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614. C# - DateTime.Ticks의 정밀도
; https://www.sysnet.pe.kr/2/0/11082

.NET Framework: 827. C# - 인터넷 시간 서버로부터 받은 시간을 윈도우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83

스크립트: 33. JavaScript와 C#의 시간 변환
; https://www.sysnet.pe.kr/2/0/12849

Windows: 204.  Windows 10부터 바뀐 QueryPerformanceFrequency, QueryPerformanceCounter
; https://www.sysnet.pe.kr/2/0/13035

.NET Framework: 1997. C# - nano 시간을 가져오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36

스크립트: 47. 파이썬의 time.time() 실숫값을 GoLang / C#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8

닷넷: 2143. C# - 시스템 Time Zone 변경 시 이벤트 알림을 받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13

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 https://www.sysnet.pe.kr/2/0/13803




C# - 인터넷 시간 서버로부터 받은 시간을 윈도우에 적용하는 방법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군요. ^^

인터넷 시간을 불러와 pc에 적용 시키고 싶습니다.
; https://www.sysnet.pe.kr/3/0/5152

코드를 보면, 공개된 time.nist.gov 시간 서버(NTP: Network Time Protocol)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와 처리하고 있습니다.

/*
c:\temp> telnet time.nist.gov 13
59442 21-08-16 14:28:19 50 0 0 585.3 UTC(NIST) *

Connection to host lost.
*/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Globalization;
using System.IO;
using System.Net.Socket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onsoleApp_test
{
    class Program
    {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ublic struct SYSTEMTIME
        {
            public short wYear;
            public short wMonth;
            public short wDayOfWeek;
            public short wDay;
            public short wHour;
            public short wMinute;
            public short wSecond;
            public short wMilliseconds;
        }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public static extern bool SetSystemTime(ref SYSTEMTIME st);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public static extern bool SetLocalTime(ref SYSTEMTIME st);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Process.GetCurrentProcess().Id);
            while (true)
            {
                string responseText = null;

                try
                {
                    using (var client = new TcpClient("time.nist.gov", 13))
                    using (var streamReader = new StreamReader(client.GetStream()))
                    {
                        Thread.Sleep(5000);

                        // 인터넷 시간 불러오기
                        responseText = streamReader.ReadToEnd(); // "59442 21-08-16 14:28:19 50 0 0 585.3 UTC(NIST) *"
                        var utcDateTimeString = responseText.Substring(7, 17);

                        if (DateTime.TryParseExact(utcDateTimeString, "yy-MM-dd HH:mm:ss", CultureInfo.InvariantCulture, DateTimeStyles.AssumeUniversal, out DateTime utcDateTime) == false)
                        {
                            Console.WriteLine(responseText);
                            continue;
                        }

                        var localDateTime = utcDateTime.ToLocalTime();

                        // pc에 적용하기
                        SYSTEMTIME st = new SYSTEMTIME();
                        st.wYear = (short)localDateTime.Year;
                        st.wMonth = (short)localDateTime.Month;
                        st.wDay = (short)localDateTime.Day;
                        st.wHour = (short)localDateTime.Hour;
                        st.wMinute = (short)localDateTime.Minute;
                        st.wSecond = (short)localDateTime.Second;
                        st.wMilliseconds = (short)localDateTime.Millisecond;

                        bool result = SetLocalTime(ref st);
                        if (result == false)
                        {
                            int lastError = Marshal.GetLastWin32Error();
                            Console.WriteLine(lastError);
                        }

                        Console.WriteLine($"Response: {responseText}, DateTime: {localDateTime}");
                    }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Exception: " + e.Message + "\n(" + responseText + ")");
                }
            }
        }
    }
}

하지만, time.nist.gov로부터 시간은 잘 받아왔는데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을 설정하는 SetSystemTime/SetLocalTime Win32 API 호출 시 결과가 false를 반환합니다. 이런 경우 Marshal.GetLastWin32Error 메서드를 이용하면 Win32 API가 왜 실패했는지를 알 수 있는데, 위의 경우에는 1314 값으로 이것을 Visual Studio의 "Tools" / "Error Lookup" 도구에서 살펴보면,

errlookup_1.png

"A required privilege is not held by the client."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역시 왜 이런 식의 오류가 발생했는지는 문서를 보면 됩니다.

The calling process must have the SE_SYSTEMTIME_NAME privilege. This privilege is disabled by default. The SetSystemTime function enables the SE_SYSTEMTIME_NAME privilege before changing the system time and disables the privilege before returning.


