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2017을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및 디버깅)

사실 제가 이걸 소개는 해드리지만, 별로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Visual Studio Code 개발 환경이 "디버깅" 부분을 제외하고는 전혀 아쉬운 부분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혹시나 궁금하실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소개해 드리자면!

Visual Studio Code의 Arduino 확장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직접 만들었지만 Visual Studio IDE를 위한 Arduino 확장은 외부에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debug_arduino_code_1.png

아쉽게도 유료인데 최초 설치 후 90일까지 trial 할 수 있고 그 후에는 개인의 경우 $39로 한 대의 머신에 설치하거나, $50로 3대의 머신에 설치할 수 있으며 학생의 경우에는 50% 할인가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에 대한 설명입니다.

  • The Visual Micro licence model has changed. Visual Micro is free to download and evaluate for up to 90 days. Visual Micro is now one version with all features, there is no longer the concept of 'Pro'.
  • After 90 days the software will continue to work but then you really should buy
  • New pricing gives .edu/.ac students any licence at 50% discount (Coupon Code=STUDENT), other personal users $39 one machine, under $50 for 3 machines
  • Prices for Business users have been lowered so please do buy and support this project
  • Please update to the latest version of Visual Micro. The many changes in the Arduino framework (and Visual Micro) of the past 24 months are now implemented, well tried and well tested with many bug fixes and improvements. Thanks for the feedback!!
  • Free users must update to the latest version once every 12 months and suffer this nag screen once per usage day
  • Seek help or report issues in the visual micro forum
  • Click Close to continue using Visual Micro ...

(개발 도구의 편리함에 비하면 제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충분히 구매할 여지가 있는 가격이긴 합니다.)

어쨌든, 설치 후 최초 Visual Studio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기존 설치되어 있는 Arduino IDE의 버전 정보와 위치를 묻는 창이 뜹니다.

debug_arduino_code_2.png

정상적으로 입력하고 진행하면, 이제부터 다음과 같이 새 프로젝트 메뉴 쪽에 "Visual Micro"라는 범주와 함께 아두이노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debug_arduino_code_3.png

Arduino Library Project
Arduino Project
Arduino Project With Local Library
Arduino Shared Code Project
Blink Led Example

이후의 컴파일/빌드/인텔리센스 기능은 모두 여러분의 상식 선에서 기대하는 바대로 동작합니다.




Visual Studio Code의 확장과 비교해 이 제품의 장점은, "디버깅"이 제공된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디버깅만큼은 "상식적인 선"에서 되는 것을 기대하시면 안 됩니다.

기본적으로 디버깅은 BP를 실행 중에 잡을 수 없습니다. 즉, 실행 전에 미리 원하는 곳에 BP를 잡아 놓고 배포를 해야 합니다. 또한 실행 중 BP를 해제했을 때, 마찬가지로 다른 곳에 BP를 잡을 수 없고 오직 해제했던 그곳에만 다시 BP를 잡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BP를 해제한 후, 쭉~~~ 실행을 계속하도록 F5 키를 누르면 해당 loop() 함수의 마지막까지 실행하고 이후 다시 루프 진입을 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F11(Step-into)/F10(Step-over) 기능의 라인 단위로 디버깅할 때 현재 어느 라인을 디버깅하고 있는지 아무런 표시가 없습니다. (물론 이러한 단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개선이 될 수는 있을 것입니다.)

정리해 보면, 디버깅은 특정 코드의 값을 작정하고 세세하게 알아보기 위한 경우에만 시도를 하는 것이 좋고 그 외에는 그냥 Serial Monitor를 이용해 값을 Trace 로그로 확인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제품을 굳이 구매를 하면서까지 사용하기에는 Visual Studio Code의 확장이 너무나 좋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3/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79정성태5/31/201420509.NET Framework: 438.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1678정성태5/31/201424175개발 환경 구성: 222. 라이브러리 개발자를 위한 보안 권한 테스트 - "Network Service" 계정 권한으로 실행
1677정성태5/30/201419749VS.NET IDE: 87. IIS Express - 웹 응용 프로그램의 .NET 버전에 맞는 CLR이 로드되지 않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676정성태5/27/201427877Windows: 95. 윈도우 8에서 Hyper-V 유무에 따른 듀얼 부트 설정하는 방법 [1]
1675정성태5/27/201430017Windows: 94. 윈도우 8.1에서 윈도우 체험 지수(Windows Experience Index, WEI) 확인 방법
1674정성태5/24/201423622VS.NET IDE: 86. 하나의 T4 템플릿으로 여러 개의 소스코드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73정성태5/19/201423088.NET Framework: 437. WACOM 태블릿 환경에서 WinForm 실행시 System.ArgumentException 예외 발생
1672정성태5/15/201423656기타: 46. Microsoft의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 - Azure RemoteApp 소개 [2]
1671정성태5/15/201424257.NET Framework: 436. XNA Content 리소스의 해제 후 다시 로드해서 사용하면 ObjectDisposedException 예외 발생 [2]
1670정성태5/15/201424543.NET Framework: 435. .NET GC - 하위 세대의 객체를 포함하는 상위 세대의 참조를 추적하기 위한 card-table
1669정성태5/15/201444622Windows: 93.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tchCache$ 폴더 삭제 [2]
1668정성태5/10/201423867.NET Framework: 434. Microsoft.SqlServer.Types.SqlGeography 형변환 시 null 반환하는 문제
1667정성태5/5/201424631개발 환경 구성: 221. Azure 데이터베이스를 로컬 DB로 이전하는 방법 [2]
1666정성태5/2/201441314기타: 45. 윈도우 계정의 암호를 알아내는 mimikatz 도구 [5]
1665정성태5/1/201424830.NET Framework: 433. C# - 간단한 HyperLogLog 자료 구조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664정성태4/28/201422198오류 유형: 227. Process Explorer의 프로세스 뷰가 트리 형식으로 보이지 않는 문제
1663정성태4/28/201418651오류 유형: 226. Visual Studio - We were unable to establish the connection because it is configured for user
1662정성태4/28/201423216개발 환경 구성: 220. supportedRuntime 설정을 위한 app.config Transformation [1]
1661정성태4/26/201420009.NET Framework: 432. WPF - System.Windows.Data Error: 47 : XmlDataProvider has inline XML that does not explicitly set its XmlNamespace (xmlns="").
1660정성태4/25/201427677VC++: 77. C++ 숫자형 값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출력 사례 모음
1659정성태4/17/201427645.NET Framework: 43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5]
1658정성태4/17/201419778.NET Framework: 430. C#에서 사용자 정의 예약어가 가능할까요? [1]
1657정성태4/10/201439852.NET Framework: 429. C# - 유니코드 한글 문자열을 ks_c_5601-1987로 변환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656정성태3/19/201423018오류 유형: 225. regsvcs 등록 시 0x80040153 오류
1655정성태3/19/201423162Windows: 92. Thumbs.db 파일이 삭제 안 되는 문제
1654정성태3/19/201425245개발 환경 구성: 219. SOS.dll 확장 모듈을 버전 별로 구하는 방법 [4]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