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

아래의 라이브러리를,

Simple OpenGL Image Library
; https://www.lonesock.net/soil.html

Visual Studio 2017 환경에서 빌드하는 경우 _CRT_SECURE_NO_WARNINGS 관련한 경고와,

warning C4996: 'fopen': This function or variable may be unsafe. Consider using fopen_s instead. To disable deprecation, use _CRT_SECURE_NO_WARNINGS. See online help for details.

"warning C4018: '>': signed/unsigned mismatch" 정도만 발생합니다. 그래도 ^^ 이런 경고조차도 보기 싫은 분들은 가볍게 소스 코드를 수정하면 됩니다.

우선, fopen을 fopen_s로 바꿔야 하는데, 이를 위해 errno 상수를 결과 값으로 다음과 같이 수정해 주면 됩니다.

// 수정 전
float *stbi_loadf(char const *filename, int *x, int *y, int *comp, int req_comp)
{
    FILE *f = fopen(filename, "rb");
    float *result;
    if (!f) return epf("can't fopen", "Unable to open file");
    result = stbi_loadf_from_file(f, x, y, comp, req_comp);
    fclose(f);
    return result;
}

// 수정 후
float *stbi_loadf(char const *filename, int *x, int *y, int *comp, int req_comp)
{
    FILE *f = NULL;
    errno_t err = fopen_s(&f, filename, "rb");
    float *result;
    if (err != 0) return epf("can't fopen", "Unable to open file");
    result = stbi_loadf_from_file(f, x, y, comp, req_comp);
    fclose(f);
    return result;
}

또한 "warning C4018"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다음과 같은 식으로 형변환 연산자를 사용하면 됩니다.

// 수정 전
if( ref_x + 4 > s->img_x )
{
    bw = s->img_x - ref_x;
}

// 수정 후
if( (uint32)ref_x + 4 > s->img_x )
{
    bw = s->img_x - ref_x;
}




soil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정적 링크 파일(.lib)이 생성되는데 이를 동적 링크 파일(.dll)로 바꾸고 싶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경우 예전에 언급했던 DLL 사용 관련한 주의를 해야 합니다.

DLL에 정의된 C++ template 클래스의 복사 생성자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153

문제는 soil 프로젝트가 OpenGL DLL의 함수를 정적 링크해서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vcpkg 등으로 opengl 라이브러리를 정적 빌드해 놓아야만 합니다.) 관련 함수의 목록은 다음과 같은데,

glBindTexture
glDeleteTextures
glGenTextures
glGetIntegerv
glGetString
glReadPixels
glTexImage2D
glTexParameteri
wglGetProcAddress

(제가 OpenGL을 잘 모르는데) 빌드한 soil 프로젝트가 정적 링크한 OpenGL 라이브러리와, soil DLL이 링크될 대상 EXE가 사용할 OpenGL 라이브러리의 버전이 다른 경우 문제가 없을 것인지 장담할 수가 없습니다.

해 보고, 문제없는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이런 미심쩍은 부분은 애당초 그 원인을 없애는 것이 더 좋습니다. 다행이라면, 9개 정도의 함수밖에 사용하지 않아서 이것을 동적 로딩으로 바인딩하는 것도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Initialize 함수를 만들고,

// soil.c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BindTextureFunc)(GLenum target, GLuint texture);
glBindTextureFunc _glBindTexture;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DeleteTexturesFunc)(GLsizei n, const GLuint *textures);
glDeleteTexturesFunc _glDeleteTextures;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GenTexturesFunc)(GLsizei n, GLuint *textures);
glGenTexturesFunc _glGenTextures;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GetIntegervFunc)(GLenum pname, GLint *params);
glGetIntegervFunc _glGetIntegerv;

typedef WINGDIAPI const GLubyte * (APIENTRY *glGetStringFunc)(GLenum name);
glGetStringFunc _glGetString;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ReadPixelsFunc)(GLint x, GLint y, GLsizei width, GLsizei height, GLenum format, GLenum type, GLvoid *pixels);
glReadPixelsFunc _glReadPixels;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TexImage2DFunc)(GLenum target, GLint level, GLint internalformat, GLsizei width, GLsizei height, GLint border, GLenum format, GLenum type, const GLvoid *pixels);
glTexImage2DFunc _glTexImage2D;

typedef WINGDIAPI void (APIENTRY *glTexParameteriFunc)(GLenum target, GLenum pname, GLint param);
glTexParameteriFunc _glTexParameteri;

typedef WINGDIAPI PROC  (WINAPI *wglGetProcAddressFunc)(LPCSTR);
wglGetProcAddressFunc _wglGetProcAddress;

BOOL SOIL_Initialize(wchar_t *openglDLLFileName)
{
    HMODULE hModule = LoadLibrary(openglDLLFileName);

    if (hModule == NULL)
    {
        return FALSE;
    }

    _hModule = hModule;

