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기존에 출판되었던,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24/goods/11257753?scode=032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24/goods/19427525?scode=032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24/goods/48156128?scode=032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의 7.3 개정판이 나왔습니다. 위키북스 -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s://wikibook.co.kr/csharp73/ Yes24 -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Product/Goods/73031673 이번에도 책의 두께 문제로 초판에서 발행했던 3부의 내용은 PDF 파일로 공개됩니다. 공개된 3부 - PDF 파일 ; https://www.sysnet.pe.kr/book/cs7x_free.pdf 책에서 혹시 이해가 안되거나 궁금하신 부분이 있는 경우 다음의 게시판을 활용해 질문을 주시면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오타나 문장이 이상한 부분이 있는 것도 게시판을 통해 알려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질문 답변 게시판 ; https://www.sysnet.pe.kr/3/0 책에 있는 예제는 아래의 경로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고, .NET Framework 용 소스코드 다운로드(단일 ZIP 파일) ; https://www.sysnet.pe.kr/book/cs7x_sample_code.zip * 소스코드를 비주얼 스튜디오 2019에서 열은 후, 테스트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시작 프로젝트로 설정" 메뉴로 지정하면 됩니다. ("시작 프로젝트로 설정" 메뉴에 대해서는 책의 295페이지에 있는 "Note" 내용에서 좀 더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처음 CSharp7x.sln 솔루션을 로드 후 빌드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프로젝트의 경우 NuGet 패키지 구성 시간이 걸려 그런 것이므로 1~2분 정도 후에 다시 빌드하면 됩니다. 6장에서 만드는 SQL 데이터베이스 파일 ; https://www.sysnet.pe.kr/book/cs7_book_db_file.zip 참고로, .NET Core 프로젝트로 변환된 예제 코드도 제공합니다. .NET Core 용 소스코드 다운로드(단일 ZIP 파일) ; https://www.sysnet.pe.kr/book/cs7x_netcore_code.zip * .NET Framework의 BCL을 사용하는 일부 예제 코드는 .NET Core 프로젝트로 마이그레이션되지 않았습니다. * .NET Core 2.1로 맞춰져 있으므로 빌드하기 위해서는 .NET 2.1 SDK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압축을 풀면 나오는 "CSharp7x.sln" / "CSharp7xCore.sln" 파일을 비주얼 스튜디오 2019에서 열면 다음과 같이 솔루션 탐색기(Solution Explorer)에서 장(Chapter) 별로 나누어져 있어 찾기 편하도록 구성했습니다. 소스 코드 프로젝트 중에서 11장까지는 책에서 "예제" 제목이 달린 소스 코드마다 완전히 실행 가능한 C#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예제" 제목이 달리지 않은 소스코드도 모두 "부가코드-[번호].txt"라는 파일에 담아 두었습니다. 각각의 txt 파일도 복사해서 붙여넣으면 컴파일이 되는 하나의 독립적인 예제입니다. 반면 12장 ~ 15장은 "예제" 제목이 달린 프로젝트가 해당 절에 포함된 소스 코드와 일치합니다. 이번에도 책에 포함된 모든 그림 파일을 다음의 경로에 공개해 두었습니다. 책에 포함된 그림 ; https://www.sysnet.pe.kr/book/cs73_img.zip 캡쳐된 그림 이외에 다이어그램을 그리기 위해 사용한 PPT 파일도 아래에 공개했습니다. (일부 다이어그램은 출판사 측에서 인쇄를 위해 재편집을 했기 때문에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다이어그램 원본 PPT 파일 ; https://www.sysnet.pe.kr/book/cs7x_diagram.pptx (혹시 이 파일에 실린 다이어그램을 좀 더 멋지게 그리셨다면 제 책에 실을 수 있도록 공유 부탁드립니다. ^^) 마지막으로, 공개된 PDF의 3부 내용에 대해서는 책의 서문에 쓴 내용을 공지합니다. 이 중에서 3부의 내용은 좀 더 부가 설명이 필요하다. 필자가 쓴 책은 C# 5.0을 대상으로 처음 쓰여졌으며 3부의 내용은 원래 그 책에 포함돼 있던 내용이다. 하지만 C# 6.0을 포함한 개정판이 나오면서 책의 분량이 늘어나는 것을 고려해 3부의 내용을 제외시켜 무료 PDF 문서로 공개했고 이번 C# 7.3 책에서도 포함하지 않았다. 종이책으로 꾸준히 출판한 1부, 2부와는 달리 3부의 내용은 C# 5.0 책이 쓰여졌던 시점 이후로 업데이트되지 않았기 때문에 3부의 내용 중 일부는 개발 환경의 변화로 달라졌을 수 있음을 미리 말씀드린다. 정리하면, 3부의 내용 중 모바일 부분은 거의 실습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도 다음의 사이트에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으니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OfficePresenter 소스코드 ; https://github.com/stjeong/OfficePresenter (다운로드 방법: 위 링크의 우측 하단에 "Download ZIP"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정오표] * 1부 정오표 * 위치 변경 전 변경 후 3.4 배열 (59 페이지) 아울러 대괄호 안에 지정되는 수를 첨자(index)라고 한다. 