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2019 Preview의 닷넷 프로젝트 빌드가 20초 이상 걸리는 경우

2019 Preview에서 기본 생성한 닷넷 프로젝트인데 빌드가 너무 느립니다. (대략 20초 이상 걸립니다.) 반면 동일한 프로젝트를 2017로 로드해 빌드하면 바로 끝납니다. 빌드 로그를 자세하게 남도록 설정하고 결과를 보니 CoreCompile에서 오래 걸립니다.

1>Target Performance Summary:
1>        0 ms  SetWin32ManifestProperties                 1 calls
...[생략]...
1>       39 ms  _GetProjectReferenceTargetFrameworkProperties   2 calls
1>    20785 ms  CoreCompile                                1 calls

프로세스로 보면 csc에서 걸린다고 하는데요.

1>Task Performance Summary:
1>        0 ms  Message                                    3 calls
1>        0 ms  ReadLinesFromFile                          1 calls
...[생략]...
1>       65 ms  MSBuild                                    5 calls
1>    20785 ms  Csc                                        1 calls

재미있는 것은, 해당 csc.exe를 명령행에서 수행하면 곧바로 끝납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eview\MSBuild\15.0\Bin\Roslyn\csc.exe" /noconfig /nowarn:1701,1702 /nostdlib+ /platform:AnyCPU /errorreport:prompt /warn:4 /define:DEBUG;TRACE /highentropyva+ /reference:F:\ts\WindowsFormsApp1\ClassLibrary1\bin\Debug\ClassLibrary1.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Microsoft.CSharp.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mscorlib.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System.Core.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System.Data.DataSetExtensions.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System.Data.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System.Deployment.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System.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System.Drawing.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System.Net.Http.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System.Windows.Forms.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System.Xml.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7.2\System.Xml.Linq.dll" /debug+ /debug:full /filealign:512 /optimize- /out:obj\Debug\WindowsFormsApp1.exe /ruleset:"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eview\Team Tools\Static Analysis Tools\\Rule Sets\MinimumRecommendedRules.ruleset" /subsystemversion:6.00 /resource:obj\Debug\WindowsFormsApp1.Form1.resources /resource:obj\Debug\WindowsFormsApp1.Properties.Resources.resources /target:winexe /utf8output /deterministic+ Form1.cs Form1.Designer.cs Program.cs Properties\AssemblyInfo.cs Properties\Resources.Designer.cs Properties\Settings.Designer.cs "C:\Users\TestUser\AppData\Local\Temp\.NETFramework,Version=v4.7.2.AssemblyAttributes.cs"

그런데, 마찬가지로 (2019 Preview 용) 명령행에서 "msbuild WindowsFormsApp1.csproj"로 빌드하면 또 오래 걸립니다. 자세히 보니 msbuild와 csc 직접 실행 간의 차이점이 있는데 msbuild인 경우에만 csc 실행 단계에서 다음의 로그가 보입니다.

Using shared compilation with compiler from directory: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eview\MSBuild\15.0\Bin\Roslyn

검색해 보면, "shared compilation"이란 로컬 상에서 별도의 빌드 프로세스인 VBCSCompiler가 빌드를 담당하는 거라고 합니다.

What means the “Using shared compilation with compiler from directory ..” message and what's shared compilation?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7590068/what-means-the-using-shared-compilation-with-compiler-from-directory-messag

사용 여부를 옵션으로 조정할 수 있는데, csproj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ToolsVersion="15.0"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Import Project="$(MSBuildExtensionsPath)\$(MSBuildToolsVersion)\Microsoft.Common.props" Condition="Exists('$(MSBuildExtensionsPath)\$(MSBuildToolsVersion)\Microsoft.Common.props')" />
  <PropertyGroup>
...[생략]...
    <UseRazorBuildServer>false</UseRazorBuildServer>
    <UseSharedCompilation>false</UseSharedCompilation>
  </PropertyGroup>
...[생략]...

다행히, 이후로는 빌드가 정상적인 속도로 바로 끝납니다.




그러니까 문제는, 아마도 VBCSCompiler.exe 프로세스를 실행하는데 뭔가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빌드를 하면 이 프로세스가 종료되기 때문에 매번 Visual Studio 2019 Preview로 빌드할 때마다 시간이 걸립니다.

그렇다면, 아예 VBCSCompiler.exe를 실행시켜 두면 어떨까요? 이를 위해 다음의 경로에 있는 파일을,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Preview\MSBuild\15.0\Bin\Roslyn\VBCSCompiler.exe

직접 실행해 두고, Visual Studio 2019 Preview에서 빌드했더니 이번에는 예상대로 UseSharedCompilation 옵션에 상관없이 빌드가 항상 빠르게 완료됩니다.

일단, 정식 버전이 나올 때까지(또는, 패치될 때까지) 이렇게 써야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0/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2-25 11시34분
vbcscompiler.exe 파일이 일정 시간 동안 빌드할 일이 없으면 자동으로 내려갑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VBCSCompiler.exe.config 파일을 열어 다음의 설정 값을 적절하게 바꿔주면 됩니다.

<add key="keepalive" value="600" />
정성태
2019-03-06 11시27분
Preview 3에서 발생한 문제로 현재 Preview 4/RC부터는 해당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2정성태1/29/200518224.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18823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90정성태1/27/200519608.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9정성태1/26/200524145VC++: 11. Delay Loaded DLL
87정성태1/23/200517747VS.NET IDE: 18. VS.NET 2005 Beta 1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구현시 버그
88정성태1/23/200517440    답변글 VS.NET IDE: 18.1. VS.NET 2003 : VC++ 프로젝트에서 Connection Point 추가시에도 버그
86정성태1/23/200523158.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5정성태1/23/200521302스크립트: 4. Windows 2003에서 BHO(Browser Helper Objects) 동작 안하는 현상 [1]
83정성태1/18/200526445.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82정성태1/3/200519909VS.NET IDE: 17. Windows 운영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서 파일 공유 접근 금지
79정성태1/20/200527844기타: 8. DELL Latitude D800 노트북 컴퓨터의 PC Beep 소음(!) 문제.
78정성태12/27/200420212VS.NET IDE: 16. MS 제품 관련 사용되는 TCP/IP 포트 열거파일 다운로드1
77정성태12/27/200420471VS.NET IDE: 15. Virtual CD-ROM Control Panel - ISO 이미지를 CD-ROM 드라이브처럼 접근하게 해주는 EXE 프로그램 [1]파일 다운로드1
76정성태12/27/200421526VS.NET IDE: 14. VPN 접속시 IP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법 [1]
75정성태12/27/200417768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
84정성태1/19/200518645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19266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80정성태12/31/200418554    답변글 VS.NET IDE: 12.1. Client Tier, 즉 VS.NET 2005가 설치된 컴퓨터도 ActiveDirectory에 참여를 해야 합니다.
81정성태12/31/200420460    답변글 VS.NET IDE: 12.2. Tier 컴퓨터를 모두 영문으로 재구성
109정성태3/4/200515660    답변글 VS.NET IDE: 12.3. [보완] MS 공식 아티클 - Installing the December CTP Release of Visual Studio Team System
73정성태11/14/200517485.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18945.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18812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71정성태12/26/200417170VS.NET IDE: 11. SQL Server 2005 Beta 2 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설치시 오류
70정성태12/26/200420001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69정성태12/5/200417080VS.NET IDE: 9. 다른 컴퓨터(방화벽 설치)에 설치된 SQL Server에 통합 인증을 할 때 필요한 포트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