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windbg - GC Heap에서 .NET 타입에 대한 배열을 찾는 방법

.NET 입장에서, 배열은 결국 System.Array를 상속받은 개체로 다뤄집니다. 지난번 이야기에서 "System.Char[]" 개체가 "dumpheap -stat" 명령으로 확인되었던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StringBuilder에서의 OutOfMemoryException 오류 원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171

Primitive 타입에 대한 배열은 그렇다 치고, 기타 타입들에 대한 배열은 "dumpheap -stat"에서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제를 다뤄볼까요?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gram[] pgList = new Program[0];
            Thread.Sleep(-1);
        }
    }
}

위와 같은 코드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windbg로 로드하고 Thread.Sleep까지 진행 시킨 후, Heap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0:004> .loadby sos clr

0:004>  !dumpheap -stat
total 0 objects
Statistics:
      MT    Count    TotalSize Class Name
72fd5f10        1           12 System.Security.HostSecurityManager
72fd5938        1           12 System.Collections.Generic.ObjectEqualityComparer`1[[System.Type, mscorlib]]
72fd4b44        1           12 System.Security.Permissions.ReflectionPermission
72fd4a60        1           12 System.Security.Permissions.FileDialogPermission
72fd4980        1           12 System.Security.PolicyManager
72fd4898        1           12 System.Security.SecurityDocument
72fd27fc        1           12 System.Collections.Generic.GenericEqualityComparer`1[[System.String, mscorlib]]
72fd5ec8        1           16 System.Security.Policy.Evidence+EvidenceLockHolder
72fd4bf4        1           16 System.Security.Permissions.UIPermission
72fd4640        1           16 System.Security.Util.Parser
... [생략] ...
72fcf92c      469        15652 System.String
72f86ba8       67        19148 System.Object[]
Total 784 objects

예상대로라면, Count == 1, TotalSize == 12 조건을 만족하는 목록 중에서 "ConsoleApplication1.Program[]"인 항목이 나와야 하는데 없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아쉽게도 (네, 아쉽습니다.) Primitive 타입을 제외하고는 모든 타입에 대해서 "System.Object[]"로 통털어서 출력이 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부가적인 검사를 해야 합니다.

0:004> !dumpheap -mt 72f86ba8       
 Address       MT     Size
027d18e4 72f86ba8       88     
027d5578 72f86ba8       56     
027d55d0 72f86ba8       20     
027d55e4 72f86ba8       32     
027d5604 72f86ba8       20     
... [생략] ...
037d1010 72f86ba8     4096     
037d2020 72f86ba8      528     
037d2240 72f86ba8     4096     
total 0 objects
Statistics:
      MT    Count    TotalSize Class Name
72f86ba8       67        19148 System.Object[]
Total 67 objects

그런데, 과연 67개의 인스턴스 중에서 어떤 것이 Program[]의 개체일까요? (크기를 정확하게 알고 있다면 대상이 좀 더 축소가 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방법이 없습니다. 67개의 개체 모두 일일이 "!do" 명령어를 내려서 확인해야 합니다. 물론, 위의 경우에는 작은 프로그램이니 그나마 쉽게(?) 찾을 수 있겠지만 대형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어림도 없는 작업입니다.

대신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지름길을 선택하는 정도가 최선일 텐데요. 가령 예를 들어서, 위와 같은 예제 코드에서 pgList 인스턴스가 아직 스택에 존재할 거라는 정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찾아나서면 됩니다.

우선, "~*e!CLRStack" 명령어를 이용해서 pgList를 보유하고 있는 메서드를 어떤 스레드에서 실행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데,

0:004> ~*e!CLRStack
OS Thread Id: 0x2490 (0)
Child SP IP       Call Site
003af0dc 7762fd81 [HelperMethodFrame: 003af0dc] System.Threading.Thread.SleepInternal(Int32)
003af128 72f03409 System.Threading.Thread.Sleep(Int32)
003af12c 004b00e9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System.String[]) [D:\...\Program.cs @ 17]
003af398 73b421bb [GCFrame: 003af398] 
OS Thread Id: 0x1dd8 (1)
Unable to walk the managed stack. The current thread is likely not a managed thread. You can run !threads to get a list of managed threads in the process
OS Thread Id: 0x2c2c (2)
Child SP IP       Call Site
00fdfdd8 7763014d [DebuggerU2MCatchHandlerFrame: 00fdfdd8] 
OS Thread Id: 0x312c (3)
Unable to walk the managed stack. The current thread is likely not a managed thread. You can run !threads to get a list of managed threads in the process
OS Thread Id: 0x2ee8 (4)
Unable to walk the managed stack. The current thread is likely not a managed thread. You can run !threads to get a list of managed threads in the process