아울러 대괄호 안에 지정되는 수를 색인(index)이라고 한다. (우연히 읽게 된 글(교재(시작하세요 C# 6.0)에 대한 고찰 #1 - 첨자, index, subscript)을 보고 ^^ 반영했습니다.) 6.6.1 System.Threading.Thread (436 페이지 상단 예제 코드) Thread thread = Thread.CurrentThread; Console.WriteLine(thread.ThreadState); // 출력 결과: Running // Thread 타입을 사용하려면 아래의 namespace 선언을 추가 // using System.Threading Thread thread = Thread.CurrentThread; Console.WriteLine(thread.ThreadState); // 출력 결과: Running (의견을 주셔서 주석을 추가합니다.) 6.6.1 System.Threading.Thread (440 페이지 상단 예제 코드)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t = new Thread(threadFunc); t.Start(10);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인자가 있는 메서드의 경우 Thread 생성자는 // ParameterizedThreadStart 델리게이트 타입을 허용한다. Thread t = new Thread(threadFunc); // 따라서 C# 컴파일러는 위의 코드를 다음과 같이 번역해 컴파일한다. // new Thread(new ParameterizedThreadStart(threadFunc)); t.Start(10); } (https://www.sysnet.pe.kr/3/0/5177 글의 건의로 주석을 추가합니다.) * 2부 정오표 * 위치 변경 전 변경 후 2부 전체 좌측 하단 페이지 1부_C# 2부_C# 고급 문법 덧글에서 @Harold님이 오타 보고해 주신 것입니다. 7.1 제네릭 (586 페이지 하단 예제 코드) int n = 5; List list = new List(); list.Add(n); // List<T> 타입을 사용하려면 아래의 namespace 선언을 추가 //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int n = 5; List list = new List(); list.Add(n); (의견을 주셔서 주석을 추가합니다.) [다음 글] .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이전 글] 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최초 등록일: 3/6/2019] [최종 수정일: 1/5/2023]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6-07 08시06분 [와이] 예제파일 zip 내의 파일명이 잘못되어 있습니다. [guest] 2019-06-07 09시21분 제보 감사드립니다. 제가 아래의 글에 따라,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http://www.sysnet.pe.kr/2/0/11559"Beta: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을 체크해 두고 사용하는데 이것 때문에 zip 파일 내의 한글들이 깨지고 있습니다. 7-zip 프로그램 같은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한글을 풀어내는데 알집 등의 도구들은 깨지는군요. ^^;현재 다시 .zip 파일을 다른 PC에서 압축해 올려두었으니 이제는 한글 파일/폴더가 정상적으로 보일 것입니다. 정성태 2019-07-05 09시35분 [Harold] 그리 중요한 내용은 아닌데 책의 2부에서 왼쪽하단 페이지번호 옆에 표시된 내용이 오류 네요. 586페이지부터 1부_C#으로 되어 있네요. 2부_C#으로 되어야 정상인거 같은데. [guest] 2019-07-05 07시34분 @Harold님, 감사합니다. 너무 광범위한 실수라서 참... 다음 번 인쇄에서는 꼭 수정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정성태 2019-10-05 09시11분 안녕하세요.4.5.1.3 델리게이트 내용 중에 p.188 하단에 있는 코드에서 두 번째 줄이 잘못된 것 같습니다.=============================================================================== Mathematics math = new Mathematics(); // Mathematics 객체 생성WorkDelegate func = new WorkDelegate(math, math.Calculate); // 델리게이트 생성func.Invoke('+', 10, 5); // 델리게이트를 이용한 math.Calculate 메서드 호출===============================================================================델리게이트를 생성할 때는 인자로 메서드명을 적어줘야 하므로 (math, math.Calculate)가 아니라 (math.Calculate) 아닌가요?WorkDelegate func = new WorkDelegate(math.Calculate);orWorkDelegate func = math.Calculate; Taeoh Kim 2019-10-05 09시27분 그 코드는 원래 동작하지 않는 코드입니다. 바로 위에 보시면 "따라서 예제 4.20의 WorkDelegate를 delegate 예약어 없이 정의한다면..."이라고 설명하면서 그 아래에 "NOTE"로 "... 원리를 보여주는 차원에서 제시된 것일 뿐 실제로 컴파일은 되지 않는다."라고 써 두었습니다. 정성태 2019-10-05 06시17분 아하! 제가 글을 띄엄띄엄 읽었던 것 같네요. 죄송합니다.델리게이트 개념 익히기기가 좀 난해해서 "NOTE"를 기준으로 위의 코드와 아래의 코드가 동일한 연장선 상에 있는 것조차 알아차리지 못했네요.답변 감사합니다. Taeoh Kim 2019-10-05 11시29분 말씀해 주신 것을 토대로 다시 보니,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같습니다. "NOTE" 부분을 아래로 내려서 "위의 코드 2개는..."이라고 바꾸는 것이 더 좋아 보입니다. 