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 https://www.sysnet.pe.kr/2/0/11838

.NET Framework: 816.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2 - GC-related things
; https://www.sysnet.pe.kr/2/0/11869

.NET Framework: 818.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3 - Initialization tricks
; https://www.sysnet.pe.kr/2/0/11871

.NET Framework: 819.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4 - Type members
; https://www.sysnet.pe.kr/2/0/11872

.NET Framework: 820.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5 - Methods, parameters, modifiers
; https://www.sysnet.pe.kr/2/0/11873

.NET Framework: 82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6 - Object internals
; https://www.sysnet.pe.kr/2/0/11874

.NET Framework: 822.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7 - Word tearing, locking and others
; https://www.sysnet.pe.kr/2/0/11876

.NET Framework: 823.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8 - C# gotchas
; https://www.sysnet.pe.kr/2/0/11877

.NET Framework: 824.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9 - Finalizers, queues, card tables and other GC stuff
; https://www.sysnet.pe.kr/2/0/11878

.NET Framework: 825.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0 - Threads, Tasks, asynchronous code and others
; https://www.sysnet.pe.kr/2/0/11879

.NET Framework: 826.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1 - Various C# riddles
; https://www.sysnet.pe.kr/2/0/11882

.NET Framework: 83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2 - Memory structure, attributes, handles
; https://www.sysnet.pe.kr/2/0/1189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3 - Initialization tricks

이번에도 .NET Internals Cookbook 시리즈의 3번째 글을 번역한 것입니다.

.NET Internals Cookbook Part 3 - Initialization tricks
; https://blog.adamfurmanek.pl/2019/03/02/net-internals-cookbook-part-3/





13. 변수의 값이 true이면서 동시에 false가 될 수 있을까?

우선 일반적인 논리 식이라면 그런 경우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객체의 상태를 true/false로 평가할 수 있도록 op_False, op_True 연산자를 재정의했을 때 이런 트릭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전기 스위치가 있을 때, 스위치의 객체 상태를 true/false로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산자를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class Switch
{
    public string Name { get; private set; }
    public bool On { get; private set; }

    public Switch(string name, bool on)
    {
        Name = name;
        On = on;
    }

    public static bool operator true(Switch t)
    {
        Console.WriteLine($"{t.Name} op.True");
        return t.On;
    }

    public static bool operator false(Switch t)
    {
        Console.WriteLine($"{t.Name} op.False");
        return t.On == false;
    }
}

이렇게 코딩하면 Switch 인스턴스를 조건식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witch foo1 = new Switch("A", true);
Switch foo2 = new Switch("B", false);

if (foo1)
{
    Console.WriteLine($"{foo1.Name} ON");
}

if (foo2)
{
    Console.WriteLine($"{foo2.Name} ON");
}

/*
A op.True
A ON
B op.True
*/

위의 결과로, C# 컴파일러는 if 문에서 객체를 평가하는 경우 op_True와 op_False 메서드 중에 op_True를 선택해 호출해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위의 코드는 사실상 다음과 같이 바뀌어 컴파일되는 것입니다.

if (Switch::op_True(foo1))
{
    Console.WriteLine($"{foo1.Name} ON");
}

if (Switch::op_True(foo2))
{
    Console.WriteLine($"{foo2.Name} ON");
}

이러한 객체의 논리식 평가에서 재미있는 것은 &&, ||과 같은 논리 연산자가 사용될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하면,

if (foo1 && foo2)
{
    Console.WriteLine("If");
}

C# 컴파일러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 평가를 전개합니다.

// && 논리 곱의 short-circuit 평가이므로 첫 번째 변수가 false인지를 우선 검사
if (Switch::op_False(foo1))
{
    if (Switch::op_True(foo1)) // 피연산자가 2개인 && 평가에서 왜? foo2에 대한 op_True 검사를 생략할까?
    {
        Console.WriteLine("If");
    }
}
else // foo1이 true인 상태라면 당연히 두 번째 변수의 상태를 평가
{
    Foo bitwised = Switch::op_BitwiseAnd(foo1, foo2);
    if (Switch::op_True(bitwised))
    {
        Console.WriteLine("If");
    }
}

개인적인 이해 차원에서는, 이건 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첫 번째 변수가 false 상태라면 굳이 그 변수에 대해 op_True 검사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설령, 확실하게 하기 위해 검증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해도 당연히 두 번째 변수에 대한 평가를 추가해야 하는데 그 과정이 없습니다.

또 한가지 재미있는 것은, 첫 번째 변수의 평가가 true라고 된 경우 두 번째 변수에 대해 곧바로 op_True 평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첫 번째 변수와 두 번째 변수의 비트 곱(&) 연산자를 호출해 하나의 결과로 합친 다음 그것에 대해 op_True 평가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객체에 대해 && 논리곱을 하려면 비트 곱(&) 연산자도 함께 재정의해야 합니다.

public static Switch operator &(Switch lhs, Switch rhs)
{
    Console.WriteLine($"{lhs.Name} & {rhs.Name}");

    if (lhs.On == false)
    {
        return lhs;
    }

    return rhs;
}

이 정도 알았으면 이제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습니다. 즉, true/false에 대한 연산자 재정의에서 모두 옳다고 반환하면 그 객체는 true이면서 false인 상태를 갖는 것과 같습니다.

public static bool operator true(Switch t)
{
    Console.WriteLine($"{t.Name} op.True");
    return true;
}

public static bool operator false(Switch t)
{
    Console.WriteLine($"{t.Name} op.False");
    return true;
}

그래서 위와 같이 정의된 객체를 논리곱 연산자에 사용하면,

if (foo1 && foo2)
{
    Console.WriteLine("If");
}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얻게 됩니다.

