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58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Graphics: 27.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 - OpenGL.Net 라이브러리
; https://www.sysnet.pe.kr/2/0/11770

Graphics: 28.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
; https://www.sysnet.pe.kr/2/0/11772

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
; https://www.sysnet.pe.kr/2/0/11773

Graphics: 30.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4), (5) - Shader
; https://www.sysnet.pe.kr/2/0/11774

Graphics: 31.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6) - Texturing
; https://www.sysnet.pe.kr/2/0/11775

Graphics: 32.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7), (8) - Matrices and Uniform Variables, Model, View & Projection Matrices
; https://www.sysnet.pe.kr/2/0/11784

Graphics: 33.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9), (10) - OBJ File Format, Loading 3D Models
; https://www.sysnet.pe.kr/2/0/11787

Graphics: 34.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1) - Per-Pixel Lighting
; https://www.sysnet.pe.kr/2/0/11792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

아래의 글에 이어,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
; https://www.sysnet.pe.kr/2/0/11772

오늘은 세 번째 강좌의 내용을 따라 하려는데,

TheThinMatrix/OpenGL-Tutorial-3
; https://github.com/TheThinMatrix/OpenGL-Tutorial-3

OpenGL 3D Game Tutorial 3: Rendering with Index Buffers
; https://www.youtube.com/watch?v=z2yFlvkBbmk

이번에는, Vertex의 좌표를 인덱스로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존의 6개 점을 표현하던 vertex 데이터는 4개로 줄어들게 되고,

float[] _vertices =
{
    -0.5f, 0.5f, 0f,   // V0
    -0.5f, -0.5f, 0f,  // V1
    0.5f, -0.5f, 0f,   // V2
    0.5f, 0.5f, 0f   // V3
};

이에 대한 Vertex를 나타내는 인덱스 배열이 필요하며,

int[] _indices =
{
    0, 1, 3,  // Top left triangle (V0, V1, V3)
    3, 1, 2   // Bottom right triangle (V3, V1, V2)
};

당연히, RAM에 있는 _indices 배열을 GPU에 할당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 MainForm.cs

private void glControl_ContextCreated(object sender, OpenGL.GlControlEventArgs e)
{
    GlControl glControl = (GlControl)sender;
    _displayManager.createDisplay(glControl);

    _loader = new Loader();
    _model = _loader.loadToVAO(_vertices, _indices);
    _renderer = new Renderer();
}

// Loader.cs

public RawModel loadToVAO(float [] positions, int[] indices)
{
    uint vaoID = createVAO();

    bindIndicesBuffer(indices);
    storeDataInAttributeList(0, positions);

    unbindVAO();

    return new RawModel(vaoID, positions.Length);
}

void bindIndicesBuffer(int[] indices)
{
    uint vboID = Gl.GenBuffer();
    _vbos.Add(vboID);
    Gl.BindBuffer(BufferTarget.ElementArrayBuffer, vboID);

    Gl.BufferData(BufferTarget.ElementArrayBuffer, (uint)(indices.Length * sizeof(int)), indices, BufferUsage.StaticDraw);
}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Gl.BindBuffer(BufferTarget.ElementArrayBuffer, vboID);

로 바인드는 했으나, "OpenGL 3D Game Tutorial 3: Rendering with Index Buffers" 강좌를 보면 이후에 BufferTarget.ElementArrayBuffer에 대해서는 언바인드를 하지는 않습니다.

Gl.BindBuffer(BufferTarget.ElementArrayBuffer, 0);

다음의 글을 읽어보면,

OpenGL glBindBuffer(0) outside vao?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5412767/opengl-glbindbuffer0-outside-vao

GL_ELEMENT_ARRAY_BUFFER(BufferTarget.ElementArrayBuffer)의 경우 VAO 상태의 일부로 바인딩이 되기 때문에 VAO를 Unbind 하면 GL_ELEMENT_ARRAY_BUFFER 역시 자동으로 Unbind 시킨다고 합니다. 반면 GL_ARRAY_BUFFER(BufferTarget.ArrayBuffer)는 VAO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Unbind 호출이 필요하다고. (실제로, unbind 유무에 상관없이 메모리 누수 같은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VAO 조차도 Unbind를 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어차피 다른 VAO를 Bind 하면 기존 바인드 되었던 VAO가 Unbind되므로 오히려 명시적인 Unbind는 성능상 좋지 않다고 합니다. 단지, Unbind를 명시적으로 하는 것이 어떤 식으로든 지나칠 수 있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정도 성능은 감수하고 맞춰 주는 것이 좋다는 언급도 합니다.