다음 번 인쇄 때 이렇게 반영하겠습니다. ^^ 정성태 2019-10-12 03시30분 [김태오] 「6.6 스레딩」을 공부하다가 처음 만나는 예제(p.436 상단의 코드 두 줄)를 실행해보려고 Thread 를 작성하는데, 자동완성이 되지 않아 좀 당황했습니다.결국은 코드 상단에 using System.Threading 을 포함시켜서 해결하긴 했는데, 사전에 이에 대한 언급이 있다면 독자 입장에서 학습하기에 더 나을 것 같습니다.System.Threading 네임스페이스는 기본 프로젝트 생성 시 자동으로 포함되는 네임스페이스도 아니라서 C#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라면 당황할 수도 있겠더라구요.사실 저는 필요한 네임스페이스만 추가해가면서 공부해나가는 스타일인데,「7.1 제네릭」 공부할 때도 처음 만나는 예제(p.586 하단의 코드 세 줄)를 실행해보려고 했을 때도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언급이 있어서 잠깐 헤맸었거든요 ^^;오타도 아니면서 주제 넘게 말씀드리는 것 같아 마음이 좀 불편한 감이 있지만제가 도움을 많이 받고 있는 책이라 좀 더 좋은 책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드리는 말씀이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guest] 2019-10-12 08시49분 충분히 그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주석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책을 수정하겠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36정성태1/22/202215309.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112935정성태1/22/202215966.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112934정성태1/22/202215419오류 유형: 788. Warning C6262 Function uses '65564' bytes of stack: exceeds /analyze:stacksize '16384'. Consider moving some data to heap. [2]12933정성태1/21/202215884.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112932정성태1/20/202216993.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2]112931정성태1/20/202213538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12930정성태1/19/202214757개발 환경 구성: 631.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12929정성태1/19/202214697개발 환경 구성: 630. AKS/k8s의 Pod에 Volume 연결하는 방법12928정성태1/18/202214533개발 환경 구성: 629. AKS/Kubernetes에서 호스팅 중인 pod에 shell(/bin/bash)로 진입하는 방법12927정성태1/18/202215064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12926정성태1/17/202214993오류 유형: 787. AKS - pod 배포 시 ErrImagePull/ImagePullBackOff 오류12925정성태1/17/202215638개발 환경 구성: 627.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12924정성태1/15/202217120.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2]112923정성태1/15/202215907개발 환경 구성: 626.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을 MPEG1 포맷으로 변경하는 방법12922정성태1/14/202214719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12921정성태1/14/202212492개발 환경 구성: 624. Docker Desktop에서 별도 서버에 설치한 docker registry에 이미지 올리는 방법12920정성태1/14/202213790오류 유형: 786. Camtasia - An error occurred with the camera: Failed to Add Video Sampler.12919정성태1/13/202213345Windows: 199. Host Network Service (HNS)에 의해서 점유되는 포트12918정성태1/13/202213797Linux: 47. WSL - shell script에서 설정한 환경 변수가 스크립트 실행 후 반영되지 않는 문제12917정성태1/12/202213000오류 유형: 785. C# - The type or namespace name '...' could not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12916정성태1/12/202212280오류 유형: 784. TFS - One or more source control bindings for this solution are not valid and are listed below.12915정성태1/11/202212873오류 유형: 783. Visual Studio - We didn't find any interpreters12914정성태1/11/202216072VS.NET IDE: 172. 비주얼 스튜디오 2022의 파이선 개발 환경 지원12913정성태1/11/202216473.NET Framework: 1133. C# - byte * (바이트 포인터)를 FileStream으로 쓰는 방법 [1]12912정성태1/11/202216488개발 환경 구성: 623.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의 이미지를 PGM(Portable Gray Map) 파일 포맷으로 출력하는 방법 [1]12911정성태1/11/202212971VS.NET IDE: 171. 비주얼 스튜디오 - 더 이상 만들 수 없는 "ASP.NET Core 3.1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