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cpkg - "File does not have expected hash" 오류를 무시하는 방법

vcpkg install 명령으로 패키지를 설치하는 경우 압축 파일이 .\vcpkg\downloads 폴더에 생성됩니다. 그리고, 이 압축 파일을 풀어서 파일 내용을 변경 후 다시 압축해서 .\vcpkg\downloads 폴더에 놓으면 vcpkg는 새로 압축 파일을 내려받지 않고 변경된 파일을 대상으로 작업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렇게 변경한 경우 파일의 해시가 틀리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설치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vcpkg>vcpkg install sfml
The following packages will be built and installed:
    sfml[core]:x86-windows
Starting package 1/1: sfml:x86-windows
Building package sfml[core]:x86-windows...
-- Using cached c:/temp/vcpkg/downloads/SFML-SFML-2.5.1.tar.gz
CMake Error at scripts/cmake/vcpkg_download_distfile.cmake:91 (message):


  File does not have expected hash:

          File path: [ c:/temp/vcpkg/downloads/SFML-SFML-2.5.1.tar.gz ]
      Expected hash: [ 7aed2fc29d1da98e6c4d598d5c86cf536cb4eb5c2079cdc23bb8e502288833c052579dadbe0ce13ad6461792d959bf6d9660229f54c54cf90a541c88c6b03d59 ]
        Actual hash: [ bc6f262070ce3242da05950d3265623af4c189bf0dd87085dbe3884679a8dfc70ef5ad31cc2f6ea0fb19bb4a50ee8abf4e6fd4f34a3f53af08d68a526ebfd98a ]

  Please delete the file and retry if this file should be downloaded again.

Call Stack (most recent call first):
  scripts/cmake/vcpkg_download_distfile.cmake:102 (test_hash)
  scripts/cmake/vcpkg_from_github.cmake:108 (vcpkg_download_distfile)
  ports/sfml/portfile.cmake:3 (vcpkg_from_github)
  scripts/ports.cmake:71 (include)


Error: Building package sfml:x86-windows failed with: BUILD_FAILED
Please ensure you're using the latest portfiles with `.\vcpkg update`, then
submit an issue at https://github.com/Microsoft/vcpkg/issues including:
  Package: sfml:x86-windows
  Vcpkg version: 2018.10.20-nohash

Additionally, attach any relevant sections from the log files above.

당연한 결과이지만, 어쨌든 이런 식의 변경은 의도한 것이기 때문에 그냥 넘어갔으면 좋겠는데요. 일단, vcpkg 명령행에서는 "--keep-going" 옵션이 제공은 되지만 해시 오류에서는 여전히 멈추게 됩니다. 딱히, 웹 검색을 해봐도 이 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없는데요.

최후의 방법으로 ^^ 빌드 파이프라인을 수정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vcpkg\scripts\cmake 폴더에 가면 vcpkg_download_distfile.cmake 파일이 있고, 여기에 다음과 같이 test_hash 함수가 제공됩니다.

function(test_hash FILE_PATH FILE_KIND CUSTOM_ERROR_ADVICE)
    if(_VCPKG_INTERNAL_NO_HASH_CHECK)
        # When using the internal hash skip, do not output an explicit message.
        return()
    endif()
    if(vcpkg_download_distfile_SKIP_SHA512)
        message(STATUS "Skipping hash check for ${FILE_PATH}.")
        return()
    endif()

    file(SHA512 ${FILE_PATH} FILE_HASH)
    if(NOT FILE_HASH STREQUAL vcpkg_download_distfile_SHA512)
        message(FATAL_ERROR
            "\nFile does not have expected hash:\n"
            "        File path: [ ${FILE_PATH} ]\n"
            "    Expected hash: [ ${vcpkg_download_distfile_SHA512} ]\n"
            "      Actual hash: [ ${FILE_HASH} ]\n"
            "${CUSTOM_ERROR_ADVICE}\n")
    endif()
endfunction()

따라서, 저 함수를 호출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같은 파일의 vcpkg_download_distfile 함수를 보면 test_hash를 호출하는 다음의 코드가 나옵니다.

if(EXISTS "${downloaded_file_path}")
    message(STATUS "Using cached ${downloaded_file_path}")
    test_hash("${downloaded_file_path}" "cached file" "Please delete the file and retry if this file should be downloaded again.")
else()
    if(_VCPKG_NO_DOWNLOADS)
        message(FATAL_ERROR "Downloads are disabled, but '${downloaded_file_path}' does not exist.")
    endif()

    # Tries to download the file.

...[생략]...

끝났군요. ^^ 저 라인을 그냥 주석 처리하면 됩니다.

if(EXISTS "${downloaded_file_path}")
    message(STATUS "Using cached ${downloaded_file_path}")
    # test_hash("${downloaded_file_path}" "cached file" "Please delete the file and retry if this file should be downloaded again.")
else()
    if(_VCPKG_NO_DOWNLOADS)
        message(FATAL_ERROR "Downloads are disabled, but '${downloaded_file_path}' does not exist.")
    endif()

    # Tries to download the file.

...[생략]...

이후 vcpkg install을 하면 정상적으로 빌드가 진행되고, 완료 후 잊지 말고 (보안을 위해) 주석을 해제해 줍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9/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5정성태1/23/201421121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450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3585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751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392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3980.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2130.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495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4088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3030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0023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182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794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1107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270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918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850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609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564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253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176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477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457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924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265.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319.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