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427. Netsh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능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42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Netsh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능

오호~~~ 재미있는 것을 하나 알았습니다. ^^ 바로 아래의 글에 소개된 Netsh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Netsh Trace - Use It!
; https://chentiangemalc.wordpress.com/2012/02/22/netsh-traceuse-it/

정리하면 Netsh 명령어로 특정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패킷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실습해 볼까요? ^^

다음과 같이 배치 파일을 만들어 특정 프로세스가 수행하는 동안의 네트워크 패킷을 살펴보겠습니다.

REM trace_net.bat

netsh trace start capture=YES report=YES persistent=YES

REM ...[run your process]...

netsh trace stop

예제 프로그램으로는 TCP 클라이언트를 하나 만들고,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Socket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Currnet Process Id: " + Process.GetCurrentProcess().Id);
        string target = "192.168.0.252";
        int port = 10320;

        IPAddress targetAddress = IPAddress.Parse(target);;
        Console.WriteLine("IPAddress: {0}", targetAddress);

        IPEndPoint ep = new IPEndPoint(targetAddress, port);

        TcpClient client = new TcpClient();

        Console.WriteLine("Connecting to {0}", ep);
        try
        {
            client.Connect(ep);
            Console.WriteLine("Connected");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Failed: " + e.ToString());
        }

        client.Close();
    }
}

존재하지도 않는 IP로 연결을 맺는 경우의 네트워크 패킷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관리자 권한의 cmd.exe 창에서 실행해야 합니다.)

c:\temp\ConsoleApplication1\bin\Debug> trace_net.bat

c:\temp\ConsoleApplication1\bin\Debug> netsh trace start capture=YES report=YES persistent=YES

Trace configuration:
-------------------------------------------------------------------
Status:             Running
Trace File:         %LOCALAPPDATA%\Temp\NetTraces\NetTrace.etl
Append:             Off
Circular:           On
Max Size:           250 MB
Report:             On

c:\temp\ConsoleApplication1\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192.168.0.252
Currnet Process Id: 14208
IPAddress: 192.168.0.252
Connecting to 192.168.0.252:10320
Failed: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0x80004005): A connection attempt failed because the connected party did not
 properly respond after a period of time, or established connection failed because connected host has failed to respond
192.168.0.252:10320
   at System.Net.Sockets.Socket.DoConnect(EndPoint endPointSnapshot, SocketAddress socketAddress)
   at System.Net.Sockets.Socket.Connect(EndPoint remoteEP)
   at System.Net.Sockets.TcpClient.Connect(IPEndPoint remoteEP)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53

c:\temp\ConsoleApplication1\bin\Debug>netsh trace stop
Correlating traces ... done
Merging traces ... done
Generating data collection and report ... done
The trace file and additional troubleshooting information have been compiled as "%LOCALAPPDATA%\Temp\NetTraces\NetTrace.cab".
Tracing session was successfully stopped.

완료 후, 2개의 파일(NetTrace.cab, NetTrace.etl)이 생성되는데 cab 파일은 etl 파일과 함께 여러 부가 정보를 함께 압축시킨 정도입니다. 따라서 그냥 NetTrace.etl 파일을 Microsoft Network Monitor를 이용해 읽어들인 후 프로세스 ID로 필터링하면 다음과 같이 1개의 TCP 패킷이 단방향으로 전송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http_connection_1.png




기존의 네트워크 모니터 프로그램이,

Network Monitor 3.4
;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4865

요 근래 Message Analyzer로 바뀌었습니다.

Microsoft Message Analyzer 
;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44226

새로운 도구를 이용해 볼까요? ^^ 이번엔 TCP 연결을 받은 후 바로 끊는 서버 프로그램도 만들어 (다른 컴퓨터에 실행해) 놓고,

using System;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Socket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port = 10320;
        Console.WriteLine(string.Format("TcpListener({0})", port));
        TcpListener listener = new TcpListener(IPAddress.Any, port);

        listener.Start();

        while (true)
        {
            Console.WriteLine("Waiting for client...");
            TcpClient client = listener.AcceptTcpClient();
            Console.WriteLine("Connected from {0}", client.Client.RemoteEndPoint);
            client.Close();
            Console.WriteLine("Connection Closed");
            Console.WriteLine();
        }
    }
}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연결만 하고 1초 대기 후 끊도록 바꾼 후,

TcpClient client = new TcpClient();

Console.WriteLine("Connecting to {0}", ep);
try
{
    client.Connect(ep);
    Console.WriteLine("Connected");
    Thread.Sleep(1000);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Failed: " + e.ToString());
}

client.Close();

netsh로 모니터링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Message Analyzer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http_connection_2.png

필터링 조건은 다음의 2개로 설정했습니다.

