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524. Visual Studio CMake -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27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CMake -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Visual Studio로 CMake를 이용한 Linux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25

어느 순간부터는 CMakeList.txt의 변경에 대해 동기화(C++ IntelliSense information will refresh after gathering information from CMake.)가 실패하면서 로그 창에는 일부 파일 복사에 대해 rsync의 "Permission denied" 에러가 나옵니다. 지난번 경험으로,

Visual Studio - Could not start the 'rsync' command on the remote host, please install it using your system package manager.
; https://www.sysnet.pe.kr/2/0/11827

이번엔 rsync가 2개 떠 있길래 pskill을 두 번 했는데요.

$pskill rsync
$pskill rsync

도리어 이번에는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오류가 발생하면서 문제 해결이 안 됩니다.

1> Copying files to the remote machine.
1> Starting copying files to remote machine.
1> [rsync] rsync -t --delete --delete-excluded -v -r --exclude=.vs --exclude=.git --exclude=x64 --exclude=Debug  "/E/git_clone/clr-samples/ProfilingAPI/ReJITEnterLeaveHooks/" rsync://kevin@localhost:58975/temp
1> [rsync]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0 bytes received so far) [sender]
1> [rsync] rsync error: error in rsync protocol data stream (code 12) at /C/Users/t-elmor/rsync-3.0.8-1-msys-1.0.17-src.tar/rsync-3.0.8-1-msys-1.0.17-src/rsync-3.0.8/io.c(601) [sender=3.0.8]
1> Error while copying. Please see https://aka.ms/AA23jat for troubleshooting.

혹시나 저처럼 이런 경우를 겪으신다면, 그냥 빠르게 리눅스를 재부팅하시면 됩니다. (다음에 다시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또 다른 시도를 해봐야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5/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76정성태12/12/201923132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24478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23563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3516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20002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4931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6250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23788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32310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23732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23313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20421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4617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23842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22054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22187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25649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25013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25147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19812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27436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055정성태11/17/201920944개발 환경 구성: 463. Visual Studio의 Ctrl + Alt + M, 1 (Memory 1) 등의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054정성태11/15/201922827.NET Framework: 869. C# - 일부러 GC Heap을 깨뜨려 GC 수행 시 비정상 종료시키는 예제
12053정성태11/15/201922333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21188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12051정성태11/14/201926958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