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524. Visual Studio CMake -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25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CMake -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Visual Studio로 CMake를 이용한 Linux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25

어느 순간부터는 CMakeList.txt의 변경에 대해 동기화(C++ IntelliSense information will refresh after gathering information from CMake.)가 실패하면서 로그 창에는 일부 파일 복사에 대해 rsync의 "Permission denied" 에러가 나옵니다. 지난번 경험으로,

Visual Studio - Could not start the 'rsync' command on the remote host, please install it using your system package manager.
; https://www.sysnet.pe.kr/2/0/11827

이번엔 rsync가 2개 떠 있길래 pskill을 두 번 했는데요.

$pskill rsync
$pskill rsync

도리어 이번에는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오류가 발생하면서 문제 해결이 안 됩니다.

1> Copying files to the remote machine.
1> Starting copying files to remote machine.
1> [rsync] rsync -t --delete --delete-excluded -v -r --exclude=.vs --exclude=.git --exclude=x64 --exclude=Debug  "/E/git_clone/clr-samples/ProfilingAPI/ReJITEnterLeaveHooks/" rsync://kevin@localhost:58975/temp
1> [rsync]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0 bytes received so far) [sender]
1> [rsync] rsync error: error in rsync protocol data stream (code 12) at /C/Users/t-elmor/rsync-3.0.8-1-msys-1.0.17-src.tar/rsync-3.0.8-1-msys-1.0.17-src/rsync-3.0.8/io.c(601) [sender=3.0.8]
1> Error while copying. Please see https://aka.ms/AA23jat for troubleshooting.

혹시나 저처럼 이런 경우를 겪으신다면, 그냥 빠르게 리눅스를 재부팅하시면 됩니다. (다음에 다시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또 다른 시도를 해봐야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5/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30정성태9/6/202121711오류 유형: 761. Internet Explorer에서 파일 다운로드 시 "Your current security settings do not allow this file to be downloaded." 오류
12829정성태9/5/202122311.NET Framework: 1115. C# 10 - (14) 구조체 타입에 기본 생성자 정의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828정성태9/4/202118396.NET Framework: 1114. C# 10 - (13) 단일 파일 내에 적용되는 namespace 선언파일 다운로드1
12827정성태9/4/202120087스크립트: 27. 파이썬 - 웹 페이지 데이터 수집을 위한 scrapy Crawler 사용법 요약
12826정성태9/3/202124690.NET Framework: 1113. C# 10 - (12) 문자열 보간 성능 개선 [1]파일 다운로드1
12825정성태9/3/202118624개발 환경 구성: 603. GoLand - WSL 환경과 연동
12824정성태9/2/202128279오류 유형: 760. 파이썬 tensorflow - Dst tensor is not initialized. 오류 메시지
12823정성태9/2/202118377스크립트: 26. 파이썬 - PyCharm을 이용한 fork 디버그 방법
12822정성태9/1/202123504오류 유형: 759. 파이썬 tensorflow - ValueError: Shapes (...) and (...) are incompatible [2]
12821정성태9/1/202117423.NET Framework: 1112. C# - .NET 6부터 공개된 ISpanFormattable 사용법
12820정성태9/1/202120290VC++: 147. Golang - try/catch에 대응하는 panic/recover [1]파일 다운로드1
12819정성태8/31/202120415.NET Framework: 1111. C# - FormattableString 타입
12818정성태8/31/202116345Windows: 198. 윈도우 - 작업 관리자에서 (tensorflow 등으로 인한) GPU 연산 부하 보는 방법
12817정성태8/31/202120341스크립트: 25. 파이썬 - 윈도우 환경에서 directml을 이용한 tensorflow의 AMD GPU 사용 방법
12816정성태8/30/202128231스크립트: 24. 파이썬 - tensorflow 2.6 NVidia GPU 사용 방법 [2]
12815정성태8/30/202119164개발 환경 구성: 602. WSL 2 - docker-desktop-data, docker-desktop (%LOCALAPPDATA%\Docker\wsl\data\ext4.vhdx) 파일을 다른 디렉터리로 옮기는 방법
12814정성태8/30/202125109.NET Framework: 1110.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 (DIM for Static Members) [2]파일 다운로드1
12813정성태8/29/202121308.NET Framework: 1109. C# 10 - (11) Lambda 개선파일 다운로드1
12812정성태8/28/202120392.NET Framework: 1108. C# 10 - (10) 개선된 #line 지시자
12811정성태8/27/202120490Linux: 44. 윈도우 개발자를 위한 리눅스 fork 동작 방식 설명 (파이썬 코드)
12810정성태8/27/202120050.NET Framework: 1107. .NET Core/5+에서 동적 컴파일한 C# 코드를 (Breakpoint도 활용하며) 디버깅하는 방법 - #line 지시자파일 다운로드1
12809정성태8/26/202118447.NET Framework: 1106. .NET Core/5+에서 C# 코드를 동적으로 컴파일/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808정성태8/25/202121869오류 유형: 758. go: ...: missing go.sum entry; to add it: go mod download ...
12807정성태8/25/202122807.NET Framework: 1105. C# 10 - (9) 비동기 메서드가 사용할 AsyncMethodBuilder 선택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806정성태8/24/202118325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12805정성태8/24/202119437.NET Framework: 11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