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Visual Studio의 CMake 프로젝트는 기본적으로 g++로 설정되어 있는데요. 이를 clang++로 바꾸는 방법을 검색해 보면 CMakefile.txt에서 다음과 같이 CMAKE_CXX_COMPILER 변수를 설정하면 된다고 합니다.

cmake_minimum_required(VERSION 3.9)
project (CorProfiler)

set (SRC_FILES ClassFactory.cpp CorProfiler.cpp dllmain.cpp ILRewriter.cpp)

set (ENV{BuildOS} Linux)
set (ENV{BuildArch} x64)
set (ENV{BuildType} Debug)
set (ENV{Output} CorProfiler.so)

SET (CMAKE_C_COMPILER=/usr/bin/clang)
SET (CMAKE_CXX_COMPILER=/usr/bin/clang++)

SET ( CMAKE_CXX_FLAGS_DEBUG "-Wno-undef -Wno-invalid-noreturn -fPIC -fms-extensions -DBIT64 -DPAL_STDCPP_COMPAT -DPLATFORM_UNIX -std=c++11" )
SET ( CMAKE_CXX_FLAGS_RELEASE "-Wno-undef -Wno-invalid-noreturn -fPIC -fms-extensions -DBIT64 -DPAL_STDCPP_COMPAT -DPLATFORM_UNIX -std=c++11" )

INCLUDE_DIRECTORIES ( ./cor/src/pal/inc/rt ./cor/src/pal/prebuilt/inc ./cor/src/pal/inc ./cor/src/inc )

add_library( CorProfiler.so SHARED ${SRC_FILES} )

그런데 실제로 해보면 Visual Studio의 경우 바뀌지 않습니다. 대신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리눅스 환경으로 접근하기 위해 별도 관리하는 CMakeSettings.json에 해당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동작을 합니다.

{
  "configurations": [
    {
      "name": "Linux-Debug",
      "generator": "Unix Makefiles",
      "configurationType": "Debug",
      "buildRoot": "${env.USERPROFILE}\\CMakeBuilds\\${workspaceHash}\\build\\${name}",
      "installRoot": "${env.USERPROFILE}\\CMakeBuilds\\${workspaceHash}\\install\\${name}",
      "cmakeExecutable": "/usr/local/bin/cmake",
      "remoteCopySourcesExclusionList": [ ".vs", ".git", "x64", "Debug" ],
      "cmakeCommandArgs": "",
      "buildCommandArgs": "",
      "ctestCommandArgs": "",
      "inheritEnvironments": [ "linux_x64" ],
      "remoteMachineName": "409410665;192.168.100.50 (username=usr23, port=22, authentication=Password)",
      "remoteCMakeListsRoot": "/var/tmp/src/${workspaceHash}/${name}",
      "remoteBuildRoot": "/var/tmp/build/${workspaceHash}/build/${name}",
      "remoteInstallRoot": "/var/tmp/build/${workspaceHash}/install/${name}",
      "remoteCopySources": true,
      "rsyncCommandArgs": "-t --delete --delete-excluded",
      "remoteCopyBuildOutput": false,
      "remoteCopySourcesMethod": "rsync",
      "variables": [
        {
          "name": "CMAKE_CXX_COMPILER",
          "value": "/usr/bin/clang++",
          "type": "FILEPATH"
        }
      ]
    }
  ]
}




참고로, 빌드 시 경고가 다음과 같이 나올 때가 있습니다.

Warning the current #pragma pack aligment value is modified in the included file [-Wpragma-pack]

의미인즉, 현재 "-Wpragma-pack" 옵션이 적용된 상태에서는 저걸 경고로 취급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저런 식의 경고 메시지를 없애고 싶다면 그냥 단순히 앞에 "no-"만 붙여주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

SET ( CMAKE_CXX_FLAGS_DEBUG " -Wno-pragma-pack -Wno-undef -Wno-invalid-noreturn -fPIC -fms-extensions -DBIT64 -DPAL_STDCPP_COMPAT -DPLATFORM_UNIX -std=c++11" )
SET ( CMAKE_CXX_FLAGS_RELEASE " -Wno-pragma-pack -Wno-undef -Wno-invalid-noreturn -fPIC -fms-extensions -DBIT64 -DPAL_STDCPP_COMPAT -DPLATFORM_UNIX -std=c++11"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4/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23정성태5/18/200939843.NET Framework: 135. C# - Deflate, GZip, Zip
722정성태5/18/200927732개발 환경 구성: 45. SQL 서버 2008 백업 구성 [2]
721정성태5/14/200933734오류 유형: 81. Package 실행 오류 - Error 15404
720정성태5/13/200930682오류 유형: 80. SQL Server 2008 - Package 실행 오류의 구체적인 원인 확인
719정성태5/12/200930981.NET Framework: 134. WPF - XBAP을 호스팅하고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페이스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717정성태5/11/200931761개발 환경 구성: 44.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714정성태5/7/200930268Windows: 45. Windows 7 RC와 함께 공개된 Windows Virtual PC 베타
713정성태4/30/200962217오류 유형: 79. DLL 'xxxxx.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1]
712정성태4/28/200934793오류 유형: 78. Windows Vista/2008에서의 MSXML4.cab 파일 배포 문제
711정성태4/27/200934972개발 환경 구성: 43. Hyper-V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710정성태4/26/200935878.NET Framework: 133. CallbackOnCollectedDelegate was detected [4]파일 다운로드1
709정성태4/24/200931292개발 환경 구성: 42. Windows Vista SP1에서 사용 가능한 Hyper-V 관리 도구
708정성태4/23/200936500.NET Framework: 132. ClickOnce 배포를 명령행 수작업 구성파일 다운로드1
707정성태4/22/200935613개발 환경 구성: 41. Hyper-V에 Linux 설치 -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11
706정성태4/21/200931125.NET Framework: 131. ClickOnce - 그룹화시켜 다운로드파일 다운로드1
705정성태4/20/200926626개발 환경 구성: 40. TFS2008 SP1의 DBTier에 SQL Server 2008 SP1 설치 [1]
704정성태4/19/200927138개발 환경 구성: 39. Together 2007 SP1 설치
702정성태4/18/200938480.NET Framework: 130. Infragistics - Tabbed MDI WPF 응용 프로그램파일 다운로드1
701정성태4/17/200933512Windows: 44. bootsect 오류 - Access is denied.
700정성태4/17/200936573.NET Framework: 129. Infragistics WPF 컨트롤 사용 [1]
699정성태4/16/200934132.NET Framework: 128. 이벤트 멤버의 명시적 구현파일 다운로드1
696정성태4/12/200933883오류 유형: 77. RDP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1]
693정성태4/9/200928008오류 유형: 76. "Client found response content type of '', but expected 'text/xml'. The request failed with an empty response.No Reports".
692정성태4/8/200941749.NET Framework: 127. ClickOnce로 ActiveX를 같이 배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690정성태4/5/200929508오류 유형: 75. Event Viewer - The data is invalid (13)
688정성태4/5/200935401VS.NET IDE: 60.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