 쌍극단투, SPST 스위치 2개가 동시에 움직이는 효과, 즉 2극을 한꺼번에 연결/끊는 경우
     DPDT: 쌍극쌍투, SPDT 스위치 2개를 합쳐 놓은 효과

택 스위치(Tactile Switch)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가장 흔한 스위치
  회로 방식은 대체적으로 1회로 1접점의 누르면 ON, 떼면 OFF 방식
  장점: MD가 가능하고 크기가 작으며 저렴
  단점: 다접점 방식 사용이 불가능하며 Locking 방식(한 번 누르면 On, 다시 한번 누르면 Off가 되는 방식) 지원이 되지 않음

푸시 스위치(Push Switch)
  PC의 전원과 같이 누름 방식의 스위치, 누르면 켜지는 타입/누르면 꺼지는 타입/Lock이 있는 타입 등
  장점: 같은 누름 방식의 택 스위치에 비해 접점 유지성이 좋음
  단점: 크기가 택 스위치에 비해 크고 SMD가 불가능

딥 스위치(DIP Switch)
  주로 통신기기나 마이크로컴퓨터 등에서 각종 설정을 위해 사용
  DIP형 IC 형태를 띄고 있으며, 각각의 비트마다 독립적인 ON/OFF 가능
  접점 용량이 작기 때문에 대전류용으로는 부적합
  종류: Slide, Piano type

로타리 스위치(Rotary Switch)
  다른 회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회전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일반적으로는 공통 단자가 1개 또는 2개가 있고 나머지 단자들과 순차적으로 접점을 형성하면서 돌아가게 됨
  판넬에 설치하여 순서적으로 전환하여 선택하는 용도로 사용
  감도의 전환이나 주파수의 선택 등 측정기에 사용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레버를 동작시켜 스위칭 작용을 하는 스위치
  다양한 종류의 부하 용량을 가짐
  주로 전원 연결용, 판넬 조작용 등으로 사용
  소형화 어려움

슬라이더 스위치(Slider Switch)
  토글 스위치와 동작은 같지만 밀어 움직이는 방식
  소형 기구의 전원 연결용으로 사용
  MP3의 hold 스위치처럼 아주 소형으로도 제작 가능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비교적 소형의 스위치로 아주 작은 힘에도 민감하게 작동
  주로 충돌이나 접촉을 감지하는데 사용

리드 스위치(Reed Switch)
  밀폐된 유리관 속에 자기에 의해 강하게 자화되는 성질을 지닌 강자성 물질의 리드가 한 쌍으로 구성
  미세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리드는 자석이 자기장 범위 내에 위치할 때 스위치가 ON
  회로의 구성이 필요 없는 비접촉
  세탁기, 냉장고 등 문 잠금 제어부, 도어 센서, 보안 시스템 등의 분야에 적용

채터링(바운스) 현상
  스위치를 작동하여 접점을 닫으려 하면 한 접점이 다른 접점을 향하여 움직임
  접점이 충돌을 하게 되는데 접점의 재료가 탄성체이므로 다시 튀어 오르기를 수 차례 반복하는 현상
  대략 20ms 정도를 반복하다가 완전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
  해결 방법: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램으로 1번 스위치가 닫히면 20ms 정도를 기다린 후 다시 체크
     하드웨어 - Flip-Flop을 이용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79정성태4/9/201811831.NET Framework: 735. Azure - PowerShell로 Access control(IAM)에 새로운 계정 만드는 방법
11478정성태11/8/201913043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
11477정성태4/8/201811610오류 유형: 460. windbg - sos 명령어 수행 시 c0000006 오류 발생
11476정성태4/8/201812613디버깅 기술: 114. windbg - !threads 출력 결과로부터 닷넷 관리 스레드(System.Threading.Thread) 객체를 구하는 방법
11475정성태3/28/201814246디버깅 기술: 11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11474정성태3/27/201812452오류 유형: 459. xperf: error: TEST.Event: Invalid flags. (0x3ec).
11473정성태3/22/201816347.NET Framework: 734.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2
11472정성태3/22/201812440개발 환경 구성: 356. GTX 1070, GTX 960, GT 640M의 cudaGetDeviceProperties 출력 결과
11471정성태3/20/201815058VC++: 125. CUDA로 작성한 RGB2RGBA 성능 [1]파일 다운로드1
11470정성태3/20/201816681오류 유형: 458. Visual Studio - CUDA 프로젝트 빌드 시 오류 C1189, expression must have a constant value
11469정성태3/19/201810526오류 유형: 457. error MSB3103: Invalid Resx file.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Windows.Forms, ...' or one of its dependencies.
11468정성태3/19/201810410오류 유형: 456.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0x80131401 예외 발생
11467정성태3/19/20189715오류 유형: 455. Visual Studio Installer - 업데이트 실패
11466정성태3/18/201811205개발 환경 구성: 355. 한 대의 PC에서 2개 이상의 DirectX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1463정성태3/15/201812906.NET Framework: 733. 스레드 간의 read/write 시에도 lock이 필요 없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1462정성태3/14/201814832개발 환경 구성: 354. HTTPS 호출에 대한 TLS 설정 확인하는 방법 [1]
11461정성태3/13/201817932오류 유형: 454.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1]
11460정성태3/13/201811464디버깅 기술: 11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법
11459정성태3/13/201811180오류 유형: 453. Debug Diagnostic Tool에서 mscordacwks.dll을 찾지 못하는 문제
11458정성태2/21/201812739오류 유형: 452. This share requires the obsolete SMB1 protocol, which is unsafe and could expose your system to attack. [1]
11457정성태2/17/201817583.NET Framework: 732. C# - Task.ContinueWith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1456정성태2/17/201822341.NET Framework: 731. C# - await을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455정성태2/17/201812695오류 유형: 451. ASP.NET Core -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compilation of a resource required to process this request.
11454정성태2/12/201821023기타: 71. 만료된 Office 제품 키를 변경하는 방법
11453정성태1/31/201812553오류 유형: 450. Azure Cloud Services(classic) 배포 시 "Certificate with thumbprint ... doesn't exist." 오류 발생
11452정성태1/31/201817914기타: 70. 재현 가능한 최소한의 예제 프로젝트란? [3]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