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47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83

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 https://www.sysnet.pe.kr/2/0/11839

Java: 21. Azure Web App Service에 배포된 Java 프로세스의 메모리 및 힙(Heap) 덤프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85

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2692

개발 환경 구성: 647.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98

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64

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 https://www.sysnet.pe.kr/2/0/13165

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33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Azure 환경이 꾸준히 바뀌다 보니 도대체 ^^; 일관성이 없습니다. 어떤 검색에 보면, PowerShell에서 Get-WinEvent를 하면 된다고 하는데 실제로 해보면 권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PS D:\home> Get-WinEvent @{logname='application','Application'}
Get-WinEvent : Attempted to perform an unauthorized operation.
Get-WinEvent @{logname='application','Application'}
PS D:\home> At line:1 char:1
+ Get-WinEvent @{logname='application','Application'}
+ ~~~~~~~~~~~~~~~~~~~~~~~~~~~~~~~~~~~~~~~~~~~~~~~~~~~
    + CategoryInfo          : NotSpecified: (:) [Get-WinEvent], UnauthorizedAccess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Microsoft.PowerShell.Commands.GetWinEventCommand

웹 앱 확장으로도 있다는데,

Azure Website SiteExtension to view EventLogs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puneetgupta/azure-website-siteextension-to-view-eventlogs

이젠 없어졌습니다. 휴~~~ 바뀌는 거 찾아다니는 것만 해도 피곤하군요. ^^;

그냥 속 편하게 Kudu로 접속해 다음의 경로에 있는 이벤트 로그 파일을 보기로 했습니다.

D:\home\Logfiles\eventlog.xml

Kudu의 Shell 화면에서 다운로드도 가능하므로 나쁘지 않습니다. 또는, 이벤트 로그를 앱 확장의 한 경로를 통해서 접근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가령 여러분의 App Service 이름이 "testapp"이라면 다음과 같이 접근해 이벤트 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형식: https://[app service name].scm.azurewebsites.net/api/vfs/LogFiles/eventlog.xml

예) https://testapp.scm.azurewebsites.net/api/vfs/LogFiles/eventlog.xml

이벤트 로그뿐만 아니라, "웹 앱 확장"에 대한 로그 파일도 다음의 경로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형식: https://[app service name].scm.azurewebsites.net/api/logstream

예) https://testapp.scm.azurewebsites.net/api/logstream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53정성태3/24/201924951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22370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26535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27178.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25796.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23024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27358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26319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25284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27487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22238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9203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9755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22588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27569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30744.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43933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11836정성태3/5/201927626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11835정성태3/5/201925097.NET Framework: 810. C# 8.0의 Index/Range 연산자를 .NET Framework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비동기 스트림의 컴파일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834정성태3/4/201923849개발 환경 구성: 432. Visual Studio 없이 최신 C# (8.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1833정성태3/4/201925789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파일 다운로드1
11832정성태3/4/201919520오류 유형: 524. Visual Studio CMake -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11831정성태3/4/201921407오류 유형: 523. Visual Studio 2019 - 새 창으로 뜬 윈도우를 닫을 때 비정상 종료
11830정성태2/26/201919882오류 유형: 522. 이벤트 로그 - Error opening event log file State. Log will not be processed. Return code from OpenEventLog is 87.
11829정성태2/26/201920883개발 환경 구성: 430.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 리눅스 환경 [1]
11828정성태2/26/201930009개발 환경 구성: 429. Component Services 관리자의 RuntimeBroker 설정이 2개 있는 경우 [8]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