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76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1705

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13

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1718

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33

Linux: 4. Synology NAS(DS216+II)에 FTDI 장치 연결 후 C#(.NET Core)으로 DTR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34

사물인터넷: 51. Synology NAS(DS216+II)를 이용한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40

개발 환경 구성: 446. Synology NAS를 Windows 10에서 iSCSI로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67

개발 환경 구성: 720. Synology NAS - docker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712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Synology는 NAS 장비이지만 스펙만으로 보면 그냥 한 대의 컴퓨터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어판 / "터미널 및 SNMP"의 "터미널" 탭에서 "SSH 서비스 활성화"를 해주면 일반 리눅스 장비처럼 SSH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윈도우 사용자라면 putty 등을 이용해 ssh 접속을 할 수 있고, root 사용자 권한으로 변경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립니다.

tester@mynas:~$ sudo -i

We trust you have received the usual lecture from the local System
Administrator. It usually boils down to these three things:

    #1) Respect the privacy of others.
    #2) Think before you type.
    #3) With great power comes great responsibility.

Password:
root@mynas:~#

그다음 ipkg 패키지 관리자를 설치합니다.

ipkg package manager installation on Synology NAS 
; http://rescene.wikidot.com/synology-ipkg

위의 글에 따라, 제가 가진 DS216+II 모델은 Intel CPU에 64비트 CPU이므로 다음의 sh 파일을 다운로드해,

wget http://ipkg.nslu2-linux.org/feeds/optware/syno-i686/cross/stable/syno-i686-bootstrap_1.2-7_i686.xsh

다음과 같이 실행합니다.

chmod +x syno-i686-bootstrap_1.2-7_i686.xsh
sh syno-i686-bootstrap_1.2-7_i686.xsh
rm syno-i686-bootstrap_1.2-7_i686.xsh    // 실행 후에는 필요 없으므로 삭제

이후 ipkg 프로그램은 "/opt/bin" 경로에 설치되므로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됩니다.

~# /opt/bin/ipkg

// 또는 그냥 ipkg로 실행합니다.

~# ipkg

자, 그럼 이제 ipkg로 가용한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 ipkg update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됩니다. gcc를 설치하기로 했으니 ^^ 다음과 같이 설치합니다.

~# ipkg install gcc

// 또는 gcc를 비롯해 각종 개발 도구를 함께 설치해 주는 optware-devel을 설치

~# ipkg install optware-devel




확인을 해봐야겠죠. ^^ 테스트용 hello world를 만들어,

#include <stdio.h>

int main (void)
{
  printf ("Hello, world!\n");
  return 0;
}

빌드하는데 오류가 발생합니다.

$ gcc hello.c -o hello
Segmentation fault

혹시 이 오류 해결하신 분 계시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 저는 이 오류를 해결하지 못해 어쩔 수 없이 ipkg를 포기하고 opkg 패키지 관리자로 갈아타서 해결했습니다.

Synology NAS(DS216+II)에서 실행한 gcc의 Segmentation fault
; https://www.sysnet.pe.kr/2/0/11706

언젠가는 ipkg의 gcc(버전 4.2.1)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에 이 기록을 남겨둡니다.




참고로, optware-devel 도구 설치 시 wget 오류가 다음과 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An error ocurred, return value: 1.
Collected errors:
Cannot find package crosstool-native.
Check the spelling or perhaps run 'ipkg update'
ERROR: The following packages conflict with wget-ssl:
         wget

이런 경우 그냥 wget을 지우고 wget-ssl을 다시 설치하면 됩니다.

ipkg remove wget
ipkg install wget-ssl




저처럼 Visual Studio 사용자라면 ^^ makefile에 익숙지 않을 텐데요, 처음 수작업으로 만들어 본 makefile에서,

test.out: test.o
    gcc -o test.out test.o

test.o: test.c
    gcc -c -o test.o test.c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makefile:2: *** missing separator.  Stop.

