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에서 2.0 버전의 MSBuild를 구동하는 방법

왜 이런 환경이 필요하냐고요? 가끔 있습니다. 더 이상 묻지 마세요. ^^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 윈도우에서 MSBuild 2.0을 구동하는 방법이 생각보다 까다롭더군요. 잊어버리기 전에,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아서 간단하게 적어놓습니다.

일단, 생각나는 데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실행해 보았습니다.

SET FrameworkDir=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
SET MSBuildToolsPath=%FrameworkDir%

%MSBuildToolsPath%\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아쉽게도 ^^ 빌드 중간에 다음과 같은 오류 결과가 나오면서 실패하더군요.

Target GetFrameworkPaths:
    Could not locate the .NET Framework SDK. The task is looking for the path to the .NET Framework SDK at the location specified in the SDKInstallRootv2.0 value of the registry key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NETFramework. You may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by doing one of the following:
1.) Install the .NET Framework SDK.
2.) Manually set the above registry key to the correct location.


Target ResolveAssemblyReferences: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Microsoft.Common.targets : warning MSB3088: Could not read state file "obj\x86\Debug\ResolveAssemblyReference.cache". Unable to find assembly 'Microsoft.Build.Tasks.v4.0,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Primary reference "Microsoft.CSharp".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Microsoft.Common.targets : warning MSB3245: Could not resolve this reference. Could not locate the assembly "Microsoft.CSharp". Check to make sure the assembly exists on disk. If this reference is required by your code, you may get compilation errors.


실제로 레지스트리에서 해당 키를 확인해 보면 "SDKInstallRootv2.0" 값이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v2msbuild_1.png

그럼 .NET Framework 2.0 SDK를 설치해 볼까요? ^^

.NET Framework 2.0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x86)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19988

.NET Framework 2.0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x64)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15354

위의 것 중 하나만 설치하면 되는데요. 제 경우에는 x64 버전의 것을 설치했고, 레지스트리를 확인하면 "sdkInstallRootv2.0" == "C:\Program Files\Microsoft.NET\SDK\v2.0 64bit\"로 설정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x86/x64 빌드를 하고 싶다면 2개 모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느 한 쪽만 설치하는 경우, $(FrameworkSDKDir)과 같은 환경변수가 MBBuild내에서 설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설치 후에 레지스트리는 다음과 같이 추가됩니다.

=== x64 SDK 설치 후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NETFramework
- sdkInstallRootv2.0 == C:\Program Files\Microsoft.NET\SDK\v2.0 64bit\

=== x86 SDK 설치 후 ===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NETFramework
- sdkInstallRootv2.0 ==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8\SDK\v2.0\

준비 완료!

다시 msbuild를 실행하면, 이번엔 정상적으로 빌드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끝내기 아쉬우니, x64 버전까지 빌드되는 스크립트를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REM ============= .NET 2.0 MSBuild
REM ============= x86 Build
SET FrameworkDir=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
SET MSBuildToolsPath=%FrameworkDir%

%MSBuildToolsPath%\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REM ============= x64 Build
SET FrameworkDir=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
SET MSBuildToolsPath=%FrameworkDir%

%MSBuildToolsPath%\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p:Platform=x64




글의 처음에서 왜 저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는데요. 왜냐하면,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에서 4.0 버전의 MSBuild를 가지고 여전히 CLR 2.0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빌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017

위의 글에 설명된 데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p:TargetFrameworkVersion=v2.0
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p:TargetFrameworkVersion=v2.0;Platform=x64

빌드 결과물까지 정상적으로 출력되지만, x64 빌드시 다음과 같은 '경고'가 발생합니다. ('경고'라서 무시할 수 있습니다.)

CSC : warning CS1607: Assembly generation -- Referenced assembly 'mscorlib.dll' targets a different processor [D:\...\ConsoleApplication1.csproj]
CSC : warning CS1607: Assembly generation -- Referenced assembly 'System.Data.dll' targets a different processor [D:\...\ConsoleApplication1.csproj]

왜냐하면, 현재 실행된 msbuild가 x86 버전이고 기본 참조 경로를 x86 용의 mscorlib.dll로 잡기 때문입니다. 할 수 없습니다. x64 버전의 msbuild가 실행되도록 다음과 같이 직접 msbuild.exe 경로를 잡아줘야만 경고없이 깨끗하게 빌드됩니다.

SET MSBuildToolsPath=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
%MSBuildToolsPath%\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p:TargetFrameworkVersion=v2.0;Platform=x64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와 배치 파일입니다.





[오류 정리]

혹시 .NET 2.0 SDK 설치 이후 다음과 같은 오류가 여전히 발생한다면?