    _glBindTexture = (glBindTextureFunc)GetProcAddress(hModule, "glBindTexture");
    _glDeleteTextures = (glDeleteTexturesFunc)GetProcAddress(hModule, "glDeleteTextures");
    _glGenTextures = (glGenTexturesFunc)GetProcAddress(hModule, "glGenTextures");
    _glGetIntegerv = (glGetIntegervFunc)GetProcAddress(hModule, "glGetIntegerv");
    _glGetString = (glGetStringFunc)GetProcAddress(hModule, "glGetString");
    _glReadPixels = (glReadPixelsFunc)GetProcAddress(hModule, "glReadPixels");
    _glTexImage2D = (glTexImage2DFunc)GetProcAddress(hModule, "glTexImage2D");
    _glTexParameteri = (glTexParameteriFunc)GetProcAddress(hModule, "glTexParameteri");
    _wglGetProcAddress = (wglGetProcAddressFunc)GetProcAddress(hModule, "wglGetProcAddress");

    if (_glBindTexture == NULL
        || _glDeleteTextures == NULL
        || _glGenTextures == NULL
        || _glGetIntegerv == NULL
        || _glGetString == NULL
        || _glReadPixels == NULL
        || _glTexImage2D == NULL
        || _glTexParameteri == NULL
        || _wglGetProcAddress == NULL)
    {
        return FALSE;
    }

    return TRUE;
}

함수를 동적으로 바인딩한 _glBindTexture 등의 함수 포인터를 사용하도록 소스 코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현재 프로세스에 로딩된 OpenGL DLL(예: opengl32.dll)의 함수를 사용하게 되므로 메모리 할당/해제 등의 불일치를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변경을 반영해 만든 라이브러리가 바로 SoilDotnet입니다.

SoilDotnet 1.0.1 
; https://www.nuget.org/packages/SoilDotnet

stjeong/SoilNET 
; https://github.com/stjeong/SoilNET

NuGet에 있기 때문에 당연히 Visual Studio의 NuGet Package Manager에서 설치할 수 있고,

Install-Package SoilDotnet

사용법은, 여러분들의 프로그램에서 opengl32.dll이 올라온 시점이라면 어느 때든지 다음과 같이 Initialize 메서드를 호출한 후,

private void glControl_ContextCreated(object sender, OpenGL.GlControlEventArgs e)
{
    // ...[omitted for brevity]...

    bool result = Soil.NET.WrapSOIL.Initialize();
    if (result == false)
    {
        MessageBox.Show("SOIL: Not initialized: " + Soil.NET.WrapSOIL.GetSoilLastError());
        return;
    }

    // ...[omitted for brevity]...
}

Texture 자원을 다음과 같이 로드해 주면 됩니다.

public uint loadTexture(string fileName)
{
    string filePath = $".\\res\\{fileName}.png";

    uint tex2d_id = Soil.NET.WrapSOIL.load_OGL_texture(filePath,
        Soil.NET.WrapSOIL.SOIL_LOAD.AUTO, Soil.NET.WrapSOIL.SOIL_NEW.ID,
        Soil.NET.WrapSOIL.SOIL_FLAG.MIPMAPS | Soil.NET.WrapSOIL.SOIL_FLAG.INVERT_Y | 
        Soil.NET.WrapSOIL.SOIL_FLAG.NTSC_SAFE_RGB | Soil.NET.WrapSOIL.SOIL_FLAG.COMPRESS_TO_DXT);

    _textures.Add(tex2d_id);
    return tex2d_id;
}

제가 사용하는 Soil 라이브러리의 함수가 SOIL_load_OGL_texture 하나뿐이라서 일단 그것만 구현한 상태입니다. 혹시 그 외의 다른 함수(SOIL_load_OGL_texture, ...)들이 필요하다면 이슈(https://github.com/stjeong/SoilNET/issues)로 올려 주세요. ^^ 반영해서 NuGet에 업데이트하겠습니다. (혹은, 소스 코드 변경해서 PR 넣으셔도 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15정성태4/26/202114063오류 유형: 712. Microsoft Live 로그인 - 계정을 선택하는(Pick an account) 화면에서 진행이 안 되는 문제
12614정성태4/24/202118412개발 환경 구성: 570.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ASP.NET Core/5+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613정성태4/23/202116757.NET Framework: 1048.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2) 관리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612정성태4/23/202116606.NET Framework: 1047.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1) PInvoke파일 다운로드1
12611정성태4/22/202115467오류 유형: 711. 닷넷 EXE 실행 오류 - Mixed mode assembly is build against version 'v2.0.50727' of the runtime
12610정성태4/22/202115383.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9정성태4/22/202117930.NET Framework: 1045. C# - 런타임 시점에 이벤트 핸들러를 만들어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8정성태4/21/202118486.NET Framework: 1044. C# - Generic Host를 이용해 .NET 5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2607정성태4/21/202115684.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6정성태4/21/202121582.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605정성태4/18/202116913.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14805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16476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17530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16570.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16817.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17591.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18193.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17755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17112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12595정성태4/12/202116860.NET Framework: 1036. SQL 서버 - varbinary 타입에 대한 문자열의 CAST, CONVERT 변환을 C# 코드로 구현
12594정성태4/11/202116290.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파일 다운로드1
12593정성태4/10/202117338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12592정성태4/10/202116839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12591정성태4/9/202120758.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0정성태4/9/202116898.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