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 https://www.sysnet.pe.kr/2/0/1356

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603

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42

개발 환경 구성: 317. Hyper-V 내의 VM에서 다시 Hyper-V를 설치: Nested Virtualization
; https://www.sysnet.pe.kr/2/0/11218

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720

.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1722

디버깅 기술: 169. Hyper-V의 VM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4

개발 환경 구성: 608. Hyper-V 가상 머신에 Console 모드로 로그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59

개발 환경 구성: 664.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46

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64

개발 환경 구성: 718. Hyper-V - 리눅스 VM에 새로운 디스크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706

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 https://www.sysnet.pe.kr/2/0/13901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

지난 글에서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가 어떻게 설정되는지 설명했습니다.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720

사실 저렇게 매핑된 named pipe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바로 windbg입니다.

Windbg - Hyper-V 윈도우 7 원격 디버깅 구성
; https://www.sysnet.pe.kr/2/0/938

혹시 windbg 말고, 우리도 저걸로 가상 머신 내의 COM 클라이언트와 통신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를 위해 간단하게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설정 방식은 간단합니다.

  • Host 측 프로그램은 Named Pipe Client 역할을 하고, Hyper-V가 열어 놓은 Named Pipe Server에 접속
  • VM 측 프로그램은 Serial Port Client 역할을 하고, VM에 연결된 COM Port에 접속

우선, Host 측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IO.Pipes;
using System.Security.Principal;
using System.Text;

namespace PipeApp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amedPipeClientStream pipeClient =
                    new NamedPipeClientStream(".", "myPipe2",
                        PipeDirection.InOut, PipeOptions.None,
                        TokenImpersonationLevel.Impersonation);

            pipeClient.Connect();
            Console.WriteLine("Connected...");

            while (true)
            {
                byte[] inBuffer = new byte[1024];
                int readBytes = 0;

                readBytes = pipeClient.Read(inBuffer, 0, 1024);

                string ascii = Encoding.ASCII.GetString(inBuffer, 0, readBytes);
                Console.Write(ascii);
            }

            pipeClient.Close();
        }
    }
}

위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호스트 측은 Hyper-V 내의 VM에 대해 COM 포트 중의 하나를 다음과 같이 PowerShell로 이름을 myPipe로 연결해 줘야 합니다.

PS C:\WINDOWS\system32> Set-VMComPort -VMName win10en -Path \\.\pipe\myPipe2 -Number 1

PS C:\WINDOWS\system32> Get-VMComPort -VMName win10en

VMName  Name  Path
------  ----  ----
win10en COM 1 \\.\pipe\myPipe2
win10en COM 2

그다음, VM 측에서는 제공되는 COM 1 포트에 접속해 단순 문자열을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해 VM 내에서 실행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IO.Port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Text;

namespace SerialPortApp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 (RuntimeInformation.IsOSPlatform(OSPlatform.Windows))
            {
                Console.WriteLine("On Windows");
                foreach (string portName in SerialPort.GetPortNames())
                {
                    SerialPort sps = new SerialPort(portName,
                        115200, System.IO.Ports.Parity.None, 8, System.IO.Ports.StopBits.One);
                    sps.Open();

                    byte [] contents = Encoding.ASCII.GetBytes("test is good");
                    sps.Write(contents, 0, contents.Length);

                    sps.Close();
                    Console.WriteLine(portName);
                }
            }
        }
    }
}

만들어 놓고 보니 간단하군요. ^^ 실행해보면 정상적으로 통신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리눅스 VM의 경우에는 어떨까요? 일례로, Hyper-V의 MobyLinuxVM인 경우에도 "/dev/ttyS0"은 이미 docker에서 점유하고 있으므로 "/dev/ttyS1"의 SerialPort를 열어,

