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63. byte[] pData = new byte[100000]로 인한 성능 차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14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byte[] pData = new byte[100000]로 인한 성능 차이?

이번에도 데브피아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

new 생성자에 대한 질문입니다.
;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17&MAEULNO=8&no=140988&ref=140988&page=1

문제인 즉, 다음과 같이 2가지 방식에 대한 성능 차이를 느낄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방식1)

while (true)
{
     byte[] pData = new byte[100000];
     // pData 에 대한 처리.
     Thread.Sleep(1);
}

방식2)

byte[] pData = new byte[100000];

while (true)
{
    //  pData에 대한 처리.
     Thread.Sleep(1);
}

그냥 봐도, "방식 1"은 분명히 시스템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질문을 한 이의 입장에서는 아래와 같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봤지만, 별다르게 CPU나 메모리 부담을 느낄 수 없다는 것입니다.

void Function_Th()
{
    while (true)
    {
        byte[] pData = new byte[100000];
        // pData에 대한 처리.
        Thread.Sleep(33);
    }
}

void main()
{
    for ( int i=0; i<10; i++)
    {
        new Thread(new ThreadStart(Function_Th)).Start()
    }
}
 

실제로 (i7 CPU 인 제 컴퓨터에서) 작업 관리자를 보면 전혀 이상이 없어 보입니다. 정말로 부담이 없는 걸까요?




확인을 위해, 위의 프로그램을 이전에 작성해 두었던 GC 테스트 프로그램을 통해서 비춰보면,

윈도우 폼을 열고 닫는 것만으로 메모리 leak이 발생할까?
; https://www.sysnet.pe.kr/2/0/1142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C #0   GC #1    GC #2   Heap    WorkingSet    Private      
[13628]      0,      0,      0,     234020,   18395136,   18616320 
[13628]      0,      0,      0,    1056124,   23511040,   20045824 
[13628]      0,      0,      0,    1788356,   24068096,   20803584 
[13628]      0,      0,      0,    2512156,   24616960,   21561344 
[13628]      0,      0,      0,    3228084,   25153536,   22249472 
[13628]     11,     11,     11,    1196900,   29716480,   36007936 <----- Thread.Start 시작 이후
[13628]     30,     30,     30,    1197292,   29859840,   36106240 
[13628]     49,     49,     49,    1197292,   29970432,   36208640 
[13628]     68,     68,     68,    1197292,   29421568,   36106240 
[13628]     87,     87,     87,    1197292,   29409280,   35610624 
[13628]    106,    106,    106,    1197292,   29978624,   36179968 
[13628]    125,    125,    125,    1197292,   29900800,   36311040 
[13628]    144,    144,    144,    1197292,   29069312,   35979264 

보시는 것처럼 스레드 시작 후부터 GC가 부지런히 활동하면서 메모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애쓰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메모리 관리는 그렇다 치고, 그런데 작업 관리자로 확인한 CPU 사용량도 이상합니다. 거의 0을 유지하고 있거든요. 정말로 GC는 CPU와 무관하게 돌고 있는 것일까요? 물론, 불가능한 상황이지만 그래도 눈으로 확인을 해봐야 직성이 풀릴 것 같습니다. ^^

이를 위해서 지난 번의 계측량을 구하는 소스 코드에 프로세스 자체의 CPU 사용량을 구하는 코드를 추가해야 하는데, 다음의 함수를 C#에서 P/Invoke로 사용하면 적당할 듯 싶습니다.

QueryProcessCycleTime function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realtimeapiset/nf-realtimeapiset-queryprocesscycletime

CPU 사용량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delta 값을 보이도록 추가했고,

[System.Runtime.InteropServices.DllImport("kernel32.dll")]
public static extern bool QueryProcessCycleTime(IntPtr hProcess, out long cycleTime);

void ThreadFunc(object state)
{
    long oldCycleTime = 0;

    while (true)
    {
        Process currentProcess = Process.GetCurrentProcess();

        long cycleTime;
        QueryProcessCycleTime(currentProcess.Handle, out cycleTime);
        long deltaCycle = cycleTime - oldCycleTime;

        string txt = string.Format("{0,6}, {1,6}, {2,6}, {3,10}, {4,10}, {5,10}, {6,10}", GC.CollectionCount(0),
            GC.CollectionCount(1), GC.CollectionCount(2), GC.GetTotalMemory(false),
            currentProcess.WorkingSet64,
            currentProcess.PrivateMemorySize64, deltaCycle);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txt);

        oldCycleTime = cycleTime;

        Thread.Sleep(1000 * 2);
    }
}

실행해 보면, 예상되는 결과를 보여주게 됩니다.

           GC #0   GC #1    GC #2   Heap    WorkingSet    Private      # of cpu cycles

[13760]      0,      0,      0,    1734372,   24240128,   31555584,   17929179 
[13760]      0,      0,      0,    2443708,   24768512,   32247808,   17877155 
[13760]      0,      0,      0,    3160836,   25305088,   33005568,   18369483 
[13760]      0,      0,      0,    3869452,   25833472,   33697792,   17921554 
[13760]      0,      0,      0,    4586180,   26374144,   34390016,   16546720 
[13760]      0,      0,      0,    5294716,   26906624,   35147776,   17444334 
[13760]      0,      0,      0,    6011444,   27443200,   35840000,   17287101 
[13760]      0,      0,      0,    6719900,   26529792,   33251328,   17676896 
[13760]     12,     12,     12,    1196672,   30986240,   37187584,  127745854 <----- Thread.Start 시작 이후
[13760]     31,     31,     31,    1196672,   31305728,   37486592,   95881603 
[13760]     50,     50,     50,    1196672,   31322112,   37584896,   97136948 
[13760]     69,     69,     69,    1196672,   31219712,   37388288,   96555172 
[13760]     88,     88,     88,    1196672,   31322112,   37486592,   95048736 
[13760]    107,    107,    107,    1196672,   31539200,   37822464,   95064560 
[13760]    126,    126,    126,    1196844,   31703040,   37900288,  102783980 
[13760]    146,    146,    146,    1196844,   31604736,   37797888,  100410108 
[13760]    165,    165,    165,    1196844,   31805440,   37998592,   94732637 
[13760]    184,    184,    184,    1196844,   31809536,   37998592,   95463257 
[13760]    203,    203,    203,    1196844,   31809536,   37998592,   94324847 
[13760]    222,    222,    222,    1205036,   31813632,   37998592,   94972692 
[13760]    241,    241,    241,    1196844,   31817728,   37998592,   92745471 

당연한 결과죠? 평소보다 9배 정도의 CPU Cycle이 해당 프로세스에 할당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GC로 인한 CPU 소비가 분명 높아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되는 소스 코드를 첨부했으니, 결과에 의문이 있으신 분들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1-15 03시35분
GC.GetTotalMemory - 특정 코드 블럭이 사용하는 메모리 체크
; http://www.csharpstudy.com/Tips/Tips-memory-check.aspx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0정성태11/6/200626764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356정성태10/7/200622318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
386light10/30/200617272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
355정성태10/9/200625015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3311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589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3777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2914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2640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055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379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2830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039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210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500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094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0642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3193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1962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5714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19248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18442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0283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052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19695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19194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