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

아래의 라이브러리를,

Simple OpenGL Image Library
; https://www.lonesock.net/soil.html

Visual Studio 2017 환경에서 빌드하는 경우 _CRT_SECURE_NO_WARNINGS 관련한 경고와,

warning C4996: 'fopen': This function or variable may be unsafe. Consider using fopen_s instead. To disable deprecation, use _CRT_SECURE_NO_WARNINGS. See online help for details.

"warning C4018: '>': signed/unsigned mismatch" 정도만 발생합니다. 그래도 ^^ 이런 경고조차도 보기 싫은 분들은 가볍게 소스 코드를 수정하면 됩니다.

우선, fopen을 fopen_s로 바꿔야 하는데, 이를 위해 errno 상수를 결과 값으로 다음과 같이 수정해 주면 됩니다.

// 수정 전
float *stbi_loadf(char const *filename, int *x, int *y, int *comp, int req_comp)
{
    FILE *f = fopen(filename, "rb");
    float *result;
    if (!f) return epf("can't fopen", "Unable to open file");
    result = stbi_loadf_from_file(f, x, y, comp, req_comp);
    fclose(f);
    return result;
}

// 수정 후
float *stbi_loadf(char const *filename, int *x, int *y, int *comp, int req_comp)
{
    FILE *f = NULL;
    errno_t err = fopen_s(&f, filename, "rb");
    float *result;
    if (err != 0) return epf("can't fopen", "Unable to open file");
    result = stbi_loadf_from_file(f, x, y, comp, req_comp);
    fclose(f);
    return result;
}

또한 "warning C4018"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다음과 같은 식으로 형변환 연산자를 사용하면 됩니다.

// 수정 전
if( ref_x + 4 > s->img_x )
{
    bw = s->img_x - ref_x;
}

// 수정 후
if( (uint32)ref_x + 4 > s->img_x )
{
    bw = s->img_x - ref_x;
}




soil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정적 링크 파일(.lib)이 생성되는데 이를 동적 링크 파일(.dll)로 바꾸고 싶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경우 예전에 언급했던 DLL 사용 관련한 주의를 해야 합니다.

DLL에 정의된 C++ template 클래스의 복사 생성자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153

문제는 soil 프로젝트가 OpenGL DLL의 함수를 정적 링크해서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vcpkg 등으로 opengl 라이브러리를 정적 빌드해 놓아야만 합니다.) 관련 함수의 목록은 다음과 같은데,

glBindTexture
glDeleteTextures
glGenTextures
glGetIntegerv
glGetString
glReadPixels
glTexImage2D
glTexParameteri
wglGetProcAddress

(제가 OpenGL을 잘 모르는데) 빌드한 soil 프로젝트가 정적 링크한 OpenGL 라이브러리와, soil DLL이 링크될 대상 EXE가 사용할 OpenGL 라이브러리의 버전이 다른 경우 문제가 없을 것인지 장담할 수가 없습니다.

해 보고, 문제없는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이런 미심쩍은 부분은 애당초 그 원인을 없애는 것이 더 좋습니다. 다행이라면, 9개 정도의 함수밖에 사용하지 않아서 이것을 동적 로딩으로 바인딩하는 것도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Initialize 함수를 만들고,

// soil.c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BindTextureFunc)(GLenum target, GLuint texture);
glBindTextureFunc _glBindTexture;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DeleteTexturesFunc)(GLsizei n, const GLuint *textures);
glDeleteTexturesFunc _glDeleteTextures;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GenTexturesFunc)(GLsizei n, GLuint *textures);
glGenTexturesFunc _glGenTextures;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GetIntegervFunc)(GLenum pname, GLint *params);
glGetIntegervFunc _glGetIntegerv;

typedef WINGDIAPI const GLubyte * (APIENTRY *glGetStringFunc)(GLenum name);
glGetStringFunc _glGetString;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ReadPixelsFunc)(GLint x, GLint y, GLsizei width, GLsizei height, GLenum format, GLenum type, GLvoid *pixels);
glReadPixelsFunc _glReadPixels;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TexImage2DFunc)(GLenum target, GLint level, GLint internalformat, GLsizei width, GLsizei height, GLint border, GLenum format, GLenum type, const GLvoid *pixels);
glTexImage2DFunc _glTexImage2D;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TexParameteriFunc)(GLenum target, GLenum pname, GLint param);
glTexParameteriFunc _glTexParameteri;

typedef WINGDIAPI PROC  (WINAPI *wglGetProcAddressFunc)(LPCSTR);
wglGetProcAddressFunc _wglGetProcAddress;

BOOL SOIL_Initialize(wchar_t *openglDLLFileName)
{
    HMODULE hModule = LoadLibrary(openglDLLFileName);

    if (hModule == NULL)
    {
        return FALSE;
    }

    _hModule = hModule;