if (RuntimeInformation.IsOSPlatform(OSPlatform.Linux))
{
    Console.WriteLine("On Linux");
    foreach (string portName in SerialPortStream.GetPortNames())
    {
        // Hyper-V 가상머신이 아닌, 물리 PC의 리눅스 머신으로 하면 /dev/ttyUSB0과 같은 식의 이름으로 됩니다.
        if (portName == "/dev/ttyS1")
        {
            SerialPortStream sps = new SerialPortStream(portName,
                115200, 8, RJCP.IO.Ports.Parity.None, RJCP.IO.Ports.StopBits.One);
            sps.Open();

            sps.WriteLine("test is good");
            sps.Flush();

            sps.Close();
        }

        Console.WriteLine(portName);
    }
}

통신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호스트 측의 named pipe 연결 프로그램 대신 putty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Serial"로 설정 후 경로를 COM 포트 이름 대신 named pipe 형식으로 지정해도 됩니다.

hyperv_com_to_namedpipe_1.png




이를 활용하면, Hyper-V를 호스팅하는 물리 컴퓨터에 꽂힌 Serial 장비를 VM 내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즉, 호스트 측에서 실행하는 중계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 VM 내의 Serial 제어를 named pipe로부터 받아 물리 장비에 연결된 Serial 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마도 위의 중계 프로그램을 굳이 만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테스트하진 않았는데 아마 다음의 프로그램이 그러한 역할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보입니다. ^^

albertjan/PipeToCom 
    - Couple your Hyper-V namedpipe comport to a real one. 
; https://github.com/albertjan/PipeToCom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4/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33정성태1/12/200732921Windows: 14. 보호 모드와 필수 무결성 제어(MIC: Mandatory Integrity Control) [3]파일 다운로드1
432정성태1/10/200723992Windows: 13. InitOnceExecuteOnce API 소개 [5]
431정성태1/8/200721582Windows: 12. 비스타는 안전한 윈도우인가? [2]
430정성태1/7/200727538웹: 6. IIS 7 마이그레이션 정리 - Sysnet
427정성태12/30/200618244Team Foundation Server: 14. VS.NET IDE에 통합된 TFS Annotate [1]
425정성태12/29/200622161Windows: 11. Vista IIS 7(Integrated mode)에서의 ASP.NET F5 디버깅 방법
424정성태12/29/200620276기타: 16. 첫걸음 [2]
426정성태12/30/200618696    답변글 기타: 16.1. 예외 발생
420정성태12/27/200623347Windows: 10. Internet Explorer 7.0 호환성 백서 (Word 문서, 1.92MB) [7]파일 다운로드1
419정성태12/25/200625050Windows: 9. VS.NET 2005 원격 디버깅 구성
418정성태12/25/200633133웹: 5. IIS 7에서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 사용 시 주의점 [2]
417정성태12/24/200625652Windows: 8. VS.NET 2005에서의 웹 애플리케이션 디버깅 설정
416정성태1/31/200725631오류 유형: 23. MSI 설치 시 로그 파일 생성하는 레지스트리 설정 [3]
415정성태12/31/200629448개발 환경 구성: 20. 인증서 오류 체크 목록
413정성태12/20/200626336VC++: 26. volatile 키워드 [1]파일 다운로드1
412정성태12/17/200630131오류 유형: 22. VS.NET 2005 SP1 설치 도중 오류 [9]
411정성태12/16/200619175오류 유형: 21.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2) - KB919156 패치 이후 TFS 접근 문제
410정성태12/16/200620527오류 유형: 20.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1) - KB919156 패치
408정성태12/10/200622706Windows: 7. USB 드라이브 내용 암호화
407정성태12/10/200620318오류 유형: 19. Vista 에서의 VS.NET 2005 로 개발한 어셈블리에 대한 서명 확인 오류
406정성태12/10/200625102Windows: 6. IE 7 검색 공급자 - 영한 사전
403정성태12/6/200632195Windows: 5. Vista 와 웹 인증 등록 서비스의 문제 [5]
402정성태12/11/200623199Windows: 4. Vista 설치 후기 [1]
409정성태12/11/200627200    답변글 Windows: 4.1. Vista 설치 후기 - 두 번째 이야기 [3]
396정성태2/13/200729897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393정성태11/8/200619444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