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009

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1689

VS.NET IDE: 145. NuGet + Github 라이브러리 디버깅 관련 옵션 3가지 - "Enable Just My Code" / "Enable Source Link support" / "Suppress JIT optimization on module load (Managed only)"
; https://www.sysnet.pe.kr/2/0/12200

VS.NET IDE: 149. ("Binary was not built with debug information" 상태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278

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1

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 https://www.sysnet.pe.kr/2/0/12401

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0

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3109

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47

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 https://www.sysnet.pe.kr/2/0/13554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아래와 같은 소식을 접했습니다.

Visual Studio 2017 15.8 C# DLL 소스 탐색 기능 
; http://www.gamecodi.com/board/zboard.php?id=GAMECODI_Talkdev&no=5035

널리 널리 알리고 싶어 이렇게 제 블로그에 다시 옮겨 봅니다. ^^

간단하게 "Tools" / "Options..." 메뉴의 "Text Editor" / "C#" / "Advanced"에서 "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experimental)" 기능을 켜면 동작하는데, 방식은 기존 .NET Reflector와 같은 유형의 디컴파일러들처럼 DLL을 역어셈블해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옵션을 켠 이후로, 예를 들어 다음의 소스 코드에서 SerializeObject 메서드에 커서를 둔 후 F12 키를 누르면 (또는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눌러 나오는 메뉴의 "Go To Definition"을 선택하면),

Newtonsoft.Json.JsonConvert.SerializeObject("test");

JsonConvert 창이 열리며 JsonConvert 타입의 역어셈블 코드와 함께 SerializeObject 메서드의 위치로 이동합니다.

#region Assembly Newtonsoft.Json, Version=1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30ad4fe6b2a6aeed
// D:\ConsoleApp1\packages\Newtonsoft.Json.11.0.2\lib\net45\Newtonsoft.Json.dll
// Decompiled with ICSharpCode.Decompiler 3.1.0.3652
#endregion

...[생략]...
        public static string SerializeObject(object value)
        {
            return SerializeObject(value, (Type)null, (JsonSerializerSettings)null);
        }
...[생략]...

참고로 처음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묻는 창이 뜨긴 하지만,

IMPORTANT: Visual Studio includes decompiling functionality (“Decompiler”) that enables reproducing source code from binary code. By accessing and using the Decompiler, you agree to the Visual Studio license terms and the terms for the Decompiler below. If you do not agree with these combined terms, do not access or use the Decompiler.

You acknowledge that binary code and source code might be protected by copyright and trademark laws.  Before using the Decompiler on any binary code, you need to first:  

(i) confirm that the license terms governing your use of the binary code do not contain a provision which prohibits you from decompiling the software; or

(ii) obtain permission to decompile the binary code from the owner of the software.


Your use of the Decompiler is optional.  Microsoft is not responsible and disclaims all liability for your use of the Decompiler that violates any laws or any software license terms which prohibit decompiling of the software.

I agree to all of the foregoing:

Yes를 누르고 넘어가면 됩니다. ^^




그러니까 이제부터는 저 기능을 위해 별도의 플러그인(예: .NET Reflector)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졌습니다. 단지, 해당 도구들은 PDB까지도 DLL로부터 역어셈블한 소스 코드의 위치에 맞게 생성을 해두기 때문에 소스 코드 레벨의 디버깅까지 제공하는 무시 못 할 장점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시간 있으시면 아래의 글도 한 번씩 읽어보시는 것도. ^^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TFS Team Build + Source Server =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00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3/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40정성태2/17/202118357.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18261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18734.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19394.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18246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17348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17865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16865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18055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16819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20642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18529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18136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18234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15060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13990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15157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16131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18315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17348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16117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12519정성태1/30/202114858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
12518정성태1/30/202132966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
12517정성태1/30/202120659Linux: 36.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
12516정성태1/29/202117123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12515정성태1/28/202118794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