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517. docker에 설치한 MongoDB 서버로 연결이 안 되는 경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00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docker에 설치한 MongoDB 서버로 연결이 안 되는 경우

docker에 MongoDB를 설치한 경우,

C:\> docker pull mongo

// docker run -d -p 27017:27017/tcp --name mongodb_inst --rm -it mongo
// docker exec --name mongodb_inst /bin/bash

(저처럼) 무심코 ^^; 27017 포트로 연결을 시도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를 보게 되는데요.

failed to connect to server [127.0.0.1:27017] on first connect
[MongoError: connect ECONNREFUSED 127.0.0.1:27017]

이유는, 포트 매핑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면 됩니다. ^^

C:\> docker container l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cf00331fdcbd        mongo:latest        "docker-entrypoint.s…"   3 minutes ago       Up 3 minutes        0.0.0.0:32768->27017/tcp   mongo




윈도우용의 압축 파일을 해제한 경우의 서비스 구동 방법

// 콘솔 실행 시 (대상이 되는 dbpath, 아래의 예에서는 d:\mongo\db 디렉터리를 미리 생성)
               (기본 dbpath는 mongodb가 설치된 드라이브의 "\data\db"이므로, 아래의 예에서는 d:\data\db" 디렉터리 생성 후 dbpath 옵션 없이 수행 가능)
d:\mongodb\bin> mongod --dbpath=d:\mongo\db --logpath=d:\mongo\log.txt

// 서비스 등록 시
d:\mongodb\bin> mongod --dbpath=d:\mongo\db --logpath=d:\mongo\log.txt --install

// 서비스 제거
d:\mongodb\bin> mongod --remove

mongo.exe 클라이언트 실행 후 기본 명령어
[데이터베이스 생성]
> use mydb
switched to db mydb

[컬렉션 생성]
> db.createCollection("users")
{ "ok" : 1 }

[컬렉션 확인]
> show collections
users

[문서 삽입]
> db.users.insert({name: "kevin" })
WriteResult({ "nInserted" : 1 })

> db.users.insert({name: "anders", age: 40})
WriteResult({ "nInserted" : 1 })

[문서 찾기]
> db.users.find()
{ "_id" : ObjectId("60f55e6772f24083840d4af6"), "name" : "kevin" }
{ "_id" : ObjectId("60f55ea172f24083840d4af7"), "name" : "anders", "age" : 40 }

// ObjectId: 문서 추가 시 _id 필드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default 값 체계
//           12바이트 - 타임스탬프(4바이트): 1970년 1월 1일 이후 초 단위로 시작한 값 (Sunday, 7 February 2106 06:28:16 GMT까지 표현할 수 있다고.)
//                     장비 식별자(3바이트), 프로세스 ID(2바이트), 카운터(3바이트)

[MongoDB 종료]
> use admin
switched to db admin
> db.shutdownServer()
server should be down...

// 공식 참조 문서
; https://docs.mongodb.com/manual/reference/

NoSQL 데이터베이스 타입
 - 데이터 모델 설계 방식
    1) 문서(Document) 모델: MongoDB,...
    2) 키-값(Key-value) 모델
    3) 칼럼(Column) 모델
    4) 그래프(Graph) 모델





오랜만에 이미지로부터 재실행한 mongodb가 구동이 안 되는데,

$ docker run --rm -it -p 27017:27017/tcp --name mongodb_inst -it mongo /bin/bash
WARNING: MongoDB 5.0+ requires a CPU with AVX support, and your current system does not appear to have that!
  see https://jira.mongodb.org/browse/SERVER-54407
  see also https://www.mongodb.com/community/forums/t/mongodb-5-0-cpu-intel-g4650-compatibility/116610/2
  see also https://github.com/docker-library/mongo/issues/485#issuecomment-891991814

오호~~~ 5.0 버전부터는 AVX 명령어 셋을 구현한 CPU가 필수적이라고 합니다. 그 와중에,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지도 못하면서 왜 저걸 ERROR가 아닌 WARNING 레벨로 처리한 것인지 궁금하군요. ^^;