간단합니다. makefile이 들여 쓰기를 인식하는데 반드시 탭(\t) 문자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test.out: test.o
    gcc -o test.out test.o   # 이 라인의 시작이 공백이 아닌 탭 문자

test.o: test.c
    gcc -c -o test.o test.c  # 이 라인의 시작이 공백이 아닌 탭 문자

재미있는 것은 탭 문자에 준하는 8개의 공백을 넣어도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makefile:2: *** missing separator (did you mean TAB instead of 8 spaces?).  Stop.

그러니까, 무조건 탭 문자여야 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68정성태1/17/20253096Windows: 277.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13867정성태1/17/20254045오류 유형: 943. Hyper-V에 Windows 11 설치 시 "This PC doesn't currently meet Windows 11 system requirements" 오류
13866정성태1/16/20254246개발 환경 구성: 739. Windows 10부터 바뀐 device driver 서명 방법
13865정성태1/15/20253931오류 유형: 942. C# - .NET Framework 4.5.2 이하의 버전에서 HttpWebRequest로 https 호출 시 "System.Net.WebException" 예외 발생
13864정성태1/15/20253892Linux: 114. eBPF를 위해 필요한 SELinux 보안 정책
13863정성태1/14/20253342Linux: 113. Linux - 프로세스를 위한 전용 SELinux 보안 문맥 지정
13862정성태1/13/20253616Linux: 112. Linux - 데몬을 위한 SELinux 보안 정책 설정
13861정성태1/11/20253907Windows: 276. 명령행에서 원격 서비스를 동기/비동기로 시작/중지
13860정성태1/10/20253599디버깅 기술: 216. WinDbg - 2가지 유형의 식 평가 방법(MASM, C++)
13859정성태1/9/20253954디버깅 기술: 215. Windbg - syscall 이후 실행되는 KiSystemCall64 함수 및 SSDT 디버깅
13858정성태1/8/20254100개발 환경 구성: 738. PowerShell - 원격 호출 시 "powershell.exe"가 아닌 "pwsh.exe" 환경으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
13857정성태1/7/20254137C/C++: 187. Golang -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Linux 데몬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변경파일 다운로드1
13856정성태1/6/20253711디버깅 기술: 214. Windbg - syscall 단계까지의 Win32 API 호출 (예: Sleep)
13855정성태12/28/20244444오류 유형: 941. Golang - os.StartProcess() 사용 시 오류 정리
13854정성태12/27/20244543C/C++: 186. Golang -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NT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변경파일 다운로드1
13853정성태12/26/20244012디버깅 기술: 213. Windbg - swapgs 명령어와 (Ring 0 커널 모드의) FS, GS Segment 레지스터
13852정성태12/25/20244466디버깅 기술: 212. Windbg - (Ring 3 사용자 모드의) FS, GS Segment 레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3851정성태12/23/20244228디버깅 기술: 211. Windbg - 커널 모드 디버깅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방법
13850정성태12/23/20244725오류 유형: 940. "Application Information" 서비스를 중지한 경우, "This file does not have an app associated with it for performing this action."
13849정성태12/20/20244861디버깅 기술: 210. Windbg - 논리(가상) 주소를 Segmentation을 거쳐 선형 주소로 변경
13848정성태12/18/20244807디버깅 기술: 209. Windbg로 알아보는 Prototype PTE파일 다운로드2
13847정성태12/18/20244839오류 유형: 939. golang - 빌드 시 "unknown directive: toolchain" 오류 빌드 시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면?
13846정성태12/17/20245052디버깅 기술: 208. Windbg로 알아보는 Trans/Soft PTE와 2가지 Page Fault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845정성태12/16/20244512디버깅 기술: 207. Windbg로 알아보는 PTE (_MMPTE)
13844정성태12/14/20245193디버깅 기술: 206. Windbg로 알아보는 PFN (_MMPFN)파일 다운로드1
13843정성태12/13/20244381오류 유형: 938. Docker container 내에서 빌드 시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 to "...". Access to the path '...' is denie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