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1358

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90

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91

개발 환경 구성: 428.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25

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33

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44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

지난 글에서는 단일 실행 프로젝트를 CMake로 구성했는데요,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25

이번에는, 공유 프로젝트(so) 하나와 그것에서 export한 함수를 사용하는 실행 프로젝트를 CMake로 구성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파일 및 폴더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
├── CMakeLists.txt
├── CMakeSettings.json
├── hello (실행 프로젝트)
│   ├── CMakeLists.txt
│   └── hello.cpp
└── libsay (공유 프로젝트)
    ├── CMakeLists.txt
    ├── lib.cpp
    └── lib.h

루트의 CMakeLists.txt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set (BINDIR "~/bin")

SET (CMAKE_INSTALL_RPATH "$ORIGIN/")
SET (CMAKE_BUILD_WITH_INSTALL_RPATH TRUE)

add_subdirectory(hello)
add_subdirectory(libsay)

그리고 hello 프로젝트의 CMakeLists.txt와 hello.cpp는 이렇고,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project (hello)

add_executable(hello hello.cpp)

install(TARGETS ${PROJECT_NAME} DESTINATION ${BINDIR})

TARGET_LINK_LIBRARIES(hello say)

#include <stdio.h>
#include <iostream>
#include "../libsay/lib.h"

#ifdef WINDOWS
#include <direct.h>
#define GetCurrentDir _getcwd
#else
#include <unistd.h>
#define GetCurrentDir getcwd
#endif

#include <unistd.h>

int main(int argc, char* argv[])
{
    char buff[FILENAME_MAX];
    GetCurrentDir(buff, FILENAME_MAX);
    printf("Current working dir: %s\n", buff);

    test();
}

libsay 프로젝트의 CMakeLists.txt, lib.cpp, lib.h 파일은 각각 이렇게 구성합니다.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project (say)

add_library(say SHARED lib.cpp)

install(TARGETS ${PROJECT_NAME} DESTINATION ${BINDIR})

#include "lib.h"

void test()
{
    char buff[FILENAME_MAX];
    getcwd(buff, FILENAME_MAX);
    printf("Current working dir2: %s\n", buff);
}

#include <stdio.h>
#include <iostream>
#include <unistd.h>

extern "C"
{
    void test();
}

이렇게 하고 빌드하면 리눅스 머신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동일한 구조의 소스 디렉터리가 구성됩니다.

/var/tmp/src/24f6af91-c520-e638-9e29-cfc40e62d969/
└── Linux-Debug
    ├── CMakeLists.txt
    ├── CMakeSettings.json
    ├── hello
    │   ├── CMakeLists.txt
    │   └── hello.cpp
    └── libsay
        ├── CMakeLists.txt
        ├── lib.cpp
        └── lib.h

마찬가지로 빌드 산출물도 /var/tmp/build/24f6af91-c520-e638-9e29-cfc40e62d969/build/Linux-Debug 디렉터리 하위에 생성되지만 출력은 CMakeLists.txt의 install 명령으로 지정한 ~/bin 폴더에 모아집니다. 그래서 ~/bin/hello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bin/libsay.so를 로드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비주얼 스튜디오 IDE 내에서의 디버그도 되고. ^^




참고로, so 파일이 함수를 정상적으로 export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을 텐데요. 윈도우의 경우 depends.exe를 사용하면 되지만 리눅스의 경우에는 nm 도구를 이용하면 됩니다. 다음은 libsay.so에 대해 수행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 nm ~/bin/libsay.so
0000000000200df8 d _DYNAMIC
0000000000201000 d _GLOBAL_OFFSET_TABLE_
00000000000008c3 t _GLOBAL__sub_I_lib.cpp
                 w _ITM_deregisterTMCloneTable
                 w _ITM_registerTMCloneTable
000000000000087a t _Z41__static_initialization_and_destruction_0ii
                 U _ZNSt8ios_base4InitC1Ev@@GLIBCXX_3.4
                 U _ZNSt8ios_base4InitD1Ev@@GLIBCXX_3.4
00000000000008e1 r _ZStL19piecewise_construct
0000000000201049 b _ZStL8__ioinit
00000000000009e8 r __FRAME_END__
00000000000008fc r __GNU_EH_FRAME_HDR
0000000000201048 d __TMC_END__
0000000000201048 B __bss_start
                 U __cxa_atexit@@GLIBC_2.2.5
                 w __cxa_finalize@@GLIBC_2.2.5
00000000000007d0 t __do_global_dtors_aux
0000000000200df0 t __do_global_dtors_aux_fini_array_entry
0000000000201040 d __dso_handle
0000000000200de0 t __frame_dummy_init_array_entry
                 w __gmon_start__
                 U __stack_chk_fail@@GLIBC_2.4
0000000000201048 D _edata
0000000000201050 B _end
00000000000008d8 T _fini
00000000000006b0 T _init
0000000000201048 b completed.7696
0000000000000740 t deregister_tm_clones
0000000000000810 t frame_dummy
                 U getcwd@@GLIBC_2.2.5
                 U printf@@GLIBC_2.2.5
0000000000000780 t register_tm_clones
000000000000081a T test

보는 바와 같이 마지막 줄에 test 함수가 export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CMake를 사용하는 경우 비주얼 스튜디오는 기본적으로 CMakefile.txt가 있는 모든 하위 폴더를 리눅스 측에 복사합니다. 만약 특정 폴더를 복사에서 제외하고 싶다면 CMakeSettings.json 파일의 remoteCopySourcesExclusionList 속성을 건드리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vs"와 ".git" 폴더를 복사하지 않으며 아래에서는 추가로 x64 폴더도 복사하지 않게 설정한 것입니다.

