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Named 동기화 개체 생성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

보통, "Named" 커널 동기화 개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프로세스(EXE)" 간에 동기화가 필요한 경우일 텐데요. 예를 들어 Mutex를 사용하는 경우, 코드는 대개 다음과 같이 작성될 것입니다.

using (Mutex mutex = new Mutex(false, "...[mutex name]..."))
{
    ...
}

테스트를 위해, 다음과 같은 2개의 프로세스가 있다고 가정하면,

  • Local SYSTEM 권한의 w3wp.exe
  • Network Service 권한의 w3wp.exe

이런 상황에서, 같은 이름의 Mutex를 "SYSTEM" 권한의 w3wp.exe가 먼저 열고, 후에 Network Service 권한의 w3wp.exe에서 사용하려는 조합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Access to the path '....' is denied.

이유는 간단합니다. 상위 권한의 프로세스에서 이미 해당 Mutex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하위 권한의 프로세스에서 동일한 Mutex를 열려고 했을 때 보안이 부족해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아래의 글에서 나온데로 작성해 주어야 합니다.

C# mutex - error calling from ASP.NET and console application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355816/c-sharp-mutex-error-calling-from-asp-net-and-console-application

즉, "SYSTEM" 권한의 프로세스에서 먼저 Named Mutex를 여는 시점에 다른 계정에서도 열 수 있도록 명시적인 보안 허가 설정을 해주는 것입니다.

var sid = new SecurityIdentifier(WellKnownSidType.WorldSid, null); 
var mutexsecurity = new MutexSecurity(); 
mutexsecurity.AddAccessRule(new MutexAccessRule(sid, MutexRights.FullControl, AccessControlType.Allow)); 
mutexsecurity.AddAccessRule(new MutexAccessRule(sid, MutexRights.ChangePermissions, AccessControlType.Deny)); 
bool created;

mutex = new Mutex(false, "...", out created, mutexsecurity);

제목에서도 언급했지만, 이는 Mutex에만 해당하지 않고 기타 - EventWaitHandle처럼 - 동일하게 이름을 갖는 커널 동기화 개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39정성태2/16/202113295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13611.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14892.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13781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13047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13284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12923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13570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12691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16698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13878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13274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13476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10773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10262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11933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12076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13922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13669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12060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12519정성태1/30/202110641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
12518정성태1/30/202128543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
12517정성태1/30/202116483Linux: 36.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
12516정성태1/29/202112866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12515정성태1/28/202114229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12514정성태1/28/202114311.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