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009

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1689

VS.NET IDE: 145. NuGet + Github 라이브러리 디버깅 관련 옵션 3가지 - "Enable Just My Code" / "Enable Source Link support" / "Suppress JIT optimization on module load (Managed only)"
; https://www.sysnet.pe.kr/2/0/12200

VS.NET IDE: 149. ("Binary was not built with debug information" 상태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278

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1

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 https://www.sysnet.pe.kr/2/0/12401

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0

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3109

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47

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 https://www.sysnet.pe.kr/2/0/13554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아래와 같은 소식을 접했습니다.

Visual Studio 2017 15.8 C# DLL 소스 탐색 기능 
; http://www.gamecodi.com/board/zboard.php?id=GAMECODI_Talkdev&no=5035

널리 널리 알리고 싶어 이렇게 제 블로그에 다시 옮겨 봅니다. ^^

간단하게 "Tools" / "Options..." 메뉴의 "Text Editor" / "C#" / "Advanced"에서 "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experimental)" 기능을 켜면 동작하는데, 방식은 기존 .NET Reflector와 같은 유형의 디컴파일러들처럼 DLL을 역어셈블해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옵션을 켠 이후로, 예를 들어 다음의 소스 코드에서 SerializeObject 메서드에 커서를 둔 후 F12 키를 누르면 (또는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눌러 나오는 메뉴의 "Go To Definition"을 선택하면),

Newtonsoft.Json.JsonConvert.SerializeObject("test");

JsonConvert 창이 열리며 JsonConvert 타입의 역어셈블 코드와 함께 SerializeObject 메서드의 위치로 이동합니다.

#region Assembly Newtonsoft.Json, Version=1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30ad4fe6b2a6aeed
// D:\ConsoleApp1\packages\Newtonsoft.Json.11.0.2\lib\net45\Newtonsoft.Json.dll
// Decompiled with ICSharpCode.Decompiler 3.1.0.3652
#endregion

...[생략]...
        public static string SerializeObject(object value)
        {
            return SerializeObject(value, (Type)null, (JsonSerializerSettings)null);
        }
...[생략]...

참고로 처음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묻는 창이 뜨긴 하지만,

IMPORTANT: Visual Studio includes decompiling functionality (“Decompiler”) that enables reproducing source code from binary code. By accessing and using the Decompiler, you agree to the Visual Studio license terms and the terms for the Decompiler below. If you do not agree with these combined terms, do not access or use the Decompiler.

You acknowledge that binary code and source code might be protected by copyright and trademark laws.  Before using the Decompiler on any binary code, you need to first:  

(i) confirm that the license terms governing your use of the binary code do not contain a provision which prohibits you from decompiling the software; or

(ii) obtain permission to decompile the binary code from the owner of the software.


Your use of the Decompiler is optional.  Microsoft is not responsible and disclaims all liability for your use of the Decompiler that violates any laws or any software license terms which prohibit decompiling of the software.

I agree to all of the foregoing:

Yes를 누르고 넘어가면 됩니다. ^^




그러니까 이제부터는 저 기능을 위해 별도의 플러그인(예: .NET Reflector)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졌습니다. 단지, 해당 도구들은 PDB까지도 DLL로부터 역어셈블한 소스 코드의 위치에 맞게 생성을 해두기 때문에 소스 코드 레벨의 디버깅까지 제공하는 무시 못 할 장점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시간 있으시면 아래의 글도 한 번씩 읽어보시는 것도. ^^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TFS Team Build + Source Server =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00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3/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29정성태11/5/201323323오류 유형: 192.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1528정성태11/5/201328925디버깅 기술: 58. windbg 분석 사례 - WPF 응용 프로그램의 UI가 반응하지 않는 문제 [5]
1527정성태11/4/201326528VC++: 72. error MIDL2311 - mktyplib compatability mode 컴파일 오류
1526정성태11/3/201323258디버깅 기술: 57. C# - double 값에 대한 windbg 확인
1525정성태11/2/201329635.NET Framework: 391. C# - EXE/DLL로부터 추출한 이미지/아이콘의 배경색 투명 처리 [8]
1524정성태11/2/201330486기타: 37. 프로그램에 보여지는 리소스(예: 아이콘) 추출하는 방법 [1]
1523정성태11/2/201326808VS.NET IDE: 81. Visual Studio 확장 도구 AttachToW3WP - w3wp.exe에 대한 디버거 연결을 자동화하는 도구 [2]
1522정성태11/1/201323412VS.NET IDE: 80. IIS 8.0/8.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1521정성태11/1/201329297VS.NET IDE: 79. IIS 7.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1520정성태10/31/201323707오류 유형: 191. Visual Studio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The project type is not supported by this installation." 오류 발생 해결
1519정성태10/31/201349223기타: 36. SYSTEM 또는 TrustedInstaller 소유로 되어 있는 폴더/파일을 삭제하는 방법 [5]
1518정성태10/30/201326878VS.NET IDE: 78. Visual Studio 확장으로 XmlCodeGenerator 제작하는 방법
1517정성태10/28/201326457디버깅 기술: 56. 덤프 파일에 핸들/스레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
1516정성태10/28/201331743.NET Framework: 390. FolderBrowserDialog보다 더 쓸만한 대화창이 필요하다면? [1]
1515정성태10/24/201334442VS.NET IDE: 77. Visual Studio 확장(VSIX) 만드는 방법 [5]
1514정성태10/24/201367801개발 환경 구성: 202. Internet Explorer 11을 7, 8, 9, 10 버전으로 인식시키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513정성태10/23/201324337개발 환경 구성: 201. Azure Blob Storage의 DNS 경로를 사용자 DNS로 바꾸는 방법 [1]
1512정성태10/18/201327568개발 환경 구성: 200. IIS AppPool의 실행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
1511정성태10/12/201325696.NET Framework: 389. The 3n + 1 problem의 C#/Java 버전 풀이 [2]
1510정성태10/8/201326587오류 유형: 190. 윈도우 서버 2012 R2 설치 후 인텔 NIC으로 인한 WMI 오류 발생
1509정성태10/8/201331782오류 유형: 189. Windows Server 8.1/2012 R2 - IME 비정상 종료 현상 [1]
1508정성태10/4/201326844.NET Framework: 388. 일반 닷넷 프로젝트에서 WinRT API를 호출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507정성태9/30/201324694오류 유형: 188. The key 'LocalizedPerfCounter' does not exist in the appSettings configuration section.
1506정성태9/30/201326846오류 유형: 187. Parameter "basePath" cannot be a relative path
1505정성태9/26/201375354기타: 35. Microsoft Office 2007 인증 생략하는 방법 [10]
1504정성태9/24/201330261.NET Framework: 387. UDP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해 서비스 측의 IP 주소를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