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USB 장치의 연결 및 해제 알림을 위한 WM_DEVICECHANGE 메시지 처리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군요. ^^

MFC 에서 WM_DEVICECHANGE 메시지의 Wparam이 항상 7로 들어옵니다.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bd667c77-428b-439f-9cf0-9229de544b65/mfc-wmdevicechange-wparam-7-?forum=visualcplusko

편하게 C# WinForm으로 구현해 보겠습니다. 우선, 기본 상태에서 WM_DEVICECHANGE의 상태 알림을 확인해 보면,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const int WM_DEVICECHANGE = 0x0219;

        protected override void WndProc(ref Message m)
        {
            if (m.Msg == WM_DEVICECHANGE)
            {
                Debug.WriteLine(DateTime.Now + ": " + m.Msg + ", " + m.WParam.ToInt64() + ", " + m.LParam.ToInt64());
            }

            base.WndProc(ref m);
        }
    }
}

USB 장치를 연결 및 해제 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연결 시]
2018-12-05 오전 8:52:35: 537, 7, 0
2018-12-05 오전 8:52:36: 537, 7, 0
2018-12-05 오전 8:52:36: 537, 7, 0

[해제 시]
2018-12-05 오전 8:52:43: 537, 7, 0
2018-12-05 오전 8:52:43: 537, 7, 0

보는 바와 같이, 연결과 해제에 따른 WPARAM의 값이 7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분을 할 수 있는 기준이 없습니다. 이제 문서에 따라,

RegisterDeviceNotification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desktop/api/winuser/nf-winuser-registerdevicenotificationa

RegisterDeviceNotification을 처리해 줄 UsbAlarm이라는 타입을 다음과 같이 만들고,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class UsbAlarm : IDisposable
    {
        [DllImport("user32.dll", SetLastError = true)]
        static extern IntPtr RegisterDeviceNotification(IntPtr hRecipient, IntPtr NotificationFilter, uint Flags);

        [DllImport("user32.dll", SetLastError = true)]
        static extern bool UnregisterDeviceNotification(IntPtr Handle);

        List<IntPtr> _notifications = new List<IntPtr>();

        public const int WM_DEVICECHANGE = 0x0219;
        public const int DBT_DEVTYP_DEVICEINTERFACE = 0x05;
        public const int DEVICE_NOTIFY_WINDOW_HANDLE = 0x00000000;

        // 연결된 장치 알아내기
        // http://bboogugu.egloos.com/v/591770
        Guid[] GUID_DEVINTERFACE_LIST =
        {
            // GUID_DEVINTERFACE_USB_DEVICE
            new Guid(0xA5DCBF10, 0x6530, 0x11D2, 0x90, 0x1F, 0x00, 0xC0, 0x4F, 0xB9, 0x51, 0xED),
            // GUID_DEVINTERFACE_COMPORT
            new Guid(0x86e0d1e0, 0x8089, 0x11d0, 0x9c, 0xe4, 0x08, 0x00, 0x3e, 0x30, 0x1f, 0x73),
            // GUID_DEVINTERFACE_MODEM
            new Guid(0x2c7089aa, 0x2e0e, 0x11d1, 0xb1, 0x14, 0x00, 0xc0, 0x4f, 0xc2, 0xaa, 0xe4),
            // GUID_DEVINTERFACE_DISK
            new Guid(0x53f56307, 0xb6bf, 0x11d0, 0x94, 0xf2, 0x00, 0xa0, 0xc9, 0x1e, 0xfb, 0x8b),
            // GUID_DEVINTERFACE_HID, 
            new Guid(0x4D1E55B2, 0xF16F, 0x11CF, 0x88, 0xCB, 0x00, 0x11, 0x11, 0x00, 0x00, 0x30),
            // GUID_NDIS_LAN_CLASS
            new Guid(0xad498944, 0x762f, 0x11d0, 0x8d, 0xcb, 0x00, 0xc0, 0x4f, 0xc3, 0x35, 0x8c),
            // GUID_DEVINTERFACE_SERENUM_BUS_ENUMERATOR
            new Guid(0x4D36E978, 0xE325, 0x11CE, 0xBF, 0xC1, 0x08, 0x00, 0x2B, 0xE1, 0x03, 0x18),
            // GUID_DEVINTERFACE_PARALLEL
            new Guid(0x97F76EF0, 0xF883, 0x11D0, 0xAF, 0x1F, 0x00, 0x00, 0xF8, 0x00, 0x84, 0x5C),
            // GUID_DEVINTERFACE_PARCLASS
            new Guid(0x811FC6A5, 0xF728, 0x11D0, 0xA5, 0x37, 0x00, 0x00, 0xF8, 0x75, 0x3E, 0xD1)
        };

        unsafe public UsbAlarm(IntPtr windowHandle)
        {
            DEV_BROADCAST_DEVICEINTERFACE filter = new DEV_BROADCAST_DEVICEINTERFACE();
            filter.dbcc_size = DEV_BROADCAST_DEVICEINTERFACE.Size;
            filter.dbcc_devicetype = DBT_DEVTYP_DEVICEINTERFACE;

            foreach (Guid guid in GUID_DEVINTERFACE_LIST)
            {
                filter.dbcc_classguid = guid;