{
  "configurations": [
    {
      "name": "Linux-Debug",
      "generator": "Unix Makefiles",
      "configurationType": "Debug",
      "buildRoot": "${env.USERPROFILE}\\CMakeBuilds\\${workspaceHash}\\build\\${name}",
      "installRoot": "${env.USERPROFILE}\\CMakeBuilds\\${workspaceHash}\\install\\${name}",
      "cmakeExecutable": "/usr/local/bin/cmake",
      "remoteCopySourcesExclusionList": [ ".vs", ".git", "x64" ],
      "cmakeCommandArgs": "",
      "buildCommandArgs": "",
      "ctestCommandArgs": "",
      "inheritEnvironments": [ "linux_x64" ],
      "remoteMachineName": "409410665;192.168.100.125 (username=testusr, port=22, authentication=Password)",
      "remoteCMakeListsRoot": "/var/tmp/src/${workspaceHash}/${name}",
      "remoteBuildRoot": "/var/tmp/build/${workspaceHash}/build/${name}",
      "remoteInstallRoot": "/var/tmp/build/${workspaceHash}/install/${name}",
      "remoteCopySources": true,
      "rsyncCommandArgs": "-t --delete --delete-excluded",
      "remoteCopyBuildOutput": false,
      "remoteCopySourcesMethod": "rsync",
      "variables": []
    }
  ]
}

그 외에 CMake에 대한 간단한 튜토리얼을 다음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Make 튜토리얼] 1. CMake 소개와 예제, 내부 동작 원리
; https://www.tuwlab.com/ece/27234

[CMake 튜토리얼] 2. CMakeLists.txt 주요 명령과 변수 정리
; https://www.tuwlab.com/ece/27260

CMake를 이용한 패키지 빌드
; https://z-wony.tistory.com/2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4/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42정성태6/23/20209510오류 유형: 623. AADSTS90072 - User account '...' from identity provider 'live.com' does not exist in tenant 'Microsoft Services'
12241정성태6/23/202012805.NET Framework: 914. C# - Task.Yield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240정성태6/23/202014067오류 유형: 622. 소켓 바인딩 시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오류 발생
12239정성태6/21/202010581Linux: 30. (윈도우라면 DLL에 속하는) .so 파일이 텍스트로 구성된 사례 [1]
12238정성태6/21/202010480.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12237정성태6/20/202010241.NET Framework: 912. 리눅스 환경의 .NET Core에서 "test".IndexOf("\0")가 0을 반환
12236정성태6/19/202010573오류 유형: 621. .NET Standard 대상으로 빌드 시 dynamic 예약어에서 컴파일 오류 - error CS0656: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Microsoft.CSharp.RuntimeBinder.CSharpArgumentInfo.Create'
12235정성태6/19/202010225오류 유형: 620.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12234정성태6/19/20209890개발 환경 구성: 494. NuGet - nuspec의 패키지 스키마 버전(네임스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12233정성태6/19/20209650오류 유형: 619.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 두 번째 이야기
12232정성태6/19/20208557오류 유형: 618. SharePoint - StoreBusyRetryLater 오류
12231정성태6/15/202011071.NET Framework: 911. Console/Service Application을 위한 SynchronizationContext - AsyncContext
12230정성태6/15/202010414오류 유형: 617. IMetaDataImport::GetMethodProps가 반환하는 IL 코드 주소(RVA) 문제
12229정성태6/13/202012265.NET Framework: 910.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 Mouse 가상 장치 만들기 [1]
12228정성태6/12/202012363.NET Framework: 909.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파일 다운로드1
12227정성태6/12/202016341오류 유형: 616. Visual Studio의 느린 업데이트 속도에 대한 원인 분석 [5]
12226정성태6/11/202013604개발 환경 구성: 493. OpenVPN의 네트워크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225정성태6/11/202012610개발 환경 구성: 492.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클라이언트 측 구성
12224정성태6/11/202020561개발 환경 구성: 491.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서버 측 구성 [1]
12223정성태6/9/202014500.NET Framework: 908. C# - Source Generator 소개 [10]파일 다운로드2
12222정성태6/3/202010309VS.NET IDE: 146.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12221정성태6/3/202010058Windows: 170.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로 symbolic link(junction) 연결하는 방법
12220정성태6/3/202012551.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12219정성태6/1/202011632.NET Framework: 906. C# - lock (this), lock (typeof(...))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2218정성태5/27/202011567.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3]
12217정성태5/24/202010009오류 유형: 615. Transaction count after EXECUTE indicates a mismatching number of BEGIN and COMMIT statements. Previous count = 0, current count =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