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72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robocopy... 아마도 제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DOS 프로그램이 아닐까 싶군요. ^^

ROBOCOPY XP026 버전
; https://www.sysnet.pe.kr/2/0/543

사용하다 보면 Exit Code 값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검색을 해보니 답이 딱 나오는군요. ^^

Robocopy exit codes
; http://blogs.technet.com/b/deploymentguys/archive/2008/06/16/robocopy-exit-codes.aspx

Code Meaning
0 No errors occurred and no files were copied.
1 One of more files were copied successfully.
2 Extra files or directories were detected.  Examine the log file for more information.
4 Mismatched files or directories were detected.  Examine the log file for more information.
8 Some files or directories could not be copied and the retry limit was exceeded.
16 Robocopy did not copy any files.  Check the command line parameters and verify that Robocopy has enough rights to write to the destination folder.

그런데... 덧글에 보면 재미있는 에러 코드 목록이 있습니다.

ERROR 2 (0x00000002)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ERROR 3 (0x00000003) The system cannot find the path specified.
ERROR 5 (0x00000005) Access is denied.
ERROR 6 (0x00000006) The handle is invalid.
ERROR 32 (0x00000020) The process cannot access the file because it is being used by another process.
ERROR 53 (0x00000035)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ERROR 64 (0x00000040) The specified network name is no longer available.
ERROR 112 (0x00000070) There is not enough space on the disk.
ERROR 121 (0x00000079) The semaphore timeout period has expired.

어찌 보면... 2개의 코드 비교가 전혀 맞지 않아서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요. ^^

물론, 둘다 맞습니다. 에러 코드는 말 그대로 에러에 해당하는 값일 뿐이고, Exit Code 값은 프로세스가 반환한 값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실행 결과를 볼까요?

D:\>robocopy .\Test d:\Demo /S

-------------------------------------------------------------------------------
   ROBOCOPY     ::     Robust File Copy for Windows
-------------------------------------------------------------------------------

  Started : Thu Dec 01 16:19:47 2011

   Source : D:\Test
     Dest : d:\Demo

    Files : *.*

  Options : *.* /S /COPY:DAT /R:1000000 /W:30

------------------------------------------------------------------------------

2011/12/01 16:19:47 ERROR 3 (0x00000003) Accessing Source Directory .\Test
The system cannot find the path specified.

위의 경우에, Error Code는 3입니다. 그렇다면 Exit Code는 뭘까요? 이 값은 DOS Batch 작업에서 ERRORLEVEL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위의 작업에서는 Exit Code로 다음과 같은 값이 반환됩니다.

D:\>echo %ERRORLEVEL%
16

DOS 배치 작업에서는 ERRORLEVEL로만 판단이 가능하므로 사실상 오류가 발생했는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건을 주면 됩니다.

if %ERRORLEVEL% GEQ 8 goto TaskError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73정성태11/25/201525453.NET Framework: 540. C# - 부동 소수 계산 왜 이렇게 나오죠? (2) [3]파일 다운로드1
10872정성태11/24/201532422.NET Framework: 539. C# - 부동 소수 계산 왜 이렇게 나오죠? (1) [1]
10871정성태11/23/201528042오류 유형: 313.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10870정성태11/23/201528902오류 유형: 312. 윈도우 10 TH2 (버전 1511) 업데이트가 안되는 경우 [1]
10869정성태11/23/201524671오류 유형: 311. certutil 실행 오류 - 0x80070057 [1]
10868정성태11/20/201524551제니퍼 .NET: 25.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5) - RestSharp 라이브러리의 CPU High 현상파일 다운로드1
10867정성태10/18/201527098.NET Framework: 538. Thread.Abort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현상
10866정성태10/14/201523328.NET Framework: 537. C# - Reflection의 박싱 없이 값 형식을 다루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865정성태10/13/201523102.NET Framework: 536. Thread.Abort의 스레드 종료 지연파일 다운로드1
10864정성태10/12/201521288.NET Framework: 535. aspnet.config 파일의 설정을 읽는 방법
10863정성태10/9/201526106.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10862정성태10/9/201524460오류 유형: 310. 비주얼 스튜디오 - Unspecified error (Exception from HRESULT: 0x80004005 (E_FAIL))
10861정성태10/9/201529108기타: 54.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2)
10860정성태10/5/201526578개발 환경 구성: 277. IIS AppPool의 시작/중단에 대한 이벤트 로그 확인 방법
10859정성태10/5/201527766.NET Framework: 533. C#에서 string 형식이 primitive일까요? [6]
10858정성태10/2/201524261VS.NET IDE: 105.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57정성태10/1/201520294VS.NET IDE: 104. Visual C++ 프로젝트의 빌드 이벤트에서 환경 변수 사용하는 방법
10856정성태9/30/201531533.NET Framework: 532. WPF DataGrid의 데이터 바인딩 시 리플렉션의 부하는 어느 정도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0855정성태9/30/201521258.NET Framework: 531. C# - XSLT 내의 javascript에 전달한 XML 노드의 타입은?
10854정성태9/30/201521777오류 유형: 309. C# - 포인터를 쓰는 경우 VerificationException이 발생한다면?
10853정성태9/21/201519414오류 유형: 308. 공백 문자를 포함한 계정명의 권한으로 Visual Studio 확장을 설치할 때 오류 발생
10852정성태9/17/201524477VC++: 92. C++ 생성자를 DLL로부터 동적 로드해 객체를 생성한다면? [2]파일 다운로드1
10851정성태9/15/201524237.NET Framework: 530. C# -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850정성태9/14/201522929.NET Framework: 529. C# - volatile 키워드로 인한 차이점을 발생시키는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0849정성태9/14/201557010오류 유형: 307. CLR20r3 오류 해결을 위해 mscorlib.dll을 덮어쓸때 주의할 점 [12]
10848정성태9/8/201527384VS.NET IDE: 103. Visual Studio의 Ctrl + F5 실행 동작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