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에서 2.0 버전의 MSBuild를 구동하는 방법

왜 이런 환경이 필요하냐고요? 가끔 있습니다. 더 이상 묻지 마세요. ^^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 윈도우에서 MSBuild 2.0을 구동하는 방법이 생각보다 까다롭더군요. 잊어버리기 전에,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아서 간단하게 적어놓습니다.

일단, 생각나는 데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실행해 보았습니다.

SET FrameworkDir=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
SET MSBuildToolsPath=%FrameworkDir%

%MSBuildToolsPath%\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아쉽게도 ^^ 빌드 중간에 다음과 같은 오류 결과가 나오면서 실패하더군요.

Target GetFrameworkPaths:
    Could not locate the .NET Framework SDK. The task is looking for the path to the .NET Framework SDK at the location specified in the SDKInstallRootv2.0 value of the registry key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NETFramework. You may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by doing one of the following:
1.) Install the .NET Framework SDK.
2.) Manually set the above registry key to the correct location.


Target ResolveAssemblyReferences: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Microsoft.Common.targets : warning MSB3088: Could not read state file "obj\x86\Debug\ResolveAssemblyReference.cache". Unable to find assembly 'Microsoft.Build.Tasks.v4.0,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Primary reference "Microsoft.CSharp".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Microsoft.Common.targets : warning MSB3245: Could not resolve this reference. Could not locate the assembly "Microsoft.CSharp". Check to make sure the assembly exists on disk. If this reference is required by your code, you may get compilation errors.


실제로 레지스트리에서 해당 키를 확인해 보면 "SDKInstallRootv2.0" 값이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v2msbuild_1.png

그럼 .NET Framework 2.0 SDK를 설치해 볼까요? ^^

.NET Framework 2.0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x86)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19988

.NET Framework 2.0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x64)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15354

위의 것 중 하나만 설치하면 되는데요. 제 경우에는 x64 버전의 것을 설치했고, 레지스트리를 확인하면 "sdkInstallRootv2.0" == "C:\Program Files\Microsoft.NET\SDK\v2.0 64bit\"로 설정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x86/x64 빌드를 하고 싶다면 2개 모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느 한 쪽만 설치하는 경우, $(FrameworkSDKDir)과 같은 환경변수가 MBBuild내에서 설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설치 후에 레지스트리는 다음과 같이 추가됩니다.

=== x64 SDK 설치 후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NETFramework
- sdkInstallRootv2.0 == C:\Program Files\Microsoft.NET\SDK\v2.0 64bit\

=== x86 SDK 설치 후 ===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NETFramework
- sdkInstallRootv2.0 ==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8\SDK\v2.0\

준비 완료!

다시 msbuild를 실행하면, 이번엔 정상적으로 빌드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끝내기 아쉬우니, x64 버전까지 빌드되는 스크립트를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REM ============= .NET 2.0 MSBuild
REM ============= x86 Build
SET FrameworkDir=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
SET MSBuildToolsPath=%FrameworkDir%

%MSBuildToolsPath%\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REM ============= x64 Build
SET FrameworkDir=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
SET MSBuildToolsPath=%FrameworkDir%

%MSBuildToolsPath%\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p:Platform=x64




글의 처음에서 왜 저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는데요. 왜냐하면,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에서 4.0 버전의 MSBuild를 가지고 여전히 CLR 2.0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빌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017

위의 글에 설명된 데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p:TargetFrameworkVersion=v2.0
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p:TargetFrameworkVersion=v2.0;Platform=x64

빌드 결과물까지 정상적으로 출력되지만, x64 빌드시 다음과 같은 '경고'가 발생합니다. ('경고'라서 무시할 수 있습니다.)

CSC : warning CS1607: Assembly generation -- Referenced assembly 'mscorlib.dll' targets a different processor [D:\...\ConsoleApplication1.csproj]
CSC : warning CS1607: Assembly generation -- Referenced assembly 'System.Data.dll' targets a different processor [D:\...\ConsoleApplication1.csproj]

왜냐하면, 현재 실행된 msbuild가 x86 버전이고 기본 참조 경로를 x86 용의 mscorlib.dll로 잡기 때문입니다. 할 수 없습니다. x64 버전의 msbuild가 실행되도록 다음과 같이 직접 msbuild.exe 경로를 잡아줘야만 경고없이 깨끗하게 빌드됩니다.

SET MSBuildToolsPath=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
%MSBuildToolsPath%\msbuild ConsoleApplication1.csproj /t:Rebuild /p:TargetFrameworkVersion=v2.0;Platform=x64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와 배치 파일입니다.