                DEV_BROADCAST_DEVICEINTERFACE* ptr = &filter;
                IntPtr ptrStruct = new IntPtr(ptr);
                IntPtr hDevNotify = RegisterDeviceNotification(windowHandle, ptrStruct, DEVICE_NOTIFY_WINDOW_HANDLE);
                if (hDevNotify == IntPtr.Zero)
                {
                    Debug.WriteLine("Failed to register: " + guid);
                }
                else
                {
                    _notifications.Add(hDevNotify);
                }
            }
        }

        public void Dispose()
        {
            foreach (IntPtr handle in _notifications)
            {
                UnregisterDeviceNotification(handle);
            }
        }
    }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struct DEV_BROADCAST_DEVICEINTERFACE
    {
        public int dbcc_size;
        public int dbcc_devicetype;
        public int dbcc_reserved;
        public Guid dbcc_classguid;
        public char dbcc_name;
        public static readonly int Size = Marshal.SizeOf(typeof(DEV_BROADCAST_DEVICEINTERFACE));
    }
}

이렇게 Form에서 사용해 봅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mponentModel;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UsbAlarm _usbAlarm;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_usbAlarm = new UsbAlarm(this.Handle);
        }

        protected override void OnClosing(CancelEventArgs e)
        {
            if (_usbAlarm != null)
            {
                _usbAlarm.Dispose();
            }

            base.OnClosing(e);
        }

        protected override void WndProc(ref Message m)
        {
            if (m.Msg == UsbAlarm.WM_DEVICECHANGE)
            {
                Debug.WriteLine("Form1: " + DateTime.Now + ": " + m.Msg + ", " + m.WParam.ToInt64() + ", " + m.LParam.ToInt64());
            }

            base.WndProc(ref m);
        }
    }
}

다시 USB 장치를 연결 및 해제하면 이제 그 상태를 WPARAM 값을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연결 시]
Form1: 2018-12-05 오전 9:08:37: 537, 32768, 5892240
Form1: 2018-12-05 오전 9:08:37: 537, 32768, 5892240

DBT_DEVICEARRIVAL (0x8000 == 32768)

[해제 시]
Form1: 2018-12-05 오전 9:08:44: 537, 32772, 5892240
Form1: 2018-12-05 오전 9:08:44: 537, 32772, 5892240

DBT_DEVICEREMOVECOMPLETE (0x8004 == 32772)

잘 동작하는군요. ^^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서, 검색 결과 다이얼로그의 최상위에서만 정상 결과가 들어온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게 좀 이상합니다. RegisterDeviceNotification의 첫 번째 인자가 윈도우 핸들 값인데, 윈도우 시스템이 굳이 저 윈도우 핸들의 부모 핸들을 탐색한 후 최상위 윈도우에만 알림을 전달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테스트를 해볼까요? ^^

MainForm에 버튼을 추가하고 그에 대해 MyForm 하위 대화창을 띄워두도록 한 후,

using System;
using System.ComponentModel;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otected override void WndProc(ref Message m)
        {
            if (m.Msg == UsbAlarm.WM_DEVICECHANGE)
            {
                Debug.WriteLine("Form1: " + DateTime.Now + ": " + m.Msg + ", " + m.WParam.ToInt64() + ", " + m.LParam.ToInt64());
            }

            base.WndProc(ref m);
        }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MyForm form = new MyForm();
            form.ShowDialog();
        }
    }
}

MyForm 코드에 UsbAlarm 코드를 구현하면,

using System;
using System.ComponentModel;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MyForm : Form
    {
        UsbAlarm _usbAlarm;

        public MyForm()
        {
            InitializeComponent();
            _usbAlarm = new UsbAlarm(this.Handle);
        }

        protected override void WndProc(ref Message m)
        {
            if (m.Msg == UsbAlarm.WM_DEVICECHANGE)
            {
                Debug.WriteLine("MyForm: " + DateTime.Now + ": " + m.Msg + ", " + m.WParam.ToInt64() + ", " + m.LParam.ToInt64());
            }

            base.WndProc(ref m);
        }

        protected override void OnClosing(CancelEventArgs e)
        {
            if (_usbAlarm != null)
            {
                _usbAlarm.Dispose();
            }

            base.OnClosing(e);
        }
    }
}

USB 연결/해제 시 다음과 같은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결 시]
MyForm: 2018-12-05 오전 9:20:58: 537, 7, 0
Form1: 2018-12-05 오전 9:20:58: 537, 7, 0
MyForm: 2018-12-05 오전 9:20:58: 537, 32768, 7331776
MyForm: 2018-12-05 오전 9:20:58: 537, 32768, 7331776

