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https://www.sysnet.pe.kr/2/0/11845

개발 환경 구성: 698. Golang - GLIBC 의존을 없애는 정적 빌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90

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494

Linux: 76. Linux - C++ (getaddrinfo 등을 담고 있는) libnss 정적 링크
; https://www.sysnet.pe.kr/2/0/13679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Visual C++의 경우 msvcr[version].dll에 대한 정적 링크를 다음과 같이 하면,

수동으로 구성해 본 VC++프로젝트 설정: ReleaseMinDependency
; https://www.sysnet.pe.kr/2/0/800

(* Visual Studio 버전에 따라 설정 옵션이 차이가 있습니다.)

순수하게 윈도우 시스템 dll에 대한 의존성만 갖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Linux 응용 프로그램도 그렇게 만들고 싶었는데요.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libstdc++, libgcc_s.so.1, libc.so.6에 대한 C/C++ 관련 런타임이 동적으로 바인딩되어 있습니다.

$ ldd ./projects/testapp/bin/x64/Debug/testapp.so
        linux-vdso.so.1 (0x00007ffdc17d4000)
        libstdc++.so.6 => /usr/lib/x86_64-linux-gnu/libstdc++.so.6 (0x00007f71662ce000)
        libgcc_s.so.1 => /lib/x86_64-linux-gnu/libgcc_s.so.1 (0x00007f71660b6000)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f7165cc5000)
        libm.so.6 => /lib/x86_64-linux-gnu/libm.so.6 (0x00007f7165927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f716686a000)

회사의 리눅스 개발자에 의하면, 다음의 옵션을 통해 libgcc_s와 libstdc++에 대한 의존성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합니다.

[Linker / "Command Line"의 "Additional Options"]

-static-libgcc -static-libstdc++

빌드하면 이렇게 홀쭉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 ldd ./projects/testapp/bin/x64/Debug/testapp.so
        linux-vdso.so.1 (0x00007ffd587e4000)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f2f521c9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f2f527e7000)

그런데, CRT(C Runtime) 라이브러리인 libc.so.6에 대한 의존성을 제거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Visual C++와는 달리 libc 만큼은 빌드 환경과 실행 환경을 고려해야 합니다. (혹시 libc 의존성 없애는 방법을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검색해 보면, libc 의존성을 없애기 위해 "-static" 옵션을 주면 된다는 글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옵션을 [Linker / "Command Line"의 "Additional Options"]에 함께 주면 빌드 시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1>  Linking objects
1>  Invoking 'ld'
1>  g++ -o "/home/usr23/projects/testapp/../testapp/bin/x64/Release/libtestapp.so" -Wl,--no-undefined -Wl,-z,relro -Wl,-z,now -Wl,-z,noexecstack -shared -static /home/usr23/projects/testapp/../testapp/obj/x64/Release/ClassFactory.o /home/usr23/projects/testapp/../testapp/obj/x64/Release/testapp.o /home/usr23/projects/testapp/../testapp/obj/x64/Release/dllmain.o /home/usr23/projects/testapp/../testapp/obj/x64/Release/ILRewriter.o
1>  /usr/bin/ld : error : /usr/lib/gcc/x86_64-linux-gnu/7/crtbeginT.o: relocation R_X86_64_32 against hidden symbol `__TMC_END__' can not be used when making a shared object
1>  /usr/bin/ld : error : final link failed: Nonrepresentable section on output
1>  collect2 : error : ld returned 1 exit status
1>  /usr/bin/ld: /usr/lib/gcc/x86_64-linux-gnu/7/crtbeginT.o: relocation R_X86_64_32 against hidden symbol `__TMC_END__' can not be used when making a shared object
1>  /usr/bin/ld: final link failed: Nonrepresentable section on output
1>  collect2: error: ld returned 1 exit status

__TMC_END__ 오류에 관한 것을 다시 검색해 보면,

how to make a static binary of coreutils?
; https://askubuntu.com/questions/530617/how-to-make-a-static-binary-of-coreutils

다음과 같이 기존 crtbeginT.o를 crtbeginS.o로 덮어씌우면 됩니다.

$ g++ --version
g++ (Ubuntu 7.3.0-27ubuntu1~18.04) 7.3.0
Copyright (C) 2017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This is free software; see the source for copying conditions.  There is NO
warranty; not even for MERCHANTABILITY or FITNESS FOR A PARTICULAR PURPOSE.

$ cd /usr/lib/gcc/x86_64-linux-gnu/7.3.0
$ sudo cp crtbeginT.o crtbeginT.orig.o
$ sudo crtbeginS.o crtbeginT.o

실제로 이렇게까지 처리하면 컴파일/링킹 오류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바이너리 의존성이 오히려 원래대로 돌아가 버립니다.