그렇습니다. 운영체제의 시간을 변경하려면 호출 프로세스의 권한에 SE_SYSTEMTIME_NAME 특권이 있어야 하는데 윈도우의 일반 사용자 권한에는 그 특권이 없기 때문에 1314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문제는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참고로, 특권에 대해서는 예전에 쓴 글이 있습니다.

SeCreateGlobalPrivilege 특권과 WCF NamedPipe
; https://www.sysnet.pe.kr/2/0/1806

일반적으로 관리자 권한의 경우 다행히 SE_SYSTEMTIME_NAME 특권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된 상태이므로 일부러 설정할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만약 관리자 권한에서도 SE_SYSTEMTIME_NAME 특권이 없었다고 가정한다면, 다음의 NuGet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Win32.TokenPrivileges
; https://github.com/trondr/Win32.TokenPrivileges

다음과 같은 식으로 강제 활성화 후 SetSystemTime/SetLocalTime API를 호출하면 됩니다.

using (new AdjustPrivilege(PrivilegeName.SeSystemtimePrivilege))
{
    Console.WriteLine("Privileges should now be granted.");
    Console.WriteLine($"SeSystemtimePrivilege: {PrivilegeProvider.HasPrivilege(null, currentProcess, PrivilegeName.SeSystemtimePrivilege)}");

    bool result = SetLocalTime(ref st);
    if (result == false)
    {
        int lastError = Marshal.GetLastWin32Error();
        Console.WriteLine(lastError);
    }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89정성태2/20/20257757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1]파일 다운로드1
13888정성태2/17/20256509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7정성태2/17/20258265닷넷: 2320. Blazor의 razor 페이지에서 code-behind 파일로 코드를 분리 및 DI 사용법
13886정성태2/15/20255723VS.NET IDE: 196. Visual Studio -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
13885정성태2/14/20257852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4정성태2/13/20258431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파일 다운로드1
13883정성태2/12/20258300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2정성태2/10/20256543스크립트: 70. 파이썬 - oracledb 패키지 연동 시 Thin / Thick 모드
13881정성태2/7/20256523닷넷: 2316.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0정성태2/5/20258928오류 유형: 947. sshd - Failed to start OpenSSH server daemon.
13879정성태2/5/20258556오류 유형: 946. Ubuntu - N: Updating from such a repository can't be done securely, and is therefore disabled by default.
13878정성태2/3/20258105오류 유형: 945. Windows - 최대 절전 모드 시 DRIVER_POWER_STATE_FAILURE 발생 (pacer.sys)
13877정성태1/25/20256712닷넷: 2315. C# - PCI 장치 열거 (레지스트리, SetupAPI)파일 다운로드1
13876정성태1/25/20258362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파일 다운로드1
13875정성태1/24/20256098스크립트: 69. 파이썬 - multiprocessing 패키지의 spawn 모드로 동작하는 uvicorn의 workers
13874정성태1/24/20258076스크립트: 68. 파이썬 - multiprocessing Pool의 기본 프로세스 시작 모드(spawn, fork)
13873정성태1/23/20255886디버깅 기술: 217. WinDbg - PCI 장치 열거파일 다운로드1
13872정성태1/23/20255515오류 유형: 944. WinDbg - 원격 커널 디버깅이 연결은 되지만 Break (Ctrl + Break) 키를 눌러도 멈추지 않는 현상
13871정성태1/22/20256848Windows: 278. Windows - 윈도우를 다른 모니터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단축키 (Window + Shift + 화살표)
13870정성태1/18/20258143개발 환경 구성: 741. WinDbg -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이 가능한 NIC 카드 지원 확대
13869정성태1/18/20256598개발 환경 구성: 740. WinDbg - _NT_SYMBOL_PATH 환경 변수에 설정한 경로로 심벌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는 경우
13868정성태1/17/20256370Windows: 277.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13867정성태1/17/20258524오류 유형: 943. Hyper-V에 Windows 11 설치 시 "This PC doesn't currently meet Windows 11 system requirements" 오류
13866정성태1/16/20259558개발 환경 구성: 739. Windows 10부터 바뀐 device driver 서명 방법
13865정성태1/15/20258041오류 유형: 942. C# - .NET Framework 4.5.2 이하의 버전에서 HttpWebRequest로 https 호출 시 "System.Net.WebException" 예외 발생
13864정성태1/15/20258021Linux: 114. eBPF를 위해 필요한 SELinux 보안 정책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