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

지난 글에서 살펴본 FTDI 장치를,

PC에 연결해 동작하는 자신만의 USB 장치 만들어 보기
; https://www.sysnet.pe.kr/2/0/11606

제가 가지고 있는 "라즈베리 파이 Zero W" 모델에 사용해 봤습니다. 그냥 마이크로 USB 단자에 연결 및 해제 시 dmesg 로그를 보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처음 연결했을 때]
Indeed it is in host mode hprt0 = 00021501
usb 1-1: new full-speed USB device number 2 using dwc_otg
Indeed it is in host mode hprt0 = 00021501
usb 1-1: New USB device found, idVendor=0403, idProduct=6001
usb 1-1: New USB device strings: Mfr=1, Product=2, SerialNumber=3
usb 1-1: Product: FT232R USB UART
usb 1-1: Manufacturer: FTDI
usb 1-1: SerialNumber: A901J4AU
NOHZ: local_softirq_pending 40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usbserial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usbserial_generic
usbserial: USB Serial support registered for generic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ftdi_sio
usbserial: USB Serial support registered for FTDI USB Serial Device
ftdi_sio 1-1:1.0: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detected
usb 1-1: Detected FT232RL
usb 1-1: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now attached to ttyUSB0

[연결 해제 시]
usb 1-1: USB disconnect, device number 2
ftdi_sio ttyUSB0: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now disconnected from ttyUSB0
ftdi_sio 1-1:1.0: device disconnected

[두 번째 연결 시]
Indeed it is in host mode hprt0 = 00021501
usb 1-1: new full-speed USB device number 3 using dwc_otg
Indeed it is in host mode hprt0 = 00021501
usb 1-1: New USB device found, idVendor=0403, idProduct=6001
usb 1-1: New USB device strings: Mfr=1, Product=2, SerialNumber=3
usb 1-1: Product: FT232R USB UART
usb 1-1: Manufacturer: FTDI
usb 1-1: SerialNumber: A901J4AU
ftdi_sio 1-1:1.0: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detected
usb 1-1: Detected FT232RL
usb 1-1: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now attached to ttyUSB0

위의 메시지에 나온 데로 tty 장치에는 다음과 같이 ttyUSB0가 열거됩니다.

$ ls /dev/ttyUSB*
/dev/ttyUSB0




자, 그럼 "PC에 연결해 동작하는 자신만의 USB 장치 만들어 보기" 글에서 했던 대로 DTR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C/C++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쉽지만 Raspberry PI Zero에서는 .NET Core가 지원이 안되므로 C/C++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Visual Studio의 리눅스 지원이 워낙 훌륭해서,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1358

윈도우에서도 쉽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저 글을 쓸 때와는 또 다르게 자동으로 include 관련 파일들도 싱크를 맞춰주기 때문에,

IntelliSense for Remote Linux Headers
; https://blogs.msdn.microsoft.com/vcblog/2018/04/09/intellisense-for-remote-linux-headers/

인텔리센스 환경까지 제공합니다. 어쨌든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만들고,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include <stdlib.h>
#include <fcntl.h>
#include <sys/ioctl.h>
#include <unistd.h>

using namespace std;

int main(int argc, char *argv[])
{
    // http://xanthium.in/Controlling-RTS-and-DTR-pins-SerialPort-in-Linux

    string portNumber = "0";
    string portName = "/dev/ttyUSB";

    if (argc < 2)
    {
        cout << "FtdiApp [portNumber]" << endl;
        cout << "ex - set DTR on /dev/ttyUSB0" << endl;
        cout << "\t" << "FtdiApp 0" << endl;
        return 1;
    }

    portNumber = argv[1];
    portName.append(portNumber);

    int fd = open(portName.c_str(), O_RDWR | O_NOCTTY);
    if (fd == -1)
    {
        cout << "NO Port: " << portName << endl;
        return 1;
    }

    int dtrFlag = TIOCM_DTR;
    ioctl(fd, TIOCMBIS, &dtrFlag);

    cout << "Press any key to clear DTR again." << endl;
    
    char notUsed[80];
    fgets(notUsed, sizeof(notUsed), stdin);

    ioctl(fd, TIOCMBIC, &dtrFlag);
    close(fd);

    return 0;
}

빌드하면 Raspberry PI Zero에 배포가 됩니다. 실습까지 해봐야겠죠? ^^ 이를 위해 FTDI Basic 모듈을 USB 케이블로 Raspberry pi zero와 연결하고 FTDI Basic 모듈과 LED를 다음과 같이 연결해 줍니다.

ftdi_raspberrypi_1.png

ftdi_raspberrypi_2.png

그런 다음, 라즈베리 파이의 연결 콘솔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리면 됩니다.

