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296. .NET Core 프로젝트를 NuGet Gallery에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4

.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696

개발 환경 구성: 423. NuGet 패키지 제작 - Native와 Managed DLL을 분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93

개발 환경 구성: 494. NuGet - nuspec의 패키지 스키마 버전(네임스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34




NuGet 패키지 제작 - Native와 Managed DLL을 분리하는 방법

지난번에 만든 NuGet 패키지를,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
; https://www.sysnet.pe.kr/2/0/11768

Visual Studio 2015에서 참조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Failed to add reference to 'SoilProxy32' 

배경 설명을 하면, 해당 Package는 Managed와 Native 모듈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패키징 방식이 lib 폴더 밑에 모두 집어넣는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다음과 같이 폴더 구조를 잡고,

Root
│   SoilNET.nuspec
│
└───lib
    ├───net40
    │       Soil.NetFX4.dll
    │       Soil.NetFX4.pdb
    │       SoilProxy32.dll
    │       SoilProxy32.pdb
    │       SoilProxy64.dll
    │       SoilProxy64.pdb
    │
    └───netstandard2.0
            Soil.NetCore.deps.json
            Soil.NetCore.dll
            Soil.NetCore.pdb
            SoilProxy32.dll
            SoilProxy32.pdb
            SoilProxy64.dll
            SoilProxy64.pdb

SoilNET.nuspec의 내용을 이렇게 채운 후,

<?xml version="1.0"?>
<package >
    <metadata>
        <id>SoilDotnet</id>
        <title>soil 1.16 for .NET Framework</title>
        <version>1.0.1</version>
        <authors>kevin13</authors>
        <requireLicenseAcceptance>false</requireLicenseAcceptance>
        <description>soil 1.16 for .NET Framework 4.x and .NET Standard</description>
        <!--iconUrl>if you send it to me, I'll use it.</iconUrl-->
        <tags>opengl soil v150 vs2017 managed</tags>
        <projectUrl>https://github.com/stjeong/SoilNET</projectUrl>
        <dependencies>
          <group targetFramework=".NETFramework4.0" />
          <group targetFramework=".NETStandard2.0" />
        </dependencies>
    </metadata>
</package>

nuget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패키징이 되는 것입니다.

nuget pack SoilNET.nuspec -OutputDirectory ..\nuget_package

이렇게 패키징한 파일을 Visual Studio 2017에서 참조 추가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반면, Visual Studio 2015에서는 Native 모듈인 SoilProxy32.dll를 참조할 수 없다는 오류가 뜨는 것입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2015 버전에서는 폴더에 있는 DLL 파일이라면 무조건 .NET DLL로 가정하고 참조 추가를 해버리는데 SoilProxy32.dll이 Native이기 때문에 참조 추가에 실패해 그런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2017의 경우에는 똑똑하게 ^^ 해당 DLL의 유형에 따라 참조 추가 유무를 결정하므로 문제가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2015로 하여금 Native DLL은 참조 추가를 하지 않고 단지 Output Directory에 복사만 하도록 지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참조 대상인 DLL과 그렇지 않은 파일을 폴더로 구분해 나누고 nuspec에 참조할 수 있는 DLL을 다음과 같이 직접 지정해야 합니다.

<?xml version="1.0"?>
<package >
    <metadata>
        <id>SoilDotnet</id>
        <title>soil 1.16 for .NET Framework</title>
        <version>1.0.3</version>
        <authors>kevin13</authors>
        <requireLicenseAcceptance>false</requireLicenseAcceptance>
        <description>soil 1.16 for .NET Framework 4.x and .NET Standard</description>
        <!--iconUrl>if you send it to me, I'll use it.</iconUrl-->
        <tags>opengl soil v150 vs2017 managed</tags>
        <projectUrl>https://github.com/stjeong/SoilNET</projectUrl>
        <dependencies>
          <group targetFramework=".NETFramework4.0" />
          <group targetFramework=".NETStandard2.0" />
        </dependencies>

        <references>
            <group targetFramework="net40">
                <reference file="Soil.NetFX4.dll" />
            </group>
            <group targetFramework="netcoreapp">
                <reference file="Soil.NetCore.dll" />
            </group>
        </references>
    </metadata>
</package>

그리고 Native DLL은 별도의 폴더로 구분해 넣어두는데 그래서 패키지의 소스 트리 구조가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Root
│   SoilNET.nuspec
│
├───build
│       SoilDotnet.targets
│
└───lib
    ├───net40
    │       Soil.NetFX4.dll
    │       Soil.NetFX4.pdb
    │
    ├───netstandard2.0
    │       Soil.NetCore.deps.json
    │       Soil.NetCore.dll
    │       Soil.NetCore.pdb
    │
    └───runtimes
            SoilProxy32.dll
            SoilProxy32.pdb
            SoilProxy64.dll
            SoilProxy64.pdb

여기까지만 하면, Visual Studio 2015는 현재의 프로젝트 유형에 따라 Soil.NetFX4.dll 또는 Soil.NetCore.dll을 참조 추가하게 됩니다. 문제는 runtimes 밑에 있는 파일들이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즉, 참조한 Managed DLL과 같은 폴더에 놓이도록 출력이 되어야 하는데 저렇게 한 상태에서는 SoilProxy32.dll, SoilProxy64.dll이 누락됩니다.