[오류 정리]

혹시 .NET 2.0 SDK 설치 이후 다음과 같은 오류가 여전히 발생한다면?

Target ResolveAssemblyReferences:
    Primary reference "Microsoft.CSharp".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Microsoft.Common.targets : warning MSB3245: Could not resolve this reference. Could not locate the assembly "Microsoft.CSharp". Check to make sure the assembly exists on disk. If this reference is required by your code, you may get compilation errors.


Visual Studio 2010에서 프로젝트를 습관적으로 .NET 4.0으로 생성했기 때문입니다. 해당 프로젝트가 참조하고 있는 "Microsoft.CSharp", "System.Core", "System.Xml.Linq", "System.Data.DataSetExtensions"를 삭제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11-21 12시14분
Windows "Command Prompt Here" Generator
; http://app.paraesthesia.com/CommandPromptHere/
정성태
2018-05-24 05시14분
[쫑이] .NET Framework 2.0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x86)과 (x64)를 설치하여 setup.exe를 실행하면 "이 프로그램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라는 오류가 뜹니다.. 해결방법 좀 알려주세요..ㅠ
[gue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93정성태7/24/20247233개발 환경 구성: 717. Visual Studio - C# 프로젝트에서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지 않은 COM 개체 참조 및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92정성태7/24/20248012디버깅 기술: 199. Windbg - 리눅스에서 뜬 닷넷 응용 프로그램 덤프 파일에 포함된 DLL의 Export Directory 탐색
13691정성태7/23/20247369디버깅 기술: 198. Windbg - 스레드의 Win32 Message Queue 정보 조회
13690정성태7/23/20247005오류 유형: 919. Visual C++ 리눅스 프로젝트 - error : ‘u8’ was not declared in this scope
13689정성태7/22/20248509디버깅 기술: 197. Windbg - PE 포맷의 Export Directory 탐색
13688정성태7/21/20247615닷넷: 2281.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일부 Win32 메시지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87정성태7/19/20248045닷넷: 2280. C# - PostThreadMessage로 보낸 메시지를 Windows Forms에서 수신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86정성태7/19/20247842오류 유형: 918. Visual Studio - ATL Simple Object 추가 시 error C2065: 'IDR_...': undeclared identifier
13685정성태7/19/20247990스크립트: 66.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84정성태7/19/20248164닷넷: 2279. C# - 문자열 보간식 사례 (예: 조건 연산자 사용)
13683정성태7/18/20247637오류 유형: 917. ClrMD - Linux 환경의 .NET 5 덤프 분석 시 hang 현상
13682정성태7/18/20247854닷넷: 2278. WPF - 스레드에 종속되는 DependencyObject파일 다운로드1
13681정성태7/17/20247459닷넷: 2277. C# 13 - (2) 메서드 그룹의 자연 타입 개선 (메서드 추론 개선)파일 다운로드1
13680정성태7/16/20247837닷넷: 2276. C# - Method Group, Natural Type, function_type파일 다운로드1
13679정성태7/16/20246934Linux: 76. Linux - C++ (getaddrinfo 등을 담고 있는) libnss 정적 링크
13678정성태7/15/20247051VS.NET IDE: 191. Visual Studio 2022 - .NET 5 프로젝트를 Docker Support로 실행했을 때 오류
13677정성태7/15/20247131오류 유형: 916. MSBuild - CheckEolTargetFramework (warning NETSDK1138)
13676정성태7/14/20247315Linux: 75. gdb에서 glibc의 함수에 Breakpoint 걸기
13675정성태7/13/20249102C/C++: 166. C/C++ - DLL에서 template 함수를 export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674정성태7/13/20247986오류 유형: 915. Unhandled Exception: Microsoft.Diagnostics.NETCore.Client.ServerNotAvailableException: Unable to connect to Process
13673정성태7/11/20248427닷넷: 2275. C# 13 - (1) 신규 이스케이프 시퀀스 '\e'파일 다운로드1
13672정성태7/10/20247142닷넷: 2274. IIS - (프로세스 종료 없는) AppDomain Recycle
13671정성태7/10/20247258오류 유형: 914. Package ca-certificates is not installed.
13669정성태7/9/20247366오류 유형: 913. C# - AOT StaticExecutable 정적 링킹 시 빌드 오류
13668정성태7/8/20247393개발 환경 구성: 716. Hyper-V - Ubuntu 22.04 Generation 2 유형의 VM 설치
13667정성태7/7/20246608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