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80. Fritzing 실행 시 Ordinal Not Found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95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Fritzing 실행 시 Ordinal Not Found 오류

Fritzing.exe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ritzing.exe - Ordinal Not Found
The ordinal 4684 could not be located in the dynamic link library %USERPROFILE%\Anaconda3\Library\bin\ssleay32.dll. 

이벤트 로그에는 다음의 항목이 남습니다.

Log Name:      System
Source:        Application Popup
Date:          2018-08-28 오전 22:11:23
Event ID:      26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User:          SYSTEM
Computer:      TESTPC
Description:
Application popup: Fritzing.exe - Ordinal Not Found : The ordinal 4684 could not be located in the dynamic link library %USERPROFILE%\Anaconda3\Library\bin\ssleay32.dll. 

사실 이 오류가 떴음에도 불구하고 Fritzing.exe는 잘 실행이 됩니다. 그래서 무시해도 되긴 하지만... 오류창 닫는 것이 여간 귀찮은 작업이 아닐 수 없습니다. ^^;

해결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 환경 변수에 "%USERPROFILE%\Anaconda3\Library\bin" 경로가 들어있을 텐데 그걸 없애주면 됩니다. 그런데 그럴 경우 Anaconda3 사용에 불편함이 올 것입니다. ^^ 두 번째로 "%USERPROFILE%\Anaconda3\Library\bin" 폴더에 있는 ssleay32.dll, libeay32.dll 파일을 Fritzing.exe 파일이 있는 곳에 복사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8/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78정성태12/1/202216492Windows: 215. Win32 API 금지된 함수 - IsBadXxxPtr 유의 함수들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파일 다운로드1
13177정성태11/30/202217195오류 유형: 829. uwsgi 설치 시 fatal error: Python.h: No such file or directory
13176정성태11/29/202213006오류 유형: 828. gunicorn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
13175정성태11/29/202218060오류 유형: 827. Python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html5lib' from 'pip._vendor'
13174정성태11/28/202214401.NET Framework: 2073. C# - VMMap처럼 스택 메모리의 reserve/guard/commit 상태 출력파일 다운로드1
13173정성태11/27/202215411.NET Framework: 2072.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스레드 스택 크기 변경
13172정성태11/25/202215472.NET Framework: 2071. 닷넷에서 ESP/RS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1정성태11/25/202214342Windows: 214. 윈도우 - 스레드 스택의 "red zone"
13170정성태11/24/202216843Windows: 213. 윈도우 - 싱글 스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이 없을까요?
13169정성태11/23/202218309Windows: 212. 윈도우의 Protected Process (Light) 보안 [1]파일 다운로드2
13168정성태11/22/202214228제니퍼 .NET: 31.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9) - DB 서비스에 부하가 걸렸다?!
13167정성태11/21/202215445.NET Framework: 2070. .NET 7 - Console.ReadKey와 리눅스의 터미널 타입
13166정성태11/20/202216241개발 환경 구성: 651. Windows 사용자 경험으로 WSL 환경에 dotnet 런타임/SDK 설치 방법
13165정성태11/18/202213846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13164정성태11/18/202216948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13163정성태11/17/202216965개발 환경 구성: 648.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안드로이드 기기 인식하는 방법
13162정성태11/15/202218223.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1]
13161정성태11/14/202216322.NET Framework: 2068. C# - PublishSingleFile로 배포한 이미지의 역어셈블 가능 여부 (난독화 필요성) [4]
13160정성태11/11/202217448.NET Framework: 2067. C# - PublishSingleFile 적용 시 native/managed 모듈 통합 옵션
13159정성태11/10/202219717.NET Framework: 2066. C# - PublishSingleFile과 관련된 옵션 [3]
13158정성태11/9/202215355오류 유형: 826. Workload definition 'wasm-tools' in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 conflicts with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13157정성태11/8/202216511.NET Framework: 2065. C# - Mutex의 비동기 버전파일 다운로드1
13156정성태11/7/202219624.NET Framework: 2064. C# - Mutex와 Semaphore/SemaphoreSlim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155정성태11/4/202216801디버깅 기술: 183. TCP 동시 접속 (연결이 아닌) 시도를 1개로 제한한 서버
13154정성태11/3/202217999.NET Framework: 2063. .NET 5+부터 지원되는 GC.GetGCMemoryInfo파일 다운로드1
13153정성태11/2/202218696.NET Framework: 2062. C# - 코드로 재현하는 소켓 상태(SYN_SENT, SYN_RECV)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