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437. .NET EXE의 ASLR 기능을 끄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2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Windows: 27. 눈으로 확인해 보는 ASLR 기능
; https://www.sysnet.pe.kr/2/0/545

개발 환경 구성: 437. .NET EXE의 ASLR 기능을 끄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62




.NET EXE의 ASLR 기능을 끄는 방법

예전 글에서 소개한,

눈으로 확인해 보는 ASLR 기능
; https://www.sysnet.pe.kr/2/0/545

ASLR은 보안에는 좋지만, 가끔 windbg로 해당 EXE를 분석할 때는 실행할 때마다 로딩 주소가 바뀌기 때문에 다소 귀찮은 면도 있습니다. 그래서 끄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요. 원래 이 기능은 PE 헤더의 "DllCharacteristics" 값에서 "DYNAMICBASE" 속성을 제거하면 바이너리 스스로도 끄는 것이 가능합니다. 일례로 Visual C++의 경우 프로젝트 속성 창에서 "Linker" / "Advanced" 범주의 "Randomized Base Address" 값을 "No (/DYNAMICBASE:NO)"로 설정해 끌 수 있는데, 아쉽게도 .NET 프로젝트의 경우 그 옵션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PE 헤더를 후처리해야 할 텐데요. 간단하게는 dnSpy.exe를 이용해 Optional Header의 "DllCharacteristics"에서 "Dynamic Base" 옵션을 해제해 저장하거나, 또는 빌드 시 Post-Build 이벤트에 지난 글에서 소개한 setdllcharacteristics 도구를,

setdllcharacteristics 
; https://blog.didierstevens.com/2010/10/17/setdllcharacteristics/

실행하는 식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는 Visual Studio 도구에 포함된 editbin.exe에서도 가능한데요.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VC\Tools\MSVC\14.20.27508\bin\Hostx86\x86\editbin.ex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VC\Tools\MSVC\14.20.27508\bin\Hostx64\x64\editbin.exe

그러고 보니 예전에도 editbin을 쓴 적이 있습니다. ^^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 https://www.sysnet.pe.kr/2/0/1441

DEP 비호환 ActiveX 오류
; https://www.sysnet.pe.kr/2/0/773

따라서 C# 프로젝트 속성의 "Build Events" / "Post-build event command line"에 다음의 내용을 포함시킵니다.

REM Visual Studio 2019
call "$(DevEnvDir)..\tools\VsDevCmd.bat"
editbin.exe /dynamicbase:NO "$(TargetPath)"

실제로 예제 코드를 통해 확인을 해볼까요?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public static extern IntPtr LoadLibrary(string dllToLoad);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Ptr loadingAddress = LoadLibrary("ConsoleApp1.exe");
            Console.WriteLine(loadingAddress.ToInt64().ToString("x"));
        }
    }
}

직접 해보면, 분명히 ASLR 기능을 껐지만 .NET EXE의 경우 저 옵션이 안 통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이전 글에도 썼지만 Visual C++로 만든 Native EXE의 경우 같은 디렉터리에 있거나 시스템 재부팅 전까지는 ASLR을 끄지 않은 상태여도 로딩 주소가 같게 나옵니다. 그런데, .NET EXE의 경우에는 실행 시 언제나 랜덤한 주소에서 로딩이 됩니다. (혹시 왜 이런 차이점이 발생하는지 아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암튼, Dynamic Base 옵션을 껐는데도 .NET EXE는 여전히 랜덤한 주소로 로딩이 되는데 아쉽게도 더 이상 해결책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대신, 윈도우 시스템 설정으로 가능한데요. 윈도우 10의 경우 "Settings" / "Update & Security" / "Windows Security" / "App & browser control"에서 "Exploit protection" 하위의 "Exploit protection settings"를 선택한 후 "Program Settings"를 통해 특정 경로의 EXE에 대해 다음과 같이 "Override system settings" 옵션을 켜주면 됩니다.

turn_off_aslr_1.png

Randomize memory allocations (Bottom-up ASLR)
Randomize locations for virtual memory allocations.
Override system settings - Checked
    Off

이렇게 적용한 EXE에는 ASLR이 적용되지 않아 실행할 때마다 같은 메모리 위치에 로딩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7/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05정성태4/18/20218734.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7431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8319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9526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8611.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8800.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9514.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9616.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9706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9422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12595정성태4/12/20218863.NET Framework: 1036. SQL 서버 - varbinary 타입에 대한 문자열의 CAST, CONVERT 변환을 C# 코드로 구현
12594정성태4/11/20218302.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파일 다운로드1
12593정성태4/10/20219478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12592정성태4/10/20219285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12591정성태4/9/202112538.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0정성태4/9/20219032.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12589정성태4/8/202110363.NET Framework: 1032. C# - Environment.OSVersion의 문제점 및 윈도우 운영체제의 버전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 [1]
12588정성태4/7/202110952개발 환경 구성: 565. PowerShell - New-SelfSignedCertificate를 사용해 CA 인증서 생성 및 인증서 서명 방법
12587정성태4/6/202111742개발 환경 구성: 564. Windows 10 - ClickOnce 배포처럼 사용할 수 있는 MSIX 설치 파일 [1]
12586정성태4/5/20219429오류 유형: 710. Windows - Restart-Computer / shutdown 명령어 수행 시 Access is denied(E_ACCESSDENIED)
12585정성태4/5/20219207개발 환경 구성: 563. 기본 생성된 kubeconfig 파일의 내용을 새롭게 생성한 인증서로 구성하는 방법
12584정성태4/1/20219888개발 환경 구성: 562. kubeconfig 파일 없이 kubectl 옵션만으로 실행하는 방법
12583정성태3/29/202111407개발 환경 구성: 561. kubectl 수행 시 다른 k8s 클러스터로 접속하는 방법
12582정성태3/29/202110083오류 유형: 709. Visual C++ - 컴파일 에러 error C2059: syntax error: '__stdcall'
12581정성태3/28/202110008.NET Framework: 1031. WinForm/WPF에서 Console 창을 띄워 출력하는 방법 (2) - Output 디버깅 출력을 AllocConsole로 우회 [2]
12580정성태3/28/20218766오류 유형: 708.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 Execution Timeout Expired.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