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

지난 글에서 살펴본 FTDI 장치를,

PC에 연결해 동작하는 자신만의 USB 장치 만들어 보기
; https://www.sysnet.pe.kr/2/0/11606

제가 가지고 있는 "라즈베리 파이 Zero W" 모델에 사용해 봤습니다. 그냥 마이크로 USB 단자에 연결 및 해제 시 dmesg 로그를 보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처음 연결했을 때]
Indeed it is in host mode hprt0 = 00021501
usb 1-1: new full-speed USB device number 2 using dwc_otg
Indeed it is in host mode hprt0 = 00021501
usb 1-1: New USB device found, idVendor=0403, idProduct=6001
usb 1-1: New USB device strings: Mfr=1, Product=2, SerialNumber=3
usb 1-1: Product: FT232R USB UART
usb 1-1: Manufacturer: FTDI
usb 1-1: SerialNumber: A901J4AU
NOHZ: local_softirq_pending 40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usbserial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usbserial_generic
usbserial: USB Serial support registered for generic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ftdi_sio
usbserial: USB Serial support registered for FTDI USB Serial Device
ftdi_sio 1-1:1.0: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detected
usb 1-1: Detected FT232RL
usb 1-1: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now attached to ttyUSB0

[연결 해제 시]
usb 1-1: USB disconnect, device number 2
ftdi_sio ttyUSB0: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now disconnected from ttyUSB0
ftdi_sio 1-1:1.0: device disconnected

[두 번째 연결 시]
Indeed it is in host mode hprt0 = 00021501
usb 1-1: new full-speed USB device number 3 using dwc_otg
Indeed it is in host mode hprt0 = 00021501
usb 1-1: New USB device found, idVendor=0403, idProduct=6001
usb 1-1: New USB device strings: Mfr=1, Product=2, SerialNumber=3
usb 1-1: Product: FT232R USB UART
usb 1-1: Manufacturer: FTDI
usb 1-1: SerialNumber: A901J4AU
ftdi_sio 1-1:1.0: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detected
usb 1-1: Detected FT232RL
usb 1-1: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now attached to ttyUSB0

위의 메시지에 나온 데로 tty 장치에는 다음과 같이 ttyUSB0가 열거됩니다.

$ ls /dev/ttyUSB*
/dev/ttyUSB0




자, 그럼 "PC에 연결해 동작하는 자신만의 USB 장치 만들어 보기" 글에서 했던 대로 DTR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C/C++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쉽지만 Raspberry PI Zero에서는 .NET Core가 지원이 안되므로 C/C++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Visual Studio의 리눅스 지원이 워낙 훌륭해서,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1358

윈도우에서도 쉽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저 글을 쓸 때와는 또 다르게 자동으로 include 관련 파일들도 싱크를 맞춰주기 때문에,

IntelliSense for Remote Linux Headers
; https://blogs.msdn.microsoft.com/vcblog/2018/04/09/intellisense-for-remote-linux-headers/

인텔리센스 환경까지 제공합니다. 어쨌든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만들고,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include <stdlib.h>
#include <fcntl.h>
#include <sys/ioctl.h>
#include <unistd.h>

using namespace std;

int main(int argc, char *argv[])
{
    // http://xanthium.in/Controlling-RTS-and-DTR-pins-SerialPort-in-Linux

    string portNumber = "0";
    string portName = "/dev/ttyUSB";

    if (argc < 2)
    {
        cout << "FtdiApp [portNumber]" << endl;
        cout << "ex - set DTR on /dev/ttyUSB0" << endl;
        cout << "\t" << "FtdiApp 0" << endl;
        return 1;
    }

    portNumber = argv[1];
    portName.append(portNumber);

    int fd = open(portName.c_str(), O_RDWR | O_NOCTTY);
    if (fd == -1)
    {
        cout << "NO Port: " << portName << endl;
        return 1;
    }

    int dtrFlag = TIOCM_DTR;
    ioctl(fd, TIOCMBIS, &dtrFlag);

    cout << "Press any key to clear DTR again." << endl;
    
    char notUsed[80];
    fgets(notUsed, sizeof(notUsed), stdin);

    ioctl(fd, TIOCMBIC, &dtrFlag);
    close(fd);

    return 0;
}

빌드하면 Raspberry PI Zero에 배포가 됩니다. 실습까지 해봐야겠죠? ^^ 이를 위해 FTDI Basic 모듈을 USB 케이블로 Raspberry pi zero와 연결하고 FTDI Basic 모듈과 LED를 다음과 같이 연결해 줍니다.

ftdi_raspberrypi_1.png

ftdi_raspberrypi_2.png

그런 다음, 라즈베리 파이의 연결 콘솔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리면 됩니다.

