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1358

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90

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91

개발 환경 구성: 428.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25

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33

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44

개발 환경 구성: 727. Visual C++ - 리눅스 프로젝트를 위한 빌드 서버의 msbuild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3737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

지난 글에서는 단일 실행 프로젝트를 CMake로 구성했는데요,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25

이번에는, 공유 프로젝트(so) 하나와 그것에서 export한 함수를 사용하는 실행 프로젝트를 CMake로 구성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파일 및 폴더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
├── CMakeLists.txt
├── CMakeSettings.json
├── hello (실행 프로젝트)
│   ├── CMakeLists.txt
│   └── hello.cpp
└── libsay (공유 프로젝트)
    ├── CMakeLists.txt
    ├── lib.cpp
    └── lib.h

루트의 CMakeLists.txt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set (BINDIR "~/bin")

SET (CMAKE_INSTALL_RPATH "$ORIGIN/")
SET (CMAKE_BUILD_WITH_INSTALL_RPATH TRUE)

add_subdirectory(hello)
add_subdirectory(libsay)

그리고 hello 프로젝트의 CMakeLists.txt와 hello.cpp는 이렇고,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project (hello)

add_executable(hello hello.cpp)

install(TARGETS ${PROJECT_NAME} DESTINATION ${BINDIR})

TARGET_LINK_LIBRARIES(hello say)

#include <stdio.h>
#include <iostream>
#include "../libsay/lib.h"

#ifdef WINDOWS
#include <direct.h>
#define GetCurrentDir _getcwd
#else
#include <unistd.h>
#define GetCurrentDir getcwd
#endif

#include <unistd.h>

int main(int argc, char* argv[])
{
    char buff[FILENAME_MAX];
    GetCurrentDir(buff, FILENAME_MAX);
    printf("Current working dir: %s\n", buff);

    test();
}

libsay 프로젝트의 CMakeLists.txt, lib.cpp, lib.h 파일은 각각 이렇게 구성합니다.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project (say)

add_library(say SHARED lib.cpp)

install(TARGETS ${PROJECT_NAME} DESTINATION ${BINDIR})

#include "lib.h"

void test()
{
    char buff[FILENAME_MAX];
    getcwd(buff, FILENAME_MAX);
    printf("Current working dir2: %s\n", buff);
}

#include <stdio.h>
#include <iostream>
#include <unistd.h>

extern "C"
{
    void test();
}

이렇게 하고 빌드하면 리눅스 머신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동일한 구조의 소스 디렉터리가 구성됩니다.

/var/tmp/src/24f6af91-c520-e638-9e29-cfc40e62d969/
└── Linux-Debug
    ├── CMakeLists.txt
    ├── CMakeSettings.json
    ├── hello
    │   ├── CMakeLists.txt
    │   └── hello.cpp
    └── libsay
        ├── CMakeLists.txt
        ├── lib.cpp
        └── lib.h

마찬가지로 빌드 산출물도 /var/tmp/build/24f6af91-c520-e638-9e29-cfc40e62d969/build/Linux-Debug 디렉터리 하위에 생성되지만 출력은 CMakeLists.txt의 install 명령으로 지정한 ~/bin 폴더에 모아집니다. 그래서 ~/bin/hello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bin/libsay.so를 로드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비주얼 스튜디오 IDE 내에서의 디버그도 되고. ^^




참고로, so 파일이 함수를 정상적으로 export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을 텐데요. 윈도우의 경우 depends.exe를 사용하면 되지만 리눅스의 경우에는 nm 도구를 이용하면 됩니다. 다음은 libsay.so에 대해 수행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 nm ~/bin/libsay.so
0000000000200df8 d _DYNAMIC
0000000000201000 d _GLOBAL_OFFSET_TABLE_
00000000000008c3 t _GLOBAL__sub_I_lib.cpp
                 w _ITM_deregisterTMCloneTable
                 w _ITM_registerTMCloneTable
000000000000087a t _Z41__static_initialization_and_destruction_0ii
                 U _ZNSt8ios_base4InitC1Ev@@GLIBCXX_3.4
                 U _ZNSt8ios_base4InitD1Ev@@GLIBCXX_3.4
00000000000008e1 r _ZStL19piecewise_construct
0000000000201049 b _ZStL8__ioinit
00000000000009e8 r __FRAME_END__
00000000000008fc r __GNU_EH_FRAME_HDR
0000000000201048 d __TMC_END__
0000000000201048 B __bss_start
                 U __cxa_atexit@@GLIBC_2.2.5
                 w __cxa_finalize@@GLIBC_2.2.5
00000000000007d0 t __do_global_dtors_aux
0000000000200df0 t __do_global_dtors_aux_fini_array_entry
0000000000201040 d __dso_handle
0000000000200de0 t __frame_dummy_init_array_entry
                 w __gmon_start__
                 U __stack_chk_fail@@GLIBC_2.4
0000000000201048 D _edata
0000000000201050 B _end
00000000000008d8 T _fini
00000000000006b0 T _init
0000000000201048 b completed.7696
0000000000000740 t deregister_tm_clones
0000000000000810 t frame_dummy
                 U getcwd@@GLIBC_2.2.5
                 U printf@@GLIBC_2.2.5
0000000000000780 t register_tm_clones
000000000000081a T test

보는 바와 같이 마지막 줄에 test 함수가 export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CMake를 사용하는 경우 비주얼 스튜디오는 기본적으로 CMakefile.txt가 있는 모든 하위 폴더를 리눅스 측에 복사합니다. 만약 특정 폴더를 복사에서 제외하고 싶다면 CMakeSettings.json 파일의 remoteCopySourcesExclusionList 속성을 건드리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vs"와 ".git" 폴더를 복사하지 않으며 아래에서는 추가로 x64 폴더도 복사하지 않게 설정한 것입니다.