Vertex에 대한 인덱스 정보로 바뀌었기 때문에 Render 방식에도 변화가 있습니다. 기존의 DrawArrays에서,

Gl.DrawArrays(PrimitiveType.Triangles, 0, model.VertexCount); // model.VertexCount == 6 (점의 수, float [18])

DrawElements로 바뀝니다.

public void Render(RawModel model)
{
    Gl.BindVertexArray(model.VaoID);
    Gl.EnableVertexAttribArray(0);

    Gl.DrawElements(PrimitiveType.Triangles, model.VertexCount, DrawElementsType.UnsignedInt, IntPtr.Zero);

    Gl.DisableVertexAttribArray(0);
    Gl.BindVertexArray(0);
}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Triangles에 model.VertexCount == 12 (float [12])로 4개의 점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지만, index 버퍼에 대한 정보는 Render 코드에서 찾아볼 수 없습니다. 아마도 이것은 VAO에 Gl.VertexAttribPointer 메서드로 바인딩하는 시점에 BufferTarget.ElementArrayBuffer로 지정된 index 버퍼의 정보가 VAO에 기록되는 것이 아닌가 예상해 봅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정리하면,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번 예제를 인덱스 버퍼로 변환한 것에 불과하므로 실행 결과는 동일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7/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08정성태12/18/201721429.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351.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11406정성태12/17/201746792.NET Framework: 711. C# - OpenCvSharp의 Mat 데이터 조작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405정성태12/17/201742777.NET Framework: 710. C# - OpenCvSharp을 이용한 Webcam 영상 처리 + Direct2D [1]파일 다운로드1
11404정성태12/16/201730046.NET Framework: 709.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Direct2D [7]파일 다운로드1
11403정성태12/16/201732593.NET Framework: 708.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3]파일 다운로드1
11402정성태12/15/201737225.NET Framework: 707.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2]파일 다운로드1
11401정성태12/15/201726141.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2]파일 다운로드1
11400정성태12/14/201729002.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9]파일 다운로드1
11399정성태12/13/201717699.NET Framework: 704. Win32 API의 UnionRect를 닷넷 BCL의 Rectangle.Union으로 바꿀 때 주의 사항
11398정성태12/13/201717907오류 유형: 442. ASP.NET Core Web Application (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시 런타임 버전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97정성태12/12/201720486.NET Framework: 703. 양자 컴퓨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Q# 언어
11396정성태12/8/201742888개발 환경 구성: 343. Visual Studio - 리눅스 용 프로젝트의 인텔리센스를 위한 헤더 파일 처리 방법 [3]
11395정성태12/8/201718718오류 유형: 441. 이벤트 로그 - Time Provider NtpClient: No valid response has been received from domain controller
11394정성태12/8/201718366개발 환경 구성: 34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93정성태12/7/201722925Windows: 145.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5]
11392정성태12/7/201718168개발 환경 구성: 341. openSUSE에 닷넷 코어 설치
11391정성태12/7/201721010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1]
11390정성태12/7/201729661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6]
11389정성태12/7/201718370오류 유형: 440. .NET Core 오류 - 0x80131620 Unable to load DLL 'libuv'
11388정성태12/6/201722044개발 환경 구성: 338. WSL 또는 Ubuntu에 닷넷 코어 설치 [3]
11387정성태12/6/201722349오류 유형: 439. 이벤트 로그 - Data Sharing Service 서비스의 %%3239247874 오류 메시지
11386정성태12/5/201717900오류 유형: 438. Hyper-V - '...' failed to add device 'Virtual CD/DVD Disk'
11385정성태12/5/201730985VC++: 121.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Visual C++) [16]파일 다운로드1
11384정성태12/5/201720322오류 유형: 437. Visual C++ - Cannot open include file: 'SDKDDKVer.h'
11383정성태12/4/201723399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