어쨌든 테스트 환경의 CPU를 보면,

$ lscpu
Architecture:             x86_64
  CPU op-mode(s):         32-bit, 64-bit
  Address sizes:          40 bits physical, 48 bits virtual
  Byte Order:             Little Endian
CPU(s):                   20
  On-line CPU(s) list:    0-19
Vendor ID:                GenuineIntel
  Model name:             QEMU Virtual CPU version 2.5+
    CPU family:           15
    Model:                107
    Thread(s) per core:   1
    Core(s) per socket:   20
    Socket(s):            1
    Stepping:             1
    BogoMIPS:             5599.99
    Flags:                fpu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sep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mmx fxsr sse sse2 ht syscall nx lm constant_tsc nopl xtopology cpuid tsc_known_freq pni ssse3 cx16 sse4_1 sse4_2 x2apic popcnt a
                          es hypervisor lahf_lm cpuid_fault pti
Virtualization features:  
  Hypervisor vendor:      KVM
  Virtualization type:    full
Caches (sum of all):      
  L1d:                    640 KiB (20 instances)
  L1i:                    640 KiB (20 instances)
  L2:                     80 MiB (20 instances)
  L3:                     16 MiB (1 instance)
NUMA:                     
  NUMA node(s):           1
  NUMA node0 CPU(s):      0-19
Vulnerabilities:          
  Gather data sampling:   Not affected
  Itlb multihit:          KVM: Mitigation: VMX unsupported
  L1tf:                   Mitigation; PTE Inversion
  Mds:                    Vulnerable: Clear CPU buffers attempted, no microcode; SMT Host state unknown
  Meltdown:               Mitigation; PTI
  Mmio stale data:        Unknown: No mitigations
  Reg file data sampling: Not affected
  Retbleed:               Not affected
  Spec rstack overflow:   Not affected
  Spec store bypass:      Vulnerable
  Spectre v1:             Mitigation; usercopy/swapgs barriers and __user pointer sanitization
  Spectre v2:             Mitigation; Retpolines; STIBP disabled; RSB filling; PBRSB-eIBRS Not affected; BHI Retpoline
  Srbds:                  Not affected
  Tsx async abort:        Not affected

가상 환경인데다 "QEMU Virtual CPU version 2.5+" 가상 CPU가 배정돼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가상 환경의 CPU 구성을 AVX 가능한 설정으로 바꾸든가, 아니면 소프트웨어를 AVX에 제약 없는 버전으로 써야 합니다. 가령, 후자를 선택했다면 mongodb 이미지를 4.4.6 정도로 낮춰서 쓰면 됩니다. (검색해 보면 4.4.18까지 AVX 없이 구현돼 있다고 하는데, 실제로 해보면 4.4.18 역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docker run -d -p 27017:27017/tcp --restart=always --name mongodb_inst -it mongo:4.4.6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2/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485정성태12/15/202314809오류 유형: 883. dotnet build/restore -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13484정성태12/14/202316548개발 환경 구성: 694.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13483정성태12/14/202315205닷넷: 2184. C# - 하나의 resource 파일을 여러 프로그램에서 (AOT 시에도)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82정성태12/13/202317854닷넷: 2183. C# - eFriend Expert OCX 예제를 .NET Core/5+ Console App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481정성태12/13/202316479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80정성태12/12/202318969개발 환경 구성: 692. Windows WSL 2 + Chrome 웹 브라우저 설치
13479정성태12/11/202314948개발 환경 구성: 691. WSL 2 (Ubuntu) + nginx 환경 설정
13477정성태12/8/202316092닷넷: 2182. C# - .NET 7부터 추가된 Int128, UInt128 [1]파일 다운로드1
13476정성태12/8/202317504닷넷: 2181. C# - .NET 8 JsonStringEnumConverter의 AOT를 위한 개선파일 다운로드1
13475정성태12/7/202317961닷넷: 2180. .NET 8 - 함수 포인터에 대한 Reflection 정보 조회파일 다운로드1
13474정성태12/6/202316370개발 환경 구성: 690. 닷넷 코어/5+ 버전의 ilasm/ildasm 실행 파일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473정성태12/5/202317717닷넷: 2179. C# - 값 형식(Blittable)을 메모리 복사를 이용해 바이트 배열로 직렬화/역직렬화파일 다운로드1
13472정성태12/4/202315586C/C++: 164. Visual C++ - InterlockedCompareExchange128 사용 방법
13471정성태12/4/202316123Copilot - To enable GitHub Copilot, authorize this extension using GitHub's device flow
13470정성태12/2/202318157닷넷: 2178. C# - .NET 8부터 COM Interop에 대한 자동 소스 코드 생성 도입 [1]파일 다운로드1
13469정성태12/1/202318445닷넷: 2177. C# - (Interop DLL 없이) CoClass를 이용한 COM 개체 생성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68정성태12/1/202316864닷넷: 2176. C# - .NET Core/5+부터 달라진 RCW(Runtime Callable Wrapper) 대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3467정성태11/30/202318209오류 유형: 882. C# - Unhandled exception.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0x800080A5)파일 다운로드1
13466정성태11/29/202316161닷넷: 2175. C# - DllImport 메서드의 AOT 지원을 위한 LibraryImport 옵션
13465정성태11/28/202316118개발 환경 구성: 689. MSBuild - CopyToOutputDirectory가 "dotnet publish" 시에는 적용되지 않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464정성태11/28/202316175닷넷: 2174. C# - .NET 7부터 UnmanagedCallersOnly 함수 export 기능을 AOT 빌드에 통합파일 다운로드1
13463정성태11/27/202314715오류 유형: 881. Visual Studio - NU1605: Warning As Error: Detected package downgrade
13462정성태11/27/202315906오류 유형: 880. Visual Studio - error CS0246: The type or namespace name '...' could not be found
13461정성태11/26/202316010닷넷: 2173. .NET Core 3/5+ 기반의 COM Server를 registry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60정성태11/26/202315754닷넷: 2172. .NET 6+ 기반의 COM Server 내에 Type Library를 내장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59정성태11/26/202317387닷넷: 2171. .NET Core 3/5+ 기반의 COM Server를 기존의 regasm처럼 등록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