A op.False
A op.True
If

참고로, 논리합 연산자(||)라면 첫 번째 피연산자에 대한 평가를 short-circuit 검사를 위해 op_True를 호출합니다.





14. 생성자 호출 없이 객체 생성을 할 수 있을까?

FormatterServices 타입의 GetUninitializedObject 메서드를 호출해 객체 생성을 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Serialization;

public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
    {
        Foo o = FormatterServices.GetUninitializedObject(typeof(Foo)) as Foo;
        Console.WriteLine(o.n); // 출력 결과: 0
    }
}

class Foo
{
    public int n = 5; // C# 컴파일러는 필드 초기화 코드를 생성자에 넣음.

    Foo()
    {
        Console.WriteLine("Constructor");
    }
}

당연히 생성자를 호출하지 않고 객체가 소유한 필드의 메모리만큼 할당만 한 후에 객체 주소를 반환하기 때문에 필드 n의 값은 0이 됩니다.





15. 생성자를 여러 번 호출할 수 있을까?

ctor도 메서드이기 때문에 Reflection을 이용해 임의 호출이 가능합니다.

using System;

public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
    {
        Foo foo = new Foo();

        var ctor = foo.GetType().GetConstructor(new Type[0]);
        
        ctor.Invoke(foo, new object[0]);
        ctor.Invoke(foo, new object[0]);
        ctor.Invoke(foo, new object[0]);
    }
}

class Foo
{
    public int n = 5;

    public Foo()
    {
        Console.WriteLine("Constructor!");
    }
}

/* 출력 결과
Constructor!
Constructor!
Constructor!
Constructor!
*/

따라서 14번 문제와 합치면 객체 생성 과정을 다음과 같이 수작업으로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Serialization;

public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
    {
        var ctor = typeof(Foo).GetConstructor(new Type[0]);

        Foo o = FormatterServices.GetUninitializedObject(typeof(Foo)) as Foo;
        ctor.Invoke(o, new object[0]);
        Console.WriteLine(o.n); // 출력 결과: 5
    }
}





16. 생성자에서 null 반환이 가능할까?

ContextBoundObject를 상속받아 생성자 호출을 가로채면 가능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Remoting.Proxies;

namespace ConsoleApp
{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
        {
            var instance = new Foo();
            Console.WriteLine(instance == null);
        }
    }

    class FooProxyAttribute : ProxyAttribute
    {
        public override MarshalByRefObject CreateInstance(Type serverType)
        {
            Console.WriteLine("Custom new");
            return null;
        }
    }

    [FooProxy]
    class Foo : ContextBoundObject 
    {
    }
}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var instance"의 null 여부입니다. .NET Framework의 경우 instance는 null이지만, .NET Internals Cookbook Part 3 ? Initialization tricks 글에서 링크한 Mono 런타임에서는 null이 아닙니다.

아마도 이것은, .NET Framework의 런타임은 null이 반환된 경우 ContextBoundObject로 인한 Proxy 객체 자체를 null 처리해서 반환하는 반면, Mono의 경우에는 대상 객체는 null을 반환하지만 그 null을 가리키는 Proxy 객체를 반환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이때의 Proxy 객체 타입은 System.Runtime.Remoting.Proxies.__TransparentProxy라는 식의 이름을 갖습니다.





17. 인터페이스 타입의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을까?

인터페이스는 new할 수 없지만, .NET Framework이 기존 COM 객체와의 연동을 위해 마련한 편의 장치를 이용하면 생성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public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
    {
        IFoo obj = new IFoo("abc");
        Console.WriteLine(obj.Message);
    }
}

class Foo : IFoo
{
    readonly string name;
    public Foo(string name)
    {
        this.name = name;
    }
    string IFoo.Message
    {
        get
        {
            return "Hello from " + name;
        }
    }
}

[ComImport, CoClass(typeof(Foo))]
[Guid("d60908eb-fd5a-4d3c-9392-8646fcd1edce")]
interface IFoo
{
    string Message { get; }
}

사실 엄밀히 말하면, C# 코드 상으로는 new IFoo를 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부적으로 C# 컴파일러는 해당 인터페이스에 지정된 CoClass 특성에 지정된 타입을 생성하는 것으로 치환하므로,

public static void Main()
{
    IFoo obj = new Foo("abc");
    Console.WriteLine(obj.Message);
}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냥 겉으로만 그렇게 보이는 것에 불과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4-17 11시20분
[이성환] 피와 살이 되는 글! 감사합니다. 파트 12까지 다 번역해주실거죠? (__.. 굽실굽실)

근데 이정도 내용이면 엮어서 책으로 내는 것도 괜찮을 거 같은데, 원작자가 먼저 책으로 발간해야 가능하겠죠? Effective C# 빰치게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 책으로 갖고 싶은데...;ㅂ;
[guest]
2019-04-17 03시46분
[JK] 우연치 않게 지나가다 들렸는데 재미난 게시글이 많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guest]
2019-04-17 06시31분
@이성환 일단은 여력이 되는 한 다 하고 싶습니다. 그러게요. Cookbook이라고 온라인으로만 있다가 묻히기에는 아까운 것같습니다.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67정성태7/7/20246608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7686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7863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7470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7477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7398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7504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7842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8217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57정성태6/27/20247894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13656정성태6/27/20248055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7830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7787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7925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9232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8472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8397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7947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8263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9322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7741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8197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8855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8294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8196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8659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