총 5개의 스레드가 실행되는 중에 우리가 원하는 메서드(Main)를 실행 중인 것은 0번 인덱스의 0x2490 스레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windbg의 스레드 문맥은 "0:004>" 프롬프트에서 알려주듯이 4번 인덱스의 스레드이므로 이후의 명령어를 진행하기에 앞서 스레드 전환을 해줍니다.

0:004> ~0s
eax=00000000 ebx=00000001 ecx=00000000 edx=00000000 esi=003aeff8 edi=00000000
eip=7762fd81 esp=003aefb4 ebp=003af01c iopl=0         nv up ei pl zr na pe nc
cs=0023  ss=002b  ds=002b  es=002b  fs=0053  gs=002b             efl=00000246
ntdll!NtDelayExecution+0x15:
7762fd81 83c404          add     esp,4

위와 같이 "~[스레드 인덱스 번호]s" 명령어 이외에, windbg의 "View" / "Processes and Threads (Alt+9)" 메뉴를 이용하여 GUI 윈도우에서 마우스를 이용하여 전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how_to_find_type_array_mt_1.png

그다음, 현재 선택된 스레드 문맥에 포함된 stack object들을 모두 나열시키면,

0:000> !dso
OS Thread Id: 0x2490 (0)
ESP/REG  Object   Name
003AF09C 027dbf80 System.Object[]    (System.String[])
003AF12C 027dbf90 System.Object[]    (ConsoleApplication1.Program[])
003AF130 027dbf90 System.Object[]    (ConsoleApplication1.Program[])
003AF134 027dbf90 System.Object[]    (ConsoleApplication1.Program[])
003AF140 027dbf80 System.Object[]    (System.String[])
003AF214 027dbf80 System.Object[]    (System.String[])
003AF3BC 027dbf80 System.Object[]    (System.String[])
003AF3F0 027dbf80 System.Object[]    (System.String[])

Name 필드에 친절하게도 어떤 타입의 배열인지 알려주기 때문에 쉽게 Object 주소를 알 수 있습니다. 이후의 Method Table이나 EEClass를 찾는 것은 목적에 따라 실행해 주시면 되겠고. ^^

0:000> !do 027dbf90 
Name:        System.Object[]
MethodTable: 72f86ba8
EEClass:     72d09688
Size:        20(0x14) bytes
Array:       Rank 1, Number of elements 1, Type CLASS
Element Type:ConsoleApplication1.Program
Fields:
None

0:000> !dumpmt 72f86ba8
EEClass:      72d09688
Module:       72cb1000
Name:         System.Object[]
mdToken:      02000000
File: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32\mscorlib\v4.0_4.0.0.0__b77a5c561934e089\mscorlib.dll
BaseSize:        0x10
ComponentSize:   0x4
Slots in VTable: 28
Number of IFaces in IFaceMap: 6

0:000> !dumpclass 72d09688
Class Name:      System.Object[]
mdToken:         02000000
File: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32\mscorlib\v4.0_4.0.0.0__b77a5c561934e089\mscorlib.dll
Parent Class:    72d08ad8
Module:          72cb1000
Method Table:    72f86ba8
Vtable Slots:    18
Total Method Slots:  1c
Class Attributes:    2101  
Transparency:        Transparent
NumInstanceFields:   0
NumStaticFields:     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57정성태11/15/201727012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28599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4478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28625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5822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1896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5169.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1131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1560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18048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1650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18196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6655.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18779.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19525.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18542.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19593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18761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19761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18128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17360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1467.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24375.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18175.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18483.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11325정성태10/14/201719330.NET Framework: 689.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