(*sourceaddress == 192.168.100.20 and *destinationaddress == 192.168.100.5)
or
(*sourceaddress == 192.168.100.5 and *destinationaddress == 192.168.100.20)

(*sourceport == 10320 or *destinationport == 10320)

이론상으로 보면,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다음의 통신을 하게 됩니다.

[연결 시 3-way handshake]
Client -> SYN -> Server
Client <- SYN, ACK <- Server
Client -> ACK -> Server

[해제 시 4-way handshake]
Client <- FIN <- Server (서버 측에서 먼저 연결을 끊으므로.)
Client -> ACK -> Server 

(1초 후)

Client -> FIN -> Server
Client <- ACK <- Server

그래서 총 7개의 패킷만 있어야 하는데, Message Analyzer의 결과를 보면 14개가 있습니다. 패킷 데이터를 보면 동일한 내용으로 2개씩 연이어 나오는데 단지 다른 점은 Miniport 인덱스만 틀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검색 조건을 하나 더 추가해야 합니다.

*MiniportIfIndex == 24

이렇게 하면 7개의 패킷이 나오고 연결 및 해제에 대한 handshake 패킷을 순서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기술 근간은 ETW이기 때문에 원한다면 코딩을 이용해 직접 다루는 것도 가능할 것입니다.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C#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04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8/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2-11 10시19분
네트워크 문제 확인하기 (Linux, ESXi, Windows)
; https://platformengineer.tistory.com/60
정성태
2019-03-19 08시57분
Capture a Network Trace without installing anything (& capture a network trace of a reboot)
; https://techcommunity.microsoft.com/t5/IIS-Support-Blog/Capture-a-Network-Trace-without-installing-anything-amp-capture/ba-p/376503
정성태
2019-03-20 04시43분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33정성태10/10/201821203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11732정성태10/10/201820939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731정성태10/9/201820470개발 환경 구성: 409.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웹 앱 확장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30정성태10/9/201819592개발 환경 구성: 408.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파일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29정성태10/9/201822171Windows: 150. 윈도우에서 ARP Cache 목록 확인 및 삭제하는 방법
11728정성태10/9/201819971사물인터넷: 50.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1]
11727정성태10/8/201821222오류 유형: 491. Visual Studio의 리눅스 SSH 원격 연결 - "Connectivity Failure. Please make sure host name and port number are correct."
11726정성태10/7/201823894사물인터넷: 49.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해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24정성태10/5/201823566개발 환경 구성: 407.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파일 다운로드1
11723정성태10/4/201817499개발 환경 구성: 406. "Docker for Windows" 컨테이너 내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
11722정성태10/4/201821137.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21정성태10/4/201821418.NET Framework: 797. Linux 환경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20정성태10/4/201822978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11719정성태10/4/201823636.NET Framework: 796.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11718정성태10/4/201818815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11717정성태10/3/201821399사물인터넷: 48. 넷두이노의 C# 네트워크 프로그램 [1]
11716정성태10/3/201821956사물인터넷: 47.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15정성태10/3/201820762사물인터넷: 46. Raspberry PI Zero (W)에 docker 설치
11714정성태10/2/201819973사물인터넷: 45. Raspberry PI에 ping을 hostname으로 하는 방법
11713정성태10/2/201822423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11712정성태10/2/201827583.NET Framework: 795. C# - 폰트 목록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구하는 방법 [3]
11711정성태10/2/201823058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10정성태10/2/201822030.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11709정성태9/30/201820319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1]
11708정성태9/30/201822447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1707정성태9/30/201823804오류 유형: 489. ASP.NET Core를 docker에서 실행 시 "Failed with a critical error." 오류 발생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