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이런 버그는 재현하기도 힘들어서 connect에 올리는 것조차 별 소용이 없을 것 같은데요. 증상은 아래 화면에서 보는 것처럼, Visual Studio 2010에서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유령 윈도우로 남는 경우입니다. 모든 윈도우 닫기를 해도 안 되고, 타이틀 바가 없으니 윈도우를 닫을 방법이 없습니다. 어쩔 수 없이... ^^; 환경을 리셋해야 했는데, "Tools" / "Import and Export Settings" / "Reset all settings" 메뉴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행히, Macro나 Power Tools Productivity 같은 Plug-in들의 설정 사항은 초기화되지 않고, 그런 사항들을 제외한 "Tools" / "Options" 창에서 설정된 모든 것들이 초기화됩니다. [다음 글] .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이전 글] .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최초 등록일: 11/26/2011] [최종 수정일: 6/22/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1-27 10시06분 [문우영] WPF와 관련된 사항으로 보여 집니다. 저 사양에서 VS 2010를 사용 하다 보면 자주 보이는 현상인데~재현이 거의 안되는거 같아요~ VGA카드가 안 좋은 PC에서 종종 발생 합니다. [guest] 2011-11-28 11시14분 저사양의 기준이 Radeon HD 54xx 계열 이하라면... 맞을 수도 있겠군요. ^^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59정성태10/17/200619114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358정성태10/17/200624457오류 유형: 13. WSE 3.0 서비스 관련 WSE101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357정성태12/1/200626777.NET Framework: 74. WCF 이야기 [4]378정성태10/28/200631646 .NET Framework: 74.1. WCF와 WSE 3.0의 활용 [4]1379정성태11/3/200630567 .NET Framework: 74.2. WCF로 구현하는 .NET Remoting [4]1380정성태10/28/200629406 .NET Framework: 74.3. 웹 서비스와 닷넷 리모팅으로써의 WCF 구현1381정성태10/28/200631947 .NET Framework: 74.4. WCF 서비스 참조 추가 메뉴 [2]382정성태10/28/200637853 .NET Framework: 74.5. WCF 서비스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1383정성태10/28/200632729 .NET Framework: 74.6. IIS 6.0: 다중 Endpoint 제공1384정성태10/28/200629756 .NET Framework: 74.7. IIS 7.0: 다중 Endpoint 제공389정성태11/11/200632428 .NET Framework: 74.8. WCF에 SSL 적용 (1) - Httpcfg.exe 도구를 이용한 SSL 설정390정성태11/6/200629602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1356정성태10/7/200625153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386light10/30/200620082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355정성태10/9/200627903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2353정성태12/31/200636280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354정성태10/23/200638376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372정성태12/31/200640728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373정성태10/24/200632150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374정성태10/25/200629436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391정성태11/7/200633359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392정성태11/11/200646191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394정성태11/9/200630898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395정성태11/9/200642986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414정성태12/23/200634842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428정성태12/31/200647489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