    _glBindTexture = (glBindTextureFunc)GetProcAddress(hModule, "glBindTexture");
    _glDeleteTextures = (glDeleteTexturesFunc)GetProcAddress(hModule, "glDeleteTextures");
    _glGenTextures = (glGenTexturesFunc)GetProcAddress(hModule, "glGenTextures");
    _glGetIntegerv = (glGetIntegervFunc)GetProcAddress(hModule, "glGetIntegerv");
    _glGetString = (glGetStringFunc)GetProcAddress(hModule, "glGetString");
    _glReadPixels = (glReadPixelsFunc)GetProcAddress(hModule, "glReadPixels");
    _glTexImage2D = (glTexImage2DFunc)GetProcAddress(hModule, "glTexImage2D");
    _glTexParameteri = (glTexParameteriFunc)GetProcAddress(hModule, "glTexParameteri");
    _wglGetProcAddress = (wglGetProcAddressFunc)GetProcAddress(hModule, "wglGetProcAddress");

    if (_glBindTexture == NULL
        || _glDeleteTextures == NULL
        || _glGenTextures == NULL
        || _glGetIntegerv == NULL
        || _glGetString == NULL
        || _glReadPixels == NULL
        || _glTexImage2D == NULL
        || _glTexParameteri == NULL
        || _wglGetProcAddress == NULL)
    {
        return FALSE;
    }

    return TRUE;
}

함수를 동적으로 바인딩한 _glBindTexture 등의 함수 포인터를 사용하도록 소스 코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현재 프로세스에 로딩된 OpenGL DLL(예: opengl32.dll)의 함수를 사용하게 되므로 메모리 할당/해제 등의 불일치를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변경을 반영해 만든 라이브러리가 바로 SoilDotnet입니다.

SoilDotnet 1.0.1 
; https://www.nuget.org/packages/SoilDotnet

stjeong/SoilNET 
; https://github.com/stjeong/SoilNET

NuGet에 있기 때문에 당연히 Visual Studio의 NuGet Package Manager에서 설치할 수 있고,

Install-Package SoilDotnet

사용법은, 여러분들의 프로그램에서 opengl32.dll이 올라온 시점이라면 어느 때든지 다음과 같이 Initialize 메서드를 호출한 후,

private void glControl_ContextCreated(object sender, OpenGL.GlControlEventArgs e)
{
    // ...[omitted for brevity]...

    bool result = Soil.NET.WrapSOIL.Initialize();
    if (result == false)
    {
        MessageBox.Show("SOIL: Not initialized: " + Soil.NET.WrapSOIL.GetSoilLastError());
        return;
    }

    // ...[omitted for brevity]...
}

Texture 자원을 다음과 같이 로드해 주면 됩니다.

public uint loadTexture(string fileName)
{
    string filePath = $".\\res\\{fileName}.png";

    uint tex2d_id = Soil.NET.WrapSOIL.load_OGL_texture(filePath,
        Soil.NET.WrapSOIL.SOIL_LOAD.AUTO, Soil.NET.WrapSOIL.SOIL_NEW.ID,
        Soil.NET.WrapSOIL.SOIL_FLAG.MIPMAPS | Soil.NET.WrapSOIL.SOIL_FLAG.INVERT_Y | 
        Soil.NET.WrapSOIL.SOIL_FLAG.NTSC_SAFE_RGB | Soil.NET.WrapSOIL.SOIL_FLAG.COMPRESS_TO_DXT);

    _textures.Add(tex2d_id);
    return tex2d_id;
}

제가 사용하는 Soil 라이브러리의 함수가 SOIL_load_OGL_texture 하나뿐이라서 일단 그것만 구현한 상태입니다. 혹시 그 외의 다른 함수(SOIL_load_OGL_texture, ...)들이 필요하다면 이슈(https://github.com/stjeong/SoilNET/issues)로 올려 주세요. ^^ 반영해서 NuGet에 업데이트하겠습니다. (혹은, 소스 코드 변경해서 PR 넣으셔도 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5정성태6/20/200622555오류 유형: 9. [TFS] Report 관련 서비스를 조회할 때 rsErrorImpersonatingUser 오류 메시지 발생 [1]
284정성태6/19/200620281VS.NET IDE: 40. FxCop - IDE 에서 제공해 주는 SuppressMessage 코드
283정성태1/19/200721159Team Foundation Server: 8. 소스 세이프에서 TFS SourceControl 로 마이그레이션 [2]
279정성태12/27/200626552개발 환경 구성: 3. VS.NET 원격 디버깅 [1]
280정성태6/12/20062603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1. VS.NET 2003 원격 디버깅 설정
281정성태8/11/20062750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2.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315정성태8/11/20062816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3.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 ASP.NET F5 디버깅
278정성태6/11/200624700오류 유형: 8. [Outlook] 0x8004011D 에러 - "Exchange over the Internet" 환경
276정성태6/7/200618221Team Foundation Server: 7. 외부 빌드 머신 구성
287정성태6/24/200615820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7.1. 외부 빌드 머신 구성 - 다른 블로그 자료
275정성태6/7/200623697디버깅 기술: 4. VC++ 8.0 원격 디버깅 구성 - Side-by-Side DLL 문제.
269정성태6/6/200620935Team Foundation Server: 6.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0정성태6/5/200617876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1.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3정성태6/6/200620603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2. 두번째 방법 -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67정성태6/4/200619912Team Foundation Server: 5.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 [2]
266정성태6/8/200616511오류 유형: 7. [설치] mpoai9.dll 관련 오류
265정성태6/1/200624222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314정성태8/11/200621278    답변글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264정성태6/1/200630372오류 유형: 6. [VC++ 컴파일] already defined in ntdll.lib(ntdll.dll)
263정성태6/1/200631373디버깅 기술: 2. 커널 구조체 살펴보기 [5]
262정성태6/1/200623644오류 유형: 5. [설치] WinFX Beta2 - 설치시 문제점 해결
261정성태6/1/200620140웹: 3. IIS 6.0 - AppPool을 활용하여 실 서버(운영 서버)에서 디버깅
258정성태6/1/200628051디버깅 기술: 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1]파일 다운로드1
274정성태6/7/200620966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 on Vista )
254정성태6/1/200617453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255정성태6/1/20061711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