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1358

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90

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91

개발 환경 구성: 428.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25

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33

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44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

지난 글에서는 단일 실행 프로젝트를 CMake로 구성했는데요,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리눅스 빌드 환경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825

이번에는, 공유 프로젝트(so) 하나와 그것에서 export한 함수를 사용하는 실행 프로젝트를 CMake로 구성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파일 및 폴더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
├── CMakeLists.txt
├── CMakeSettings.json
├── hello (실행 프로젝트)
│   ├── CMakeLists.txt
│   └── hello.cpp
└── libsay (공유 프로젝트)
    ├── CMakeLists.txt
    ├── lib.cpp
    └── lib.h

루트의 CMakeLists.txt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set (BINDIR "~/bin")

SET (CMAKE_INSTALL_RPATH "$ORIGIN/")
SET (CMAKE_BUILD_WITH_INSTALL_RPATH TRUE)

add_subdirectory(hello)
add_subdirectory(libsay)

그리고 hello 프로젝트의 CMakeLists.txt와 hello.cpp는 이렇고,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project (hello)

add_executable(hello hello.cpp)

install(TARGETS ${PROJECT_NAME} DESTINATION ${BINDIR})

TARGET_LINK_LIBRARIES(hello say)

#include <stdio.h>
#include <iostream>
#include "../libsay/lib.h"

#ifdef WINDOWS
#include <direct.h>
#define GetCurrentDir _getcwd
#else
#include <unistd.h>
#define GetCurrentDir getcwd
#endif

#include <unistd.h>

int main(int argc, char* argv[])
{
    char buff[FILENAME_MAX];
    GetCurrentDir(buff, FILENAME_MAX);
    printf("Current working dir: %s\n", buff);

    test();
}

libsay 프로젝트의 CMakeLists.txt, lib.cpp, lib.h 파일은 각각 이렇게 구성합니다.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project (say)

add_library(say SHARED lib.cpp)

install(TARGETS ${PROJECT_NAME} DESTINATION ${BINDIR})

#include "lib.h"

void test()
{
    char buff[FILENAME_MAX];
    getcwd(buff, FILENAME_MAX);
    printf("Current working dir2: %s\n", buff);
}

#include <stdio.h>
#include <iostream>
#include <unistd.h>

extern "C"
{
    void test();
}

이렇게 하고 빌드하면 리눅스 머신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동일한 구조의 소스 디렉터리가 구성됩니다.

/var/tmp/src/24f6af91-c520-e638-9e29-cfc40e62d969/
└── Linux-Debug
    ├── CMakeLists.txt
    ├── CMakeSettings.json
    ├── hello
    │   ├── CMakeLists.txt
    │   └── hello.cpp
    └── libsay
        ├── CMakeLists.txt
        ├── lib.cpp
        └── lib.h

마찬가지로 빌드 산출물도 /var/tmp/build/24f6af91-c520-e638-9e29-cfc40e62d969/build/Linux-Debug 디렉터리 하위에 생성되지만 출력은 CMakeLists.txt의 install 명령으로 지정한 ~/bin 폴더에 모아집니다. 그래서 ~/bin/hello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bin/libsay.so를 로드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비주얼 스튜디오 IDE 내에서의 디버그도 되고. ^^




참고로, so 파일이 함수를 정상적으로 export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을 텐데요. 윈도우의 경우 depends.exe를 사용하면 되지만 리눅스의 경우에는 nm 도구를 이용하면 됩니다. 다음은 libsay.so에 대해 수행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 nm ~/bin/libsay.so
0000000000200df8 d _DYNAMIC
0000000000201000 d _GLOBAL_OFFSET_TABLE_
00000000000008c3 t _GLOBAL__sub_I_lib.cpp
                 w _ITM_deregisterTMCloneTable
                 w _ITM_registerTMCloneTable
000000000000087a t _Z41__static_initialization_and_destruction_0ii
                 U _ZNSt8ios_base4InitC1Ev@@GLIBCXX_3.4
                 U _ZNSt8ios_base4InitD1Ev@@GLIBCXX_3.4
00000000000008e1 r _ZStL19piecewise_construct
0000000000201049 b _ZStL8__ioinit
00000000000009e8 r __FRAME_END__
00000000000008fc r __GNU_EH_FRAME_HDR
0000000000201048 d __TMC_END__
0000000000201048 B __bss_start
                 U __cxa_atexit@@GLIBC_2.2.5
                 w __cxa_finalize@@GLIBC_2.2.5
00000000000007d0 t __do_global_dtors_aux
0000000000200df0 t __do_global_dtors_aux_fini_array_entry
0000000000201040 d __dso_handle
0000000000200de0 t __frame_dummy_init_array_entry
                 w __gmon_start__
                 U __stack_chk_fail@@GLIBC_2.4
0000000000201048 D _edata
0000000000201050 B _end
00000000000008d8 T _fini
00000000000006b0 T _init
0000000000201048 b completed.7696
0000000000000740 t deregister_tm_clones
0000000000000810 t frame_dummy
                 U getcwd@@GLIBC_2.2.5
                 U printf@@GLIBC_2.2.5
0000000000000780 t register_tm_clones
000000000000081a T test

보는 바와 같이 마지막 줄에 test 함수가 export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CMake를 사용하는 경우 비주얼 스튜디오는 기본적으로 CMakefile.txt가 있는 모든 하위 폴더를 리눅스 측에 복사합니다. 만약 특정 폴더를 복사에서 제외하고 싶다면 CMakeSettings.json 파일의 remoteCopySourcesExclusionList 속성을 건드리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vs"와 ".git" 폴더를 복사하지 않으며 아래에서는 추가로 x64 폴더도 복사하지 않게 설정한 것입니다.

