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33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51. JavaScriptSerializer, DataContractJsonSerializer, Json.NET
; https://www.sysnet.pe.kr/2/0/1391

.NET Framework: 661. Json.NET의 DeserializeObject 수행 시 속성 이름을 동적으로 바꾸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24

.NET Framework: 756. JSON의 escape sequence 문자 처리 방식
; https://www.sysnet.pe.kr/2/0/11532

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766

.NET Framework: 1073. C# - JSON 역/직렬화 시 리플렉션 손실을 없애는 JsonSrcGen
; https://www.sysnet.pe.kr/2/0/12688

.NET Framework: 2087. .NET 6부터 SourceGenerator와 통합된 System.Text.Json
; https://www.sysnet.pe.kr/2/0/13214

.NET Framework: 2115. System.Text.Json의 역직렬화 시 필드/속성 주의
; https://www.sysnet.pe.kr/2/0/13342

닷넷: 2261. C# - 구글 OAuth의 JWT (JSON Web Tokens) 해석
; https://www.sysnet.pe.kr/2/0/13623

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64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

Visual Studio Code의 Library Manager에서 json으로 검색하면 제일 첫 줄에 "ArduinoJson"이 나오는데 이것을 설치하면 됩니다. (현재 2018-10-31일 기준 5.13.3 stable 버전) 그럼 소스 코드에는 다음의 include 구문이 추가되고,

#include <ArduinoJson.h>

c_cpp_properties.json 파일에는 그 경로가 포함됩니다.

{
    "configurations": [
        {
            "name": "Win32",
            "includePath": [
                "${USERPROFILE}\\Documents\\Arduino\\libraries\\ArduinoJson\\src",
                "${LOCALAPPDATA}\\Arduino15\\packages\\esp8266\\tools\\**",
                "${LOCALAPPDATA}\\Arduino15\\packages\\esp8266\\hardware\\esp8266\\2.4.2\\**"
            ],
            "forcedInclude": [],
            "intelliSenseMode": "msvc-x64"
        }
    ],
    "version": 4
}

대강의 사용법은 다음의 글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C++ JSON library for IoT. Simple and efficient. 
; https://github.com/bblanchon/ArduinoJson

Intro: ESP8266: Parsing JSON
; https://www.instructables.com/id/ESP8266-Parsing-JSON/

또한 ArduinoJson의 각종 사용 예제 코드는 다음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amples
; https://arduinojson.org/v5/example/

참고로 제가 사용한 코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JSON을 입력으로 파싱해야 했습니다.

{
    "Codes":[3550,1750,550],
    "Type":5
}

=== 대응 C# 코드 ===

public class IRSignal
{
    public List Codes { get; set; }
    public int Type { get; set; }
}

보는 바와 같이 Codes 변수의 배열에 들어갈 요소 수가 가변적인데요. 이럴 때는 다음과 같이 배열의 수를 구하고 각 요소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DynamicJsonBuffer jsonBuffer(2000);
JsonObject &root = jsonBuffer.parseObject(jsonText);

int codeLen = root["Codes"].asArray().size();
Serial.printf("%d: # of codeLen: %d\n", millis(), codeLen);

for (int i = 0; i < codeLen; i ++)
{
    uint16 elem = root["Codes"][i].as<uint16>();
}

이 정도면 대충 어떤 느낌인지 아실 것입니다. ^^




참고로, 동적 메모리 할당을 받는 DynamicJsonBuffer 대신,

DynamicJsonBuffer jsonBuffer(2000);

스택 메모리를 활용하는 StaticJsonBuffer를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aticJsonBuffer<2000> jsonBuffer;

그런데, Micro Controller 환경에서는 스택 공간이 꽤나 여유롭지 않은데요, 일례로 제가 테스트한 NodeMCU에서는 저렇게 2000바이트만 스택에 할당했을 뿐인데 업로드 후 다음과 같이 덤프를 남기며 비정상 종료를 했습니다.

Soft WDT reset

ctx: cont 
sp: 3ffff430 end: 9cd30cf0 offset: 01b0

>>>stack>>>
3ffff5e0:  00000000 000001bd 00000000 3fff144c  
3ffff5f0:  000065b1 3ffff6d8 01000000 00000030  
...[생략]...
40002660:  00f00d40 000186a0 c0fabd61 fd710020  
40002670:  472682ff 8a827370 0020c077 c0416672  
4000
 ets Jan  8 2013,rst cause:4, boot mode:(1,7)

물론 다시 DynamicJsonBuffer로 바꾸고 나서는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Visual Studio Code의 Library Manager에서 라이브러리 설치 시 지난 글에 설명한 것처럼,

[Starting] Install package - esp8266...
Loading configuration...
Initializing packages...
Preparing boards...
Downloading platforms index... 
Using proxy DIRECT
Downloading platforms index... Downloaded 0kb of 232kb.
Downloading platforms index... Downloaded 10kb of 232kb.
...[생략]...
Downloading platforms index... Downloaded 42kb of 46kb.
Downloading platforms index... Downloaded 46kb of 46kb.
Downloading platforms index... 
Using proxy DIRECT
Selected board is not available
[Done] Installed board package - esp8266

위와 같이 "Selected board is not available"라고 하면서 설치가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그냥 Arduino IDE에서 설치하시고 Visual Studio Code에서는 "Include Library"로 헤더 파일들을 포함해 주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5정성태6/20/200622588오류 유형: 9. [TFS] Report 관련 서비스를 조회할 때 rsErrorImpersonatingUser 오류 메시지 발생 [1]
284정성태6/19/200620362VS.NET IDE: 40. FxCop - IDE 에서 제공해 주는 SuppressMessage 코드
283정성태1/19/200721210Team Foundation Server: 8. 소스 세이프에서 TFS SourceControl 로 마이그레이션 [2]
279정성태12/27/200626645개발 환경 구성: 3. VS.NET 원격 디버깅 [1]
280정성태6/12/20062606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1. VS.NET 2003 원격 디버깅 설정
281정성태8/11/20062755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2.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315정성태8/11/20062819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3.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 ASP.NET F5 디버깅
278정성태6/11/200624727오류 유형: 8. [Outlook] 0x8004011D 에러 - "Exchange over the Internet" 환경
276정성태6/7/200618223Team Foundation Server: 7. 외부 빌드 머신 구성
287정성태6/24/200615836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7.1. 외부 빌드 머신 구성 - 다른 블로그 자료
275정성태6/7/200623754디버깅 기술: 4. VC++ 8.0 원격 디버깅 구성 - Side-by-Side DLL 문제.
269정성태6/6/200620975Team Foundation Server: 6.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0정성태6/5/200617917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1.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3정성태6/6/200620627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2. 두번째 방법 -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67정성태6/4/200619940Team Foundation Server: 5.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 [2]
266정성태6/8/200616529오류 유형: 7. [설치] mpoai9.dll 관련 오류
265정성태6/1/200624243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314정성태8/11/200621314    답변글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264정성태6/1/200630414오류 유형: 6. [VC++ 컴파일] already defined in ntdll.lib(ntdll.dll)
263정성태6/1/200631427디버깅 기술: 2. 커널 구조체 살펴보기 [5]
262정성태6/1/200623743오류 유형: 5. [설치] WinFX Beta2 - 설치시 문제점 해결
261정성태6/1/200620194웹: 3. IIS 6.0 - AppPool을 활용하여 실 서버(운영 서버)에서 디버깅
258정성태6/1/200628101디버깅 기술: 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1]파일 다운로드1
274정성태6/7/200621011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 on Vista )
254정성태6/1/200617519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255정성태6/1/20061716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