Target ResolveAssemblyReferences:
    Primary reference "Microsoft.CSharp".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Microsoft.Common.targets : warning MSB3245: Could not resolve this reference. Could not locate the assembly "Microsoft.CSharp". Check to make sure the assembly exists on disk. If this reference is required by your code, you may get compilation errors.


Visual Studio 2010에서 프로젝트를 습관적으로 .NET 4.0으로 생성했기 때문입니다. 해당 프로젝트가 참조하고 있는 "Microsoft.CSharp", "System.Core", "System.Xml.Linq", "System.Data.DataSetExtensions"를 삭제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11-21 12시14분
Windows "Command Prompt Here" Generator
; http://app.paraesthesia.com/CommandPromptHere/
정성태
2018-05-24 05시14분
[쫑이] .NET Framework 2.0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x86)과 (x64)를 설치하여 setup.exe를 실행하면 "이 프로그램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라는 오류가 뜹니다.. 해결방법 좀 알려주세요..ㅠ
[guest]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38정성태7/28/202115938오류 유형: 745. Azure Active Directory - Client credential flows must have a scope value with /.default suffixed to the resource identifier (application ID URI).
12737정성태7/28/202115032오류 유형: 744. Azure Active Directory - The resource principal named api://...[client_id]... was not found in the tenant
12736정성태7/28/202115294오류 유형: 743. Active Azure Directory에서 "API permissions"의 권한 설정이 "Not granted for ..."로 나오는 문제
12735정성태7/27/202115175.NET Framework: 1081.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예제(Windows Forms) [2]파일 다운로드1
12734정성태7/26/202131997스크립트: 20. 특정 단어로 시작하거나/끝나는 문자열을 포함/제외하는 정규 표현식 - Look-around
12733정성태7/23/202119900.NET Framework: 1081. Self-Contained/SingleFile 유형의 .NET Core/5+ 실행 파일을 임베딩한다면? [1]파일 다운로드2
12732정성태7/23/202113334오류 유형: 742. SharePoint - The super user account utilized by the cache is not configured.
12731정성태7/23/202115370개발 환경 구성: 584. Add Internal URLs 화면에서 "Save" 버튼이 비활성화 된 경우
12730정성태7/23/202116799개발 환경 구성: 583. Visual Studio Code - Go 코드에서 입력을 받는 경우
12729정성태7/22/202115283.NET Framework: 1080. xUnit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 수준의 문맥 제공 - Fixture
12728정성태7/22/202115305.NET Framework: 1079. MSTestv2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어셈블리 수준의 문맥 제공
12727정성태7/21/202116492.NET Framework: 1078. C# 단위 테스트 - MSTestv2/NUnit의 Assert.Inconclusive 사용법(?) [1]
12726정성태7/21/202116266VS.NET IDE: 169. 비주얼 스튜디오 - 단위 테스트 선택 시 MSTestv2 외의 xUnit, NUnit 사용법 [1]
12725정성태7/21/202114729오류 유형: 741. Failed to find the "go" binary in either GOROOT() or PATH
12724정성태7/21/202117636개발 환경 구성: 582. 윈도우 환경에서 Visual Studio Code + Go (Zip) 개발 환경 [1]
12723정성태7/21/202114530오류 유형: 740. SharePoint - Alternate access mappings have not been configured 경고
12722정성태7/20/202114302오류 유형: 739. MSVCR110.dll이 없어 exe 실행이 안 되는 경우
12721정성태7/20/202115445오류 유형: 738.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 세 번째 이야기
12720정성태7/19/202114720Linux: 43.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의 Ubuntu (Debian) 패키지 준비
12719정성태7/19/202113911오류 유형: 737. SharePoint 설치 시 "0x800710D8 The object identifier does not represent a valid object." 오류 발생
12718정성태7/19/202113916개발 환경 구성: 581. Windows에서 WSL로 파일 복사 시 root 소유권으로 적용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2717정성태7/18/202114112Windows: 195. robocopy에서 파일의 ADS(Alternate Data Stream) 정보 복사를 제외하는 방법
12716정성태7/17/202115244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715정성태7/17/202122439오류 유형: 736. Windows - MySQL zip 파일 버전의 "mysqld --skip-grant-tables" 실행 시 비정상 종료 [1]
12714정성태7/16/202115798오류 유형: 735. VCRUNTIME140.dll, MSVCP140.dll, VCRUNTIME140.dll, VCRUNTIME140_1.dll이 없어 exe 실행이 안 되는 경우
12713정성태7/16/202117204.NET Framework: 1077.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규약을 따르게 만드는 Task.FromResult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