{
  "configurations": [
    {
      "name": "Linux-Debug",
      "generator": "Unix Makefiles",
      "configurationType": "Debug",
      "buildRoot": "${env.USERPROFILE}\\CMakeBuilds\\${workspaceHash}\\build\\${name}",
      "installRoot": "${env.USERPROFILE}\\CMakeBuilds\\${workspaceHash}\\install\\${name}",
      "cmakeExecutable": "/usr/local/bin/cmake",
      "remoteCopySourcesExclusionList": [ ".vs", ".git", "x64" ],
      "cmakeCommandArgs": "",
      "buildCommandArgs": "",
      "ctestCommandArgs": "",
      "inheritEnvironments": [ "linux_x64" ],
      "remoteMachineName": "409410665;192.168.100.125 (username=testusr, port=22, authentication=Password)",
      "remoteCMakeListsRoot": "/var/tmp/src/${workspaceHash}/${name}",
      "remoteBuildRoot": "/var/tmp/build/${workspaceHash}/build/${name}",
      "remoteInstallRoot": "/var/tmp/build/${workspaceHash}/install/${name}",
      "remoteCopySources": true,
      "rsyncCommandArgs": "-t --delete --delete-excluded",
      "remoteCopyBuildOutput": false,
      "remoteCopySourcesMethod": "rsync",
      "variables": []
    }
  ]
}

그 외에 CMake에 대한 간단한 튜토리얼을 다음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Make 튜토리얼] 1. CMake 소개와 예제, 내부 동작 원리
; https://www.tuwlab.com/ece/27234

[CMake 튜토리얼] 2. CMakeLists.txt 주요 명령과 변수 정리
; https://www.tuwlab.com/ece/27260

CMake를 이용한 패키지 빌드
; https://z-wony.tistory.com/2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4/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2정성태6/25/201229326개발 환경 구성: 151. Azure 웹 사이트에 사용자 도메인 네임 연결하는 방법
1301정성태6/20/201225749오류 유형: 156. KB2667402 윈도우 업데이트 실패 및 마이크로소프트 Answers 웹 사이트 대응
1300정성태6/20/201231712.NET Framework: 329.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1]파일 다운로드2
1299정성태6/18/201232834제니퍼 .NET: 21. 제니퍼 닷넷 - Ninject DI 프레임워크의 성능 분석 [2]파일 다운로드2
1298정성태6/14/201234373VS.NET IDE: 72. Visual Studio에서 pfx 파일로 서명한 경우, 암호는 어디에 저장될까? [2]
1297정성태6/12/201230998VC++: 63.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96정성태6/5/201227666.NET Framework: 328.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4]파일 다운로드1
1295정성태6/5/201225059.NET Framework: 327.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4정성태5/27/201248498.NET Framework: 326. 유니코드와 한글 - 유니코드와 닷넷을 이용한 한글 처리 [7]파일 다운로드2
1293정성태5/24/201229759.NET Framework: 325. System.Drawing.Bitmap 데이터를 Parallel.For로 처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92정성태5/24/201223729.NET Framework: 324. First-chance exception에 대해 조건에 따라 디버거가 멈추게 할 수는 없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91정성태5/23/201230243VC++: 62. 배열 초기화를 위한 기계어 코드 확인 [2]
1290정성태5/18/201235068.NET Framework: 323.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COM+에 대행 [7]파일 다운로드1
1289정성태5/17/201239214.NET Framework: 322. regsvcs.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5]파일 다운로드2
1288정성태5/17/201226437.NET Framework: 321.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3) - Type Library파일 다운로드1
1287정성태5/17/201229252.NET Framework: 320.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2) - .NET 4.0 + .NET 2.0 [2]
1286정성태5/17/201238169.NET Framework: 319.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1) - .NET 2.0 + x86/x64/AnyCPU [5]
1285정성태5/16/201233254.NET Framework: 318. gacutil.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파일 다운로드1
1284정성태5/15/201225675오류 유형: 155. Windows Phone 연결 상태에서 DRIVER POWER STATE FAILURE 블루 스크린 뜨는 현상
1283정성태5/12/201233289.NET Framework: 317. C# 관점에서의 Observer 패턴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282정성태5/12/201226086Phone: 6. Windows Phone 7 Silverlight에서 Google Map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281정성태5/9/201233163.NET Framework: 316. WPF/Silverlight의 그래픽 단위와 Anti-aliasing 처리를 이해하자 [1]파일 다운로드1
1280정성태5/9/201226143오류 유형: 154. Could not load type 'System.ServiceModel.Activation.HttpModule' from assembly 'System.ServiceModel, ...'.
1279정성태5/9/201224902.NET Framework: 315.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78정성태5/8/201226123오류 유형: 153. Visual Studio 디버깅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1277정성태5/8/201231280오류 유형: 152. cmd.exe - The system cannot write to the specified device. [2]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