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DllImport의 단점이라면 경로를 런타임에 결정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업데이트 2020-12-16: 이를 위해 NativeLibrary.SetDllImpor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llImport("myDLL.dll")]
public static extern int DLLFunction();

그래도 윈도우 환경이라면 SetDllDirectory Win32 API를 이용하면,

SetDllDirectory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desktop/api/winbase/nf-winbase-setdlldirectorya

그런대로 경로를 런타임에 결정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리눅스 환경에 오니 이게 좀 문제가 다릅니다. 같은 경로에 있는 so 파일조차도 기본적으로 로드가 안되므로 동적 로드 방식으로 우회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47

이 방식을 사용하기 전, 가능한 /etc/ld.so.conf.d/ 디렉터리에 파일을 생성할 수 있거나 LD_LIBRARY_PATH 환경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면 그렇게 처리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위의 글에서 설명한 대로 리눅스에서의 동적 로드는 libdl.so에 있는 3개의 함수를 가져다 쓰면 됩니다. 실습을 위해, 지난 글에서 C++와 .NET 언어 간의 환경 변수 공유가 안 된다고 했는데,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846

이를 해결하기 위해 C/C++ so 라이브러리 측에 다음과 같이 환경 변수 set/get 함수를 마련하고,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extern "C"
{
    void SetEnv(char* key, char* value)
    {
        ::setenv(key, value, 1);
    }

    int GetEnv(char* key, char* pOut, int bufInSize)
    {
        char *value = ::getenv(key);
        if (value == nullptr)
        {
            pOut = nullptr;
            return 0;
        }

        int len = strnlen(value, bufInSize);

        if (len == bufInSize)
        {
            pOut = nullptr;
            return 0;
        }

        memset(pOut, 0, bufInSize);
        strcpy(pOut, value);
        return len;
    }
}

이 함수를 C# 측에서 이런 식으로 가져다 쓸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oreCoreLin
{
    public class LibProxy : IDisposable
    {
        [DllImport("libdl.so", CharSet = CharSet.Ansi)]
        static extern IntPtr dlopen(string filePath, RTLD flag);

        [DllImport("libdl.so", CharSet = CharSet.Ansi)]
        static extern IntPtr dlerror();

        [DllImport("libdl.so", CharSet = CharSet.Ansi)]
        static extern IntPtr dlsym(IntPtr handle, string symbol);

        [DllImport("libdl.so", CharSet = CharSet.Ansi)]
        static extern int dlclose(IntPtr pHandle);

        [UnmanagedFunctionPointer(CallingConvention.Cdecl, CharSet = CharSet.Ansi)]
        private delegate void SetEnvDelegate(string key, string value);
        SetEnvDelegate m_pSetEnvFunc;

        [UnmanagedFunctionPointer(CallingConvention.Cdecl, CharSet = CharSet.Ansi)]
        private delegate int GetEnvDelegate(string key, IntPtr pOut, int bufInSize);
        GetEnvDelegate m_pGetEnvFunc;

        public bool Initialized
        {
            get
            {
                return (_pLibHandle != IntPtr.Zero
                    && m_pSetEnvFunc != null
                    && m_pGetEnvFunc != null);
            }
        }

        public void Dispose()
        {
            if (_pLibHandle == IntPtr.Zero)
            {
                return;
            }

            dlclose(_pLibHandle);
        }

        IntPtr _pLibHandle;

        public LibProxy()
        {
            string libPath = "/usr/local/lib/libTest.so";

            // 이미 동일한 so 파일이 로드된 상태라면 그것을 사용
            foreach (ProcessModule mod in Process.GetCurrentProcess().Modules)
            {
                if (mod.ModuleName.IndexOf("libTest", StringComparison.CurrentCultureIgnoreCase) != -1)
                {
                    libPath = mod.FileName;
                    Console.WriteLine("libTest FOUND: " + libPath);
                    break;
                }
            }

            if (string.IsNullOrEmpty(libPath) == true)
            {
                Console.WriteLine("libTest NOT-FOUND: " + libPath);
                return;
            }

            IntPtr pHandle = dlopen(libPath, RTLD.LAZY);
            if (pHandle == IntPtr.Zero)
            {
                Console.WriteLine("dlopen failed: " + libPath);
                return;
            }

            _pLibHandle = pHandle;

            m_pSetEnvFunc = GetProcAddress<SetEnvDelegate>("SetEnv");
            m_pGetEnvFunc = GetProcAddress<GetEnvDelegate>("GetEnv");