$ ./FtdiApp 0

실행 후 다음번 엔터 키를 누를 때까지 LED의 불이 들어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예제 C++ 프로젝트와 회로도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아직 Visual Studio 2017의 인텔리센스를 위한 리눅스 헤더 파일 지원이 불안정한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를 다시 로드했더니 인텔리센스 기능이 모두 풀렸는데요, 그래서 다시 "Tools" / "Options"의 "Cross Platform" / "Connection Manager" / "Remote Headers IntelliSense Manager"를 통해 업데이트했는데도,

ftdi_raspberrypi_3.png

(위의 화면에서 "Explore" 버튼을 누르면 열리는) 헤더 파일에 대한 로컬 캐시가 그냥 비어 있는 체로 남아 있었습니다. 할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그냥 수작업으로 헤더 파일을 모두 복사해야 합니다. 방법은 다음의 글에도 나오지만,

Visual C++ for Linux Development
; https://blogs.msdn.microsoft.com/vcblog/2016/03/30/visual-c-for-linux-development/

pscp를 이용해,

Download PuTTY: latest release 
;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download.html

다음과 같은 식으로 헤더 파일을 로컬 캐시에 복사하면 됩니다. (또는 네트워크 공유 폴더를 접근해 복사해도 상관없습니다.)

pscp -r [pi_user_name]@[pi_address]:/usr/include .

가령 다음과 같은 환경인 경우,

로컬 캐시 경로: %LOCALAPPDATA%\Microsoft\Linux\HeaderCache\1.0\-1370237495\usr
PI 사용자 계정: mypi
PI 주소: 192.168.100.5

다음과 같이 입력해 주면 됩니다.

C:\temp> cd %LOCALAPPDATA%\Microsoft\Linux\HeaderCache\1.0\-1370237495\usr

C:\Users\...[생략]...\-1370237495\usr> pscp -r mypi@192.168.100.5:/usr/include .
mypi@192.168.100.5's password:

Visual Studio 2017은 로컬 헤더 파일의 변경을 인식하고 곧바로 다시 인텔리센스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55정성태9/22/201434271오류 유형: 241. Unity Web Player를 설치해도 여전히 설치하라는 화면이 나오는 경우 [4]
1754정성태9/22/201424596VC++: 80. 내 컴퓨터에서 C++ AMP 코드가 실행이 될까요? [1]
1753정성태9/22/201420601오류 유형: 240. Lync로 세미나 참여 시 소리만 들리지 않는 경우 [1]
1752정성태9/21/201441064Windows: 100. 윈도우 8 - RDP 연결을 이용해 VNC처럼 사용자 로그온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 [5]
1751정성태9/20/201438930.NET Framework: 464. 프로세스 간 통신 시 소켓 필요 없이 간단하게 Pipe를 열어 통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50정성태9/20/201423828.NET Framework: 463. PInvoke 호출을 이용한 비동기 파일 작업파일 다운로드1
1749정성태9/20/201423730.NET Framework: 462. 커널 객체를 위한 null DACL 생성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48정성태9/19/201425379개발 환경 구성: 238. [Synergy] 여러 컴퓨터에서 키보드, 마우스 공유
1747정성태9/19/201428406오류 유형: 239. psexec 실행 오류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746정성태9/18/201426091.NET Framework: 46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 두 번째 이야기 [6]파일 다운로드1
1745정성태9/17/201423033개발 환경 구성: 237. 리눅스 Integration Services 버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1]
1744정성태9/17/201431046.NET Framework: 460. GetTickCount / GetTickCount64와 0x7FFE0000 주솟값 [4]파일 다운로드1
1743정성태9/16/201420983오류 유형: 238. 설치 오류 - Failed to get size of pseudo bundle
1742정성태8/27/201426955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2]
1741정성태8/26/201421330.NET Framework: 459. GetModuleHandleEx로 알아보는 .NET 메서드의 DLL 모듈 관계파일 다운로드1
1740정성태8/25/201432501.NET Framework: 458. 닷넷 GC가 순환 참조를 해제할 수 있을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739정성태8/24/201426506.NET Framework: 457. 교착상태(Dead-lock) 해결 방법 - Lock Leveling [2]파일 다운로드1
1738정성태8/23/201422042.NET Framework: 456. C# - CAS를 이용한 Lock 래퍼 클래스파일 다운로드1
1737정성태8/20/201419750VS.NET IDE: 93. Visual Studio 2013 동기화 문제
1736정성태8/19/201425566VC++: 79. [부연] CAS Lock 알고리즘은 과연 빠른가? [2]파일 다운로드1
1735정성태8/19/201418155.NET Framework: 455.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두 번째 이야기
1734정성태8/13/201419815오류 유형: 237. Windows Media Player cannot access the file. The file might be in use, you might not have access to the computer where the file is stored, or your proxy settings might not be correct.
1733정성태8/13/201426343.NET Framework: 454. EmptyWorkingSet Win32 API를 사용하는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732정성태8/13/201434462Windows: 99.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1731정성태8/11/201427071개발 환경 구성: 235.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명을 탐색기에서 만드는 방법
1730정성태8/11/201422157개발 환경 구성: 234. Royal TS의 터미널(Terminal) 연결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해결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