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diskpart - remove letter 이후 재부팅 시 다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는 경우 diskpart를 이용해 특정 파티션에 할당한 드라이브 문자를 제거할 수 있는데요. DISKPART> detail part Partition 3 Type : 27 Hidden: Yes Active: No Offset in Bytes: 47831842816 Volume ### Ltr Label Fs Type Size Status Info ---------- --- ----------- ----- ---------- ------- --------- -------- * Volume 3 F New Volume NTFS Partition 462 MB Healthy Hidden DISKPART> remove letter=F 문제는 이렇게 한 후 재부팅을 하면 다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됩니다. (이상하군요, 전에는 안 그랬던 것 같은데! ^^) 검색 결과, Remove Driver Letter for OEM Partition ; https://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all/remove-driver-letter-for-oem-partition/58ced1a5-9604-4ac2-a96b-c53f73c14f71 아예 마운팅을 해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mountvol f:\ /D 부팅 후에도 유효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NET Framework: 806. C# - int []와 object []의 차이로 이해하는 제네릭의 필요성[이전 글] 디버깅 기술: 121. windbg - 닷넷 Finalizer 스레드가 멈춰있는 현상 [연관 글] Windows: 143. Windows 10의 Recovery 파티션을 삭제 및 새로 생성하는 방법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오류 유형: 557.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지 않은 파티션을 탐색기에서 드라이브 문자와 함께 보여주는 문제Windows: 163. 안전하게 eject시킨 USB 장치를 물리적인 재연결 없이 다시 인식시키는 방법Windows: 164. GUID 이름의 볼륨에 해당하는 파티션을 찾는 방법 [최초 등록일: 1/24/2019] [최종 수정일: 1/24/2019]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50정성태1/30/200736712VS.NET IDE: 43. .NET에서의 필수 무결성 제어 조절하는 방법 - Manifest 파일 이용2449정성태2/4/200733305Windows: 20. UAC 이모저모 [2]448정성태1/28/200729125Windows: 19. 3가지 유형의 가젯 프로그램447정성태1/27/200725892Windows: 18. 비스타 도구 - 사양 정보 및 도구(Performance Information and Tools)446정성태1/27/200734842VC++: 30.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2) - 직접 코딩1445정성태2/8/200733955VC++: 29.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1) - Manifest 파일 이용2444정성태1/27/200727244VC++: 28. 비스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VS.NET 2005 환경 설정443정성태1/26/200725365VC++: 27. COM 개체로 인해 IE 7 비스타 버전이 종료될 때 오류 화면이 뜬다면?1442정성태1/24/200728277.NET Framework: 79. 새로운 암호화 클래스 (ECDsaCng, ECDiffieHellmanCng) 소개 [1]441정성태1/23/200733521Windows: 17. 보안 데스크톱에서 활성화되지 않은 UAC 창이 안전할까?440정성태1/24/200727431.NET Framework: 78. C# 3.0 - Anonymous types [1]439정성태1/25/200728328.NET Framework: 77. C# 3.0 - Lambda 표현식 [1]438정성태1/24/200726781.NET Framework: 76. C# 3.0 - 확장 메서드437정성태1/23/200735198Windows: 16. 개발자를 위한 UAC 환경 설정 [3]436정성태1/17/200724451VS.NET IDE: 42. Orcas 2007년 1월 CTP 버전 설치 [5]435정성태1/14/200723717기타: 17. 베타 제품과 최종 제품은 다르다 [2]434정성태2/4/200727792Windows: 15. MIC 환경 구성 - Windows XP와 유사한 보안 설정 [4]433정성태1/12/200737185Windows: 14. 보호 모드와 필수 무결성 제어(MIC: Mandatory Integrity Control) [3]1432정성태1/10/200728118Windows: 13. InitOnceExecuteOnce API 소개 [5]431정성태1/8/200725646Windows: 12. 비스타는 안전한 윈도우인가? [2]430정성태1/7/200732033웹: 6. IIS 7 마이그레이션 정리 - Sysnet427정성태12/30/200622195Team Foundation Server: 14. VS.NET IDE에 통합된 TFS Annotate [1]425정성태12/29/200626283Windows: 11. Vista IIS 7(Integrated mode)에서의 ASP.NET F5 디버깅 방법424정성태12/29/200624296기타: 16. 첫걸음 [2]426정성태12/30/200622943 기타: 16.1. 예외 발생420정성태12/27/200627680Windows: 10. Internet Explorer 7.0 호환성 백서 (Word 문서, 1.92MB) [7]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