물론, 해당 파일들을 net40 폴더나 netstandard2.0에 포함시켜도 되지만 그렇게 하면 Visual Studio 2015에서는 DLL이기 때문에 참조를 하려고 해 다시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빌드 시에 MSBuild로 하여금 NuGet 패키지를 위한 build target 파일을 처리하도록 지정할 수 있습니다. 바로 그 파일이 위의 트리 구조에서 "build" 폴더에 있는 SoilDotnet.targets 파일입니다. 파일의 내용을 보면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ToolsVersion="4.0"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ItemGroup>
        <Content Include="$(MSBuildThisFileDirectory)..\lib\runtimes\SoilProxy64.dll">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Link>SoilProxy64.dll</Link>
        </Content>
        <Content Include="$(MSBuildThisFileDirectory)..\lib\runtimes\SoilProxy32.dll">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Link>SoilProxy32.dll</Link>
        </Content>
    </ItemGroup>
</Project>

위와 같이 targets 파일을 만들어 패키지에 포함시키면, 이것을 참조한 프로젝트를 빌드시 저 동작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Native DLL이 빌드 디렉터리에 복사가 되어 결국 "Failed to add reference to 'SoilProxy32'" 문제가 해결되는 것입니다. 덕분에 이번 기회에 ^^ NuGet 패키징을 좀 더 알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6/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8-24 01시09분
다음의 동영상에서, nuget 패키지를 직접 C# 소스 코드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방법이 나옵니다.

Nuget의 모듈 구조
; https://youtu.be/i9zw6x6zQLI?t=4525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00정성태8/18/2025250오류 유형: 979.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13999정성태8/15/2025757닷넷: 2355. C# 14 - (8) null 조건부 연산자 개선 - 대입문에도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998정성태8/14/2025813닷넷: 2354. C# 14 - (7) 확장 메서드에 정적 메서드와 속성 지원을 위한 전용 구문 추가파일 다운로드1
13997정성태8/14/2025975Linux: 120. docker 컨테이너로 매핑된 볼륨에 컨테이너 측의 사용자 ID를 유지하면서 복사하는 방법
13996정성태8/13/2025577오류 유형: 978. Unable to find the requested .Net Framework Data Provider.
13995정성태8/13/2025629개발 환경 구성: 754. Visual C++ - 리눅스 빌드를 위한 Ubuntu 18 docker 컨테이너 설정
13994정성태8/12/2025642오류 유형: 977. SQL Server - User, group, or role '...' already exists in the current databas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5023)
13993정성태8/11/2025972오류 유형: 976. Microsoft.ML.OnnxRuntimeGenAI 패키지 사용 시 "cublasLt64_12.dll" which is missing. (Error 126: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오류
13992정성태8/11/20251156닷넷: 2353. C# - Foundry Local을 이용한 gpt-oss-20b 모델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991정성태8/9/20251080오류 유형: 975. winget - Foundry Local 패키지 업데이트가 안 되는 문제
13990정성태8/8/2025830Windows: 283. Time zone 설정이 없는 Windows Server 2025
13989정성태8/8/20251220닷넷: 2352. C# - Windows S-mode 환경인지 체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988정성태8/8/20251361오류 유형: 974. 비주얼 스튜디오 업데이트 시 잠김 파일 경고 - Visual Studio Standard Collector Service 150 (VSStandardCollectorService150)
13987정성태8/7/20251030닷넷: 2351. C# 14 - (6) event와 생성자에도 partial 메서드 적용파일 다운로드1
13986정성태8/6/20251110닷넷: 2350. C# 14 - (5) 람다 매개 변수에 접근자가 있는 경우에도 타입 생략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985정성태8/6/20251468오류 유형: 973. "wsl --install" 명령어 수행 시 "The server name or address could not be resolved"
13984정성태8/6/20251243Windows: 282. 윈도우 운영체제에 추가된 ssh 서버(Win32-OpenSSH)
13983정성태8/4/20251326오류 유형: 972. Microsoft.Data.SqlClient 6.1.0 버전부터 .NET 8 이상만 지원
13982정성태8/2/20251747개발 환경 구성: 753. CentOS 7 컨테이너 내에서 openssh 서버 호스팅
13981정성태8/1/20251400오류 유형: 971. CentOS 7에서 yum 사용 시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13980정성태7/31/20251580Linux: 119.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2)
13979정성태7/30/20251875Linux: 118.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13978정성태7/29/20251705오류 유형: 970. 파일 복사 시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에러
13977정성태7/28/20252020닷넷: 2349. C# 14 - (4) 문자열 리터럴을 utf-8 인코딩으로 저장파일 다운로드1
13976정성태7/25/20251867닷넷: 2348. C# - 카카오 카나나 모델 + Microsoft.ML.OnnxRuntimeGenAI 예제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