$ ldd ~/projects/testapp/bin/x64/Release/libtestapp.so
        linux-vdso.so.1 (0x00007fff71fe9000)
        libstdc++.so.6 => /usr/lib/x86_64-linux-gnu/libstdc++.so.6 (0x00007fa2814f0000)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fa2810ff000)
        libm.so.6 => /lib/x86_64-linux-gnu/libm.so.6 (0x00007fa280d61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fa281a8a000)
        libgcc_s.so.1 => /lib/x86_64-linux-gnu/libgcc_s.so.1 (0x00007fa280b49000)




참고로 우분투의 경우 g++ 8 버전을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습니다.

$ sudo add-apt-repository ppa:ubuntu-toolchain-r/test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gcc-8 g++-8
$ gcc-8 --version

그럼 /usr/lib/gcc/x86_64-linux-gnu/8 디렉터리에 g++ 8 버전 관련 파일들이 설치됩니다. 이렇게 설치해도 기본적으로 gcc, g++ 명령시에는 g++-8 컴파일러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처리를 해야 하는데 이건 나중에.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5-20 10시26분
$ sudo apt install pax-utils
$ lddtree /bin/ps
정성태
2019-05-20 10시33분
The 101 of ELF files on Linux: Understanding and Analysis
; https://linux-audit.com/elf-binaries-on-linux-understanding-and-analysis/
정성태
2019-05-20 10시34분
정성태

... 196  197  198  199  [200]  201 
NoWriterDateCnt.TitleFile(s)
34정성태7/17/200324801VS.NET IDE: 4. VC++ 원격 디버깅파일 다운로드1
33정성태7/17/200325177VS.NET IDE: 3. Win2000 NAT 서비스
32정성태7/17/200326409COM 개체 관련: 9. _bstr_t, CComBSTR, string 클래스 사용 [1]
31정성태7/17/200323352COM 개체 관련: 8. IDL 구문에서 구조체를 pack 하는 방법
30정성태7/17/200341031VC++: 7. [STL] vector 사용법 및 reference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28정성태7/17/200325254스크립트: 3.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CHM 파일
29정성태7/17/200324781    답변글 스크립트: 3.1.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소스코드
27정성태7/17/200323526COM 개체 관련: 7. HTML Control에서 DELETE, 화살표 키 등이 안 먹는 문제
26정성태7/17/200324450COM 개체 관련: 6. WebBrowser 콘트롤에서 프레임을 구하는 소스
25정성태7/17/200322099COM 개체 관련: 5. C++ Attributes - Make COM Programming a Breeze with New Feature in Visual Studio .NET [2]파일 다운로드1
24정성태7/17/200326103.NET Framework: 5. (MHT 변환해서 가져온 글) .NET 의 COM+ 서비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23정성태7/17/200329647.NET Framework: 4. webservice.htc - HTML Script에서도 웹서비스 엑세스 [2]파일 다운로드1
22정성태7/17/200324122.NET Framework: 3. .NET Framework SDK 퀵 스타트 자습서
21정성태7/17/200323135.NET Framework: 2. 김현승님의 "ASP.NET & .NET EnterpriseServices & Remoting 코드 템플릿"
20정성태2/15/200530696VS.NET IDE: 2. Platform SDK 설치
19정성태7/17/200326350.NET Framework: 1. JScript.NET 강좌 사이트[영문]
18정성태7/17/200323611COM 개체 관련: 4. Exchanging Data Over the Internet Using XML [1]파일 다운로드1
17정성태7/17/200331427VC++: 6. Win32 API Hook - 소스는 "공개소스"에있습니다. [2]
16정성태7/17/200324036COM 개체 관련: 3. IE 툴밴드의 위치문제파일 다운로드1
15정성태7/17/200324944VC++: 5. 시행착오 - 클래스 포인터를 void * 로 대입후 delete 하는 경우.
14정성태7/17/200326621VC++: 4. MFC Message 처리 구조
13정성태7/17/200326213VC++: 3. template 활용의 최고 단계!
12정성태5/7/200624138VC++: 2. void func1( MYCLASS *&pBuildingElement ); 선언의 의미
10정성태7/17/200322307기타: 2. 데브피아 사이트의 클럽 서비스 내에 있는 Standard C++ Research
9정성태7/17/200327622기타: 1. Programming Applications for Microsoft Windows 4th Edition
8정성태7/17/200325010COM 개체 관련: 2. CWindowImpl 의 기본 윈도우 클래스 명을 바꾸려면?
... 196  197  198  199  [200]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