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009

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1689

VS.NET IDE: 145. NuGet + Github 라이브러리 디버깅 관련 옵션 3가지 - "Enable Just My Code" / "Enable Source Link support" / "Suppress JIT optimization on module load (Managed only)"
; https://www.sysnet.pe.kr/2/0/12200

VS.NET IDE: 149. ("Binary was not built with debug information" 상태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278

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1

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 https://www.sysnet.pe.kr/2/0/12401

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0

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3109

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47

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 https://www.sysnet.pe.kr/2/0/13554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아래와 같은 소식을 접했습니다.

Visual Studio 2017 15.8 C# DLL 소스 탐색 기능 
; http://www.gamecodi.com/board/zboard.php?id=GAMECODI_Talkdev&no=5035

널리 널리 알리고 싶어 이렇게 제 블로그에 다시 옮겨 봅니다. ^^

간단하게 "Tools" / "Options..." 메뉴의 "Text Editor" / "C#" / "Advanced"에서 "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experimental)" 기능을 켜면 동작하는데, 방식은 기존 .NET Reflector와 같은 유형의 디컴파일러들처럼 DLL을 역어셈블해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옵션을 켠 이후로, 예를 들어 다음의 소스 코드에서 SerializeObject 메서드에 커서를 둔 후 F12 키를 누르면 (또는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눌러 나오는 메뉴의 "Go To Definition"을 선택하면),

Newtonsoft.Json.JsonConvert.SerializeObject("test");

JsonConvert 창이 열리며 JsonConvert 타입의 역어셈블 코드와 함께 SerializeObject 메서드의 위치로 이동합니다.

#region Assembly Newtonsoft.Json, Version=1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30ad4fe6b2a6aeed
// D:\ConsoleApp1\packages\Newtonsoft.Json.11.0.2\lib\net45\Newtonsoft.Json.dll
// Decompiled with ICSharpCode.Decompiler 3.1.0.3652
#endregion

...[생략]...
        public static string SerializeObject(object value)
        {
            return SerializeObject(value, (Type)null, (JsonSerializerSettings)null);
        }
...[생략]...

참고로 처음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묻는 창이 뜨긴 하지만,

IMPORTANT: Visual Studio includes decompiling functionality (“Decompiler”) that enables reproducing source code from binary code. By accessing and using the Decompiler, you agree to the Visual Studio license terms and the terms for the Decompiler below. If you do not agree with these combined terms, do not access or use the Decompiler.

You acknowledge that binary code and source code might be protected by copyright and trademark laws.  Before using the Decompiler on any binary code, you need to first:  

(i) confirm that the license terms governing your use of the binary code do not contain a provision which prohibits you from decompiling the software; or

(ii) obtain permission to decompile the binary code from the owner of the software.


Your use of the Decompiler is optional.  Microsoft is not responsible and disclaims all liability for your use of the Decompiler that violates any laws or any software license terms which prohibit decompiling of the software.

I agree to all of the foregoing:

Yes를 누르고 넘어가면 됩니다. ^^




그러니까 이제부터는 저 기능을 위해 별도의 플러그인(예: .NET Reflector)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졌습니다. 단지, 해당 도구들은 PDB까지도 DLL로부터 역어셈블한 소스 코드의 위치에 맞게 생성을 해두기 때문에 소스 코드 레벨의 디버깅까지 제공하는 무시 못 할 장점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시간 있으시면 아래의 글도 한 번씩 읽어보시는 것도. ^^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TFS Team Build + Source Server =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00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3/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75정성태4/5/201725923.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174정성태4/3/201719453VC++: 116.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 Failed to set up the execution context to run the test
11173정성태4/3/201723000VC++: 115. Visual Studio에서 C++ DLL을 대상으로 단위 테스트할 때 비정상 종료한다면?파일 다운로드1
11172정성태4/3/201722163.NET Framework: 651. C# - 특정 EXE 프로세스를 종료시킨 EXE를 찾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71정성태3/31/201718872VS.NET IDE: 114. Visual Studio 디버깅 경고 창 - You are debugging a Release build of ...
11170정성태3/31/201720749.NET Framework: 650. C# - CachedAnonymousMethodDelegate 유형의 코드 생성
11169정성태3/30/201720618VC++: 114. C++ vtable의 가상 함수 호출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1168정성태3/29/201723936VC++: 113. C++ 클래스 상속 관계의 vtable 생성 과정
11167정성태3/28/201724258VC++: 112. C++의 가상 함수 테이블 (vtable)은 언제 생성될까요? [2]
11166정성태3/28/201718484오류 유형: 382.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 Arithmetic overflow error converting IDENTITY to data type int.
11165정성태3/27/201721759오류 유형: 381. Visual C++에서 min, max 함수를 사용한 경우 C2589, C2059 컴파일 오류 발생
11164정성태3/27/201730101VC++: 111. C++ 클래스의 상속에 따른 메모리 구조 [2]파일 다운로드1
11163정성태3/25/201719900VC++: 110. CreateThread Win32 API에 C++ 클래스의 멤버 함수를 전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62정성태3/24/201724120오류 유형: 380. Visual Studio 빌드 실패 - The 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11161정성태3/24/201716831오류 유형: 379.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 호출 시 0x80070422 예외 발생
11160정성태3/23/201721730.NET Framework: 649. ASP.NET - Server cannot append header after HTTP headers have been sent. (HTTP 헤더를 보낸 후에는 서버에서 헤더를 추가할 수 없습니다.)파일 다운로드1
11159정성태3/23/201719039Windows: 136. Memory-mapped File은 Private Bytes 크기에 포함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158정성태3/22/201718643디버깅 기술: 85. Windbg - SOS 디버깅 사례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예외 추적
11157정성태3/22/201721903.NET Framework: 648. Dictionary<TKey, TValue>를 deep copy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56정성태3/21/201722540.NET Framework: 647. 닷넷(C#) 코드로 인증서 요청 코드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55정성태3/21/201722788.NET Framework: 646. SslStream의 CipherAlgorithm 선택이 가능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154정성태3/5/201729774VC++: 109. DLL에서 STL 객체를 인자/반환값으로 갖는 함수를 제공할 때, 그 함수를 외부에서 사용하는 경우 비정상 종료한다면? [2]파일 다운로드1
11153정성태3/5/201729145VC++: 108. DLL에 정의된 C++ template 클래스의 복사 생성자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152정성태3/4/201722832VC++: 107. VirtualAlloc, HeapAlloc, GlobalAlloc, LocalAlloc, malloc, new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1151정성태3/3/201723399VC++: 106. DLL 개발자가 주의해야 할 Secure CRT 함수 사용 [1]파일 다운로드1
11150정성태2/21/201719334.NET Framework: 645. Visual Studio Fakes 기능에서 Shim... 클래스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5]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