            Console.WriteLine("dlopen succeeded!");
        }

        T GetProcAddress<T>(string name) where T : class
        {
            IntPtr pFunc = dlsym(_pLibHandle, name);
            if (pFunc == IntPtr.Zero)
            {
                Console.WriteLine("dlsym - ResolveFailed: " + name);
                return null;
            }

            return Marshal.GetDelegateForFunctionPointer<T>(pFunc);
        }

        public void SetEnvironmentVariable(string key, string value)
        {
            if (m_pSetEnvFunc == null)
            {
                return;
            }

            m_pSetEnvFunc(key, value);
        }

        public string GetEnvironmentVariable(string key)
        {
            if (m_pGetEnvFunc == null)
            {
                return null;
            }

            unsafe
            {
                byte* ptr = stackalloc byte[1024];
                IntPtr pBuf = new IntPtr(ptr);

                int len = m_pGetEnvFunc(key, pBuf, 1024);
                if (len == 0)
                {
                    return null;
                }

                string txt = Marshal.PtrToStringUTF8(pBuf);
                return txt;
            }
        }
    }

    [Flags]
    public enum RTLD : int
    {
        LAZY = 0x00001,
        NOW = 0x00002,
        BINDING_MASK = 0x3,
        NOLOAD = 0x00004,
        DEEPBIND = 0x00008
    }
}




참고로, DllImport에 지정한 so 파일을 찾지 못한 경우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fail: Microsoft.AspNetCore.Diagnostics.ExceptionHandlerMiddleware[0]
      An unhandled exception has occurred: Unable to load DLL 'libTest.so': The specified module or one of its dependencies could not be found.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07E)
System.DllNotFoundException: Unable to load DLL 'libTest.so': The specified module or one of its dependencies could not be found.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07E)
   at CoreCoreLin.Controllers.HomeController.internalGetEnv(String key, IntPtr value, Int32 bufSize)
   at CoreCoreLin.Controllers.HomeController.SetEnvVar() in D:\TestWebApp\Controllers\HomeController.cs:line 74
   at CoreCoreLin.Controllers.HomeController.Index() in D:\TestWebApp\Controllers\HomeController.cs:line 40
   at lambda_method(Closure , Object , Object[] )
   at Microsoft.AspNetCore.Mvc.Internal.ControllerActionInvoker.<InvokeActionMethodAsync>d__12.MoveNext()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생략]...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Microsoft.AspNetCore.Mvc.Internal.ResourceInvoker.<InvokeAsync>d__15.MoveNext()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Microsoft.AspNetCore.Builder.RouterMiddleware.<Invoke>d__4.MoveNext()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ExceptionServices.ExceptionDispatchInfo.Throw()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Microsoft.AspNetCore.Diagnostics.ExceptionHandlerMiddleware.<Invoke>d__6.MoveNex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01-20 06시14분
[하마] 안녕하세요. 인터넷 검색하다가 왠지 아실거같아서 실례인걸알지만 댓글을 달아봅니다ㅠ.ㅠ
제가 지금 기존 .NET framework + window server 로 되어있던 사이트를 .NET5 + centos로 마이그레이션 중인데 본인인증암호화모듈을 so파일로 받았습니다.
원본파일(?)을 갖고있는 상태가 아니어서 소스코드를 수정할수도 없는상황이라서요..ㅠㅠ
이런 경우에는 어떤식으로 하면 좋을까요?ㅠㅠ 괜찮으시다면 hama1226@gmail.com으로 메일부탁드릴게요!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guest]
2021-01-20 10시28분
so 파일과 기존 사용하던 DLL의 export 함수 목록과 시그니처가 같고 라이브러리 사용법도 동일하다면 이전에 사용했던 연동 코드를 유사하게 구성해 처리하시면 됩니다. 원본 파일은 기존의 .NET Framework + Windows Server 환경의 바이너리에 대한 소스 코드를 의미하시는 것 같은데, 특별히 난독화가 되어 있지 않다면 dotPeek 같은 도구를 이용해,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1

리버싱하시면 됩니다.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8정성태11/15/20245297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4941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5397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4822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5290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049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5267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4859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5389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5263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5271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4994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4917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4748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5377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5336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5705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5493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6337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4922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5521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5513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5396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5178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5264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5148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