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zure - Runbo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서드를 위한 부가 Module 추가

App Service(Web App)을 시작 또는 중지시키는 용도의 Azure PowerShell API를,

Start-Azure?RmWeb?App
; https://docs.microsoft.com/en-us/powershell/module/azurerm.websites/start-azurermwebapp?view=azurermps-6.11.0

Stop-Azure?RmWeb?App
; https://docs.microsoft.com/en-us/powershell/module/azurerm.websites/stop-azurermwebapp?view=azurermps-6.11.0

당연히 Runbook 스크립트에서 실행해도 잘 될 거라 생각했는데요. 가령 다음과 같이 스크립트를 만든 경우,

param (
    [Parameter(Mandatory=$true)][PSObject]$targetWebApp
)

$azureConnection = Get-AutomationConnection -Name AzureRunAsConnection
Add-AzureRmAccount -ServicePrincipal -Tenant $azureConnection.TenantID -ApplicationID $azureConnection.ApplicationID -CertificateThumbprint $azureConnection.CertificateThumbprint

if ($targetWebApp.Mode -Match "Start")
{
    Start-AzureRmWebApp -Name $targetWebApp.WebAppName -ResourceGroupName "MyGroup"
}
else
{
    Stop-AzureRmWebApp -Name $targetWebApp.WebappName -ResourceGroupName "MyGroup" -Force
}

실행해 보면 이렇게 오류가 발생합니다.

Stop-AzureRmWebApp : The term 'Stop-AzureRmWebApp' is not recognized as the name of a cmdlet, function, script file, or operable program. Check the spelling of the name, or if a path was included, verify that the path is correct and try again.
At line:14 char:5
+     Stop-AzureRmWebApp -Name $targetWebApp.WebappName -ResourceGroupN ...
+     ~~~~~~~~~~~~~~~~~~
    + CategoryInfo          : ObjectNotFound: (Stop-AzureRmWebApp:String) [], CommandNotFound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CommandNotFoundException

말 그대로, 기본 Runbook 환경에서는 Start-AzureRmWebApp와 Stop-AzureRmWebApp 메서드를 포함한 모듈이 누락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해결책은 당연히 모듈을 추가해 주면 됩니다.

Azure Automation (RM Portal) - Powershell Runbook - List of CMDLT missing all xxxx-AzureRmWebApp CMDLT's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azure/en-US/1efee8fd-6897-448c-a565-f3e2da9cea9d/azure-automation-rm-portal-powershell-runbook-list-of-cmdlt-missing-all-xxxxazurermwebapp?forum=azureautomation

따라서, Azure Automation Account로 이동해 "Modules" 메뉴를 선택하고,

runbook_import_module_1.png

자신이 만든 모듈이 있다면 좌측의 "Add a module"을 이용해 모듈 파일을 직접 올리거나,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모듈은 대부분 "gallery"에 있으므로 우측의 "Browse gallery"를 이용해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Start-AzureRmWebApp와 Stop-AzureRmWebApp의 경우에는 다음의 2가지 모듈을 로드하면 됩니다.

  • AzureRM.Profile
  • AzureRM.Websites (AzureRM.Profile 모듈에 의존)

참고로 import 완료까지 시간이 좀 걸리므로 곧바로 Runbook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5/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7정성태3/1/200520075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106정성태2/28/200519509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8469.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6759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19377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19033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21817.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19612.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5903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3983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103정성태2/23/200520003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파일 다운로드1
97정성태2/14/200522696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
96정성태2/14/200524711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
95정성태2/14/200534150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
94정성태1/29/200525395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93정성태1/29/200521238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
92정성태1/29/200519883.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20520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90정성태1/27/200521524.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9정성태1/26/200526045VC++: 11. Delay Loaded DLL
87정성태1/23/200519596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88정성태1/23/200519086    답변글 VS.NET IDE: 18.1. VS.NET 2003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추가시에도 버그
86정성태1/23/200525026.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5정성태1/23/200523215스크립트: 4. Windows 2003에서 BHO(Browser Helper Objects) 동작 안하는 현상 [1]
83정성태1/18/200528344.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82정성태1/3/200521847VS.NET IDE: 17. Windows 운영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서 파일 공유 접근 금지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