$ ./FtdiApp 0

실행 후 다음번 엔터 키를 누를 때까지 LED의 불이 들어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예제 C++ 프로젝트와 회로도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아직 Visual Studio 2017의 인텔리센스를 위한 리눅스 헤더 파일 지원이 불안정한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를 다시 로드했더니 인텔리센스 기능이 모두 풀렸는데요, 그래서 다시 "Tools" / "Options"의 "Cross Platform" / "Connection Manager" / "Remote Headers IntelliSense Manager"를 통해 업데이트했는데도,

ftdi_raspberrypi_3.png

(위의 화면에서 "Explore" 버튼을 누르면 열리는) 헤더 파일에 대한 로컬 캐시가 그냥 비어 있는 체로 남아 있었습니다. 할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그냥 수작업으로 헤더 파일을 모두 복사해야 합니다. 방법은 다음의 글에도 나오지만,

Visual C++ for Linux Development
; https://blogs.msdn.microsoft.com/vcblog/2016/03/30/visual-c-for-linux-development/

pscp를 이용해,

Download PuTTY: latest release 
;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download.html

다음과 같은 식으로 헤더 파일을 로컬 캐시에 복사하면 됩니다. (또는 네트워크 공유 폴더를 접근해 복사해도 상관없습니다.)

pscp -r [pi_user_name]@[pi_address]:/usr/include .

가령 다음과 같은 환경인 경우,

로컬 캐시 경로: %LOCALAPPDATA%\Microsoft\Linux\HeaderCache\1.0\-1370237495\usr
PI 사용자 계정: mypi
PI 주소: 192.168.100.5

다음과 같이 입력해 주면 됩니다.

C:\temp> cd %LOCALAPPDATA%\Microsoft\Linux\HeaderCache\1.0\-1370237495\usr

C:\Users\...[생략]...\-1370237495\usr> pscp -r mypi@192.168.100.5:/usr/include .
mypi@192.168.100.5's password:

Visual Studio 2017은 로컬 헤더 파일의 변경을 인식하고 곧바로 다시 인텔리센스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09정성태11/17/201624169.NET Framework: 625. ASP.NET에서 System.Web.HttpApplication 인스턴스는 다중으로 생성됩니다.
11108정성태11/13/201622752.NET Framework: 624. WPF - Line 요소를 Canvas에 위치시켰을 때 흐림(blur)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107정성태11/9/201627497오류 유형: 371. Post cache substitution is not compatible with modules in the IIS integrated pipeline that modify the response buffers.파일 다운로드1
11106정성태11/8/201627764.NET Framework: 623. C# - PeerFinder를 이용한 Wi-Fi Direct 데이터 통신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105정성태11/8/201622418.NET Framework: 622. PeerFinder Wi-Fi Direct 통신 시 Read/Write/Dispose 문제
11104정성태11/8/201620797개발 환경 구성: 305.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11103정성태11/8/201621900오류 유형: 370. PeerFinder.ConnectAsync의 결과 값인 Task.Result를 호출할 때 System.AggregateException 예외 발생
11102정성태11/8/201621861오류 유형: 369. PeerFinder.FindAllPeersAsync 호출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
11101정성태11/8/201623476.NET Framework: 621.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11100정성태11/7/201631745개발 환경 구성: 304. Wi-Fi Direct 지원 여부 확인 방법 [1]
11099정성태11/7/201633712.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1098정성태11/7/201622817오류 유형: 368. 빌드 이벤트에서 robocopy 사용 시 $(TargetDir) 매크로를 지정하는 경우 오류 발생
11097정성태11/7/201625627오류 유형: 367. go install: no install location for directory [...경로...] outside GOPATH
11096정성태11/6/201628856디버깅 기술: 83. PDB 파일을 수동으로 다운로드하는 방법
11095정성태11/6/201626186.NET Framework: 619. C# - Cognitive Services 중의 하나인 Face API를 사용해 얼굴 인식 및 흐림(blur) 효과 적용 [1]파일 다운로드1
11094정성태11/5/201627526VC++: 105. Visual Studio 2013/2015 - Ceemple OpenCV 확장을 이용한 웹캠 영상 출력
11093정성태11/4/201627405웹: 34. Edge 브라우저도 지원하는 클립보드 복사를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
11092정성태11/3/201634643.NET Framework: 618. C# - NAudio를 이용한 MP3 파일 재생 [5]파일 다운로드1
11091정성태11/3/201627894VC++: 104. std::call_once를 이용해 thread-safe한 Singleton 객체 생성파일 다운로드1
11090정성태11/1/201629358VC++: 103. C++ CreateTimerQueue, CreateTimerQueueTimer 예제 코드 [9]파일 다운로드1
11089정성태11/1/201629693디버깅 기술: 82. Windows 10을 위한 Symbol(PDB) 파일 내려받는 방법 [2]
11088정성태11/1/201632279.NET Framework: 617. C# - AForge.NET을 이용한 MP4 동영상 파일 재생 [7]파일 다운로드1
11087정성태11/1/201626499.NET Framework: 616. AForge.Video.FFMPEG를 최신 버전의 ffmpeg 파일로 의존성을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086정성태11/1/201621160오류 유형: 366. The Microsoft Passport Container service terminated with the following error: General access denied error
11085정성태10/27/201636397.NET Framework: 615. C# - AForge.NET을 이용한 웹캠 영상 출력 [2]파일 다운로드1
11084정성태10/26/201623931오류 유형: 365. The User Profile Service service failed to the sign-in.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