[해제 시]
MyForm: 2018-12-05 오전 9:21:05: 537, 32772, 7331776
MyForm: 2018-12-05 오전 9:21:05: 537, 32772, 7331776
MyForm: 2018-12-05 오전 9:21:16: 537, 7, 0
Form1: 2018-12-05 오전 9:21:16: 537, 7, 0

정상적으로 Top-level 윈도우가 아니라 RegisterDeviceNotification에 전달한 윈도우로 이벤트가 잘 전달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뜬금없이 Top-level 윈도우에서만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왔을까요? 이쯤에서 다시 문서를 보면,

Applications send event notifications using the BroadcastSystemMessage function. Any application with a top-level window can receive basic notifications by processing the WM_DEVICECHANGE message. Applications can use the RegisterDeviceNotification function to register to receive device notifications.


의문이 풀립니다. 즉, Top-level 윈도우는 RegisterDeviceNotification으로 알림 등록을 하지 않아도 WM_DEVICECHANGE 이벤트를 기본적인 수준에서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인데, 질문자가 검색한 글의 작성자는 이것을 잘못 해석한 내용을 써놓았던 것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2/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1-29 04시00분
[StarRang] 안녕하세요.
WndProc 함수는 USB 포함 모든 Portable Device에 대해서 인식할 수 있는데,
모든 Portable Device가 아닌 모바일 기기나 특정 기기만 인식할 수 있도록 가능할까요?
[guest]
2022-11-29 04시12분
문서에도 나오지만 RegisterDeviceNotification의 두 번째 인자에 NotificationFilter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검색해 보면,

Obtaining Device Notification for USB Device Arrival and Surprise Removal for MFC
; https://community.silabs.com/s/article/Obtaining-Device-Notification-for-USB-Device-Arrival-and-Surprise-Removal-for-C-MFC

관련 예제 코드가 있으니 어렵지 않게 만드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저도 해보진 않아서 어느 정도의 필터링 기능을 하는지는 모릅니다. 해보시고 ^^ 후기 좀 남겨주세요.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53정성태2/23/202024454.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21443.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24079.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24195.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49정성태2/20/202021087.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
12148정성태2/19/202025780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
12147정성태2/19/202021067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
12146정성태2/18/202022268.NET Framework: 893. eBEST C# XingAPI 래퍼 - 로그인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145정성태2/18/202023873.NET Framework: 892. eBEST C# XingAPI 래퍼 - Sqlite 지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2144정성태2/13/202024067.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143정성태2/13/202018490.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파일 다운로드1
12142정성태2/12/202022445.NET Framework: 889. C# 코드로 접근하는 MethodDesc, MethodTable파일 다운로드1
12141정성태2/10/202021417.NET Framework: 888. C# -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2140정성태2/10/202022745.NET Framework: 887. C#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2139정성태2/9/202022437.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12138정성태2/9/202028644.NET Framework: 88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6]파일 다운로드1
12137정성태2/9/202020309오류 유형: 592. [AhnLab] 경고 - 디버거 실행을 탐지했습니다.
12136정성태2/6/202021973Windows: 168.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135정성태2/6/202027748개발 환경 구성: 468. Nuget 패키지의 로컬 보관 폴더를 옮기는 방법 [2]
12134정성태2/5/202024993.NET Framework: 884. eBEST XingAPI의 C# 래퍼 버전 - XingAPINet Nuget 패키지 [5]파일 다운로드1
12133정성태2/5/202022782디버깅 기술: 161.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두 번째 이야기
12132정성태1/28/202025882.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1]파일 다운로드1
12131정성태1/27/202024516개발 환경 구성: 467. LocaleEmulator를 이용해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한글이 깨지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
12130정성태1/26/202022081VS.NET IDE: 142. Visual Studio에서 windbg의 "Open Executable..."처럼 EXE를 직접 열어 디버깅을 시작하는 방법
12129정성태1/26/202029082.NET Framework: 882. C# - 키움 Open API+ 사용 시 Registry 등록 없이 KHOpenAPI.ocx 사용하는 방법 [3]
12128정성태1/26/202023213오류 유형: 591. The code execution cannot proceed because mfc100.dll was not found. Reinstalling the program may fix this problem.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