{
  "configurations": [
    {
      "name": "Linux-Debug",
      "generator": "Unix Makefiles",
      "configurationType": "Debug",
      "buildRoot": "${env.USERPROFILE}\\CMakeBuilds\\${workspaceHash}\\build\\${name}",
      "installRoot": "${env.USERPROFILE}\\CMakeBuilds\\${workspaceHash}\\install\\${name}",
      "cmakeExecutable": "/usr/local/bin/cmake",
      "remoteCopySourcesExclusionList": [ ".vs", ".git", "x64" ],
      "cmakeCommandArgs": "",
      "buildCommandArgs": "",
      "ctestCommandArgs": "",
      "inheritEnvironments": [ "linux_x64" ],
      "remoteMachineName": "409410665;192.168.100.125 (username=testusr, port=22, authentication=Password)",
      "remoteCMakeListsRoot": "/var/tmp/src/${workspaceHash}/${name}",
      "remoteBuildRoot": "/var/tmp/build/${workspaceHash}/build/${name}",
      "remoteInstallRoot": "/var/tmp/build/${workspaceHash}/install/${name}",
      "remoteCopySources": true,
      "rsyncCommandArgs": "-t --delete --delete-excluded",
      "remoteCopyBuildOutput": false,
      "remoteCopySourcesMethod": "rsync",
      "variables": []
    }
  ]
}

그 외에 CMake에 대한 간단한 튜토리얼을 다음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Make 튜토리얼] 1. CMake 소개와 예제, 내부 동작 원리
; https://www.tuwlab.com/ece/27234

[CMake 튜토리얼] 2. CMakeLists.txt 주요 명령과 변수 정리
; https://www.tuwlab.com/ece/27260

CMake를 이용한 패키지 빌드
; https://z-wony.tistory.com/2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4/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14정성태9/3/201911105개발 환경 구성: 456. 명령행에서 AWS, Azure 등의 원격 저장소에 파일 관리하는 방법 - cyberduck/duck 소개
12013정성태8/28/201913884개발 환경 구성: 455. 윈도우에서 (테스트) 인증서 파일 만드는 방법 [3]
12012정성태8/28/201917781.NET Framework: 859. C# - HttpListener를 이용한 HTTPS 통신 방법
12011정성태8/27/201915698사물인터넷: 57. C# - Rapsberry Pi Zero W와 PC 간 Bluetooth 통신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010정성태8/27/201911248VS.NET IDE: 138. VSIX - DTE.ItemOperations.NewFile 메서드에서 템플릿 이름을 다국어로 설정하는 방법
12009정성태8/26/201911850.NET Framework: 858. C#/Windows - Clipboard(Ctrl+C, Ctrl+V)가 동작하지 않는다면?파일 다운로드1
12008정성태8/26/201911575.NET Framework: 857. UWP 앱에서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 연결 방법
12007정성태8/24/201910758.NET Framework: 856. .NET Framework 버전을 올렸을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12006정성태8/23/201913986디버깅 기술: 129. guidgen - Encountered an improper argument. 오류 해결 방법 (및 windbg 분석) [1]
12005정성태8/13/201911967.NET Framework: 855. 닷넷 (및 VM 계열 언어) 코드의 성능 측정 시 주의할 점 [2]파일 다운로드1
12004정성태8/12/201919712.NET Framework: 854. C# - 32feet.NET을 이용한 PC 간 Bluetooth 통신 예제 코드 [14]
12003정성태8/12/201912471오류 유형: 564. Visual C++ 컴파일 오류 - fatal error C1090: PDB API call failed, error code '3'
12002정성태8/12/201911447.NET Framework: 853. Excel Sheet를 WinForm에서 사용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5]
12001정성태8/10/201915915.NET Framework: 852. WPF/WinForm에서 UWP의 기능을 이용해 Bluetooth 기기와 Pairing하는 방법 [1]
12000정성태8/9/201914799.NET Framework: 851. WinForm/WPF에서 Console 창을 띄워 출력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99정성태8/1/201910596오류 유형: 563. C# - .NET Core 2.0 이하의 Unix Domain Socket 사용 시 System.IndexOutOfRangeException 오류
11998정성태7/30/201911762오류 유형: 562. .NET Remoting에서 서비스 호출 시 SYN_SENT로 남는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997정성태7/30/201913295.NET Framework: 850. C# - Excel(을 비롯해 Office 제품군) COM 객체를 제어 후 Excel.exe 프로세스가 남아 있는 문제 [2]파일 다운로드1
11996정성태7/25/201915740.NET Framework: 849. C# - Socket의 TIME_WAIT 상태를 없애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95정성태7/23/201918826.NET Framework: 848. C# - smtp.daum.net 서비스(Implicit SSL)를 이용해 메일 보내는 방법 [2]
11994정성태7/22/201914316개발 환경 구성: 454. Azure 가상 머신(VM)에서 SMTP 메일 전송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93정성태7/22/20199776오류 유형: 561. Dism.exe 수행 시 "Error: 2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오류 발생
11992정성태7/22/201911535오류 유형: 560. 서비스 관리자 실행 시 "Windows was unable to open service control manager database on [...]. Error 5: Access is denied." 오류 발생
11991정성태7/18/20199091디버깅 기술: 128. windbg - x64 환경에서 닷넷 예외가 발생한 경우 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던 사례
11990정성태7/18/201911290오류 유형: 559. Settings / Update & Security 화면 진입 시 프로그램 종료
11989정성태7/18/201910201Windows: 162. Windows Server 2019 빌드 17763부터 Alt + F4 입력시 곧바로 로그아웃하는 현상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