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438. mstest, QTAgent의 로그 파일 설정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31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534.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1886

개발 환경 구성: 438. mstest, QTAgent의 로그 파일 설정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89

개발 환경 구성: 439.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메시지와 관련된 코드 기록
; https://www.sysnet.pe.kr/2/0/11890

오류 유형: 539. mstest 실행 시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902

오류 유형: 575. mstest.exe - System.Resources.MissingSatelliteAssemblyException: The satellite assembly named "Microsoft.VisualStudio.ProductKeyDialog.resources.dll, ..."
; https://www.sysnet.pe.kr/2/0/12044

오류 유형: 576.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045




mstest, QTAgent의 로그 파일 설정 방법

지난 글에서 mstest.exe에 대한 로그 파일 남기는 법을 설명했는데요.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1886

mstest.exe는 내부적으로 작업 도중 QTAgent 유의 프로세스를 실행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테스트한 위의 글에서는 다음 위치의 "QTAgent32_40.exe"가 자식 프로세스로 실행됩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Common7\IDE\QTAgent32_40.exe

어떤 QTAgent EXE가 실행되는지는 mstest.exe.config에 설정한 로그 파일의 다음과 같은 내용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V, 18600, 4, 2019/05/08, 22:34:52.240, TESTPC\mstest.exe, Win32ProcessLauncher: Starting process,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Common7\IDE\QTAgent32_40.exe /agentKey cc716901-a8a3-492b-a81c-49c087b71e7e /hostProcessId 18600 /hostIpcPortName eqt-24b2d2e6-eeb3-4aa4-be77-56ccfd8beb3e...


물론 mstest.exe.config의 로그 설정은 QTAgent32_40.exe에는 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별도로 QTAgent32_40.exe.config 파일에 로그 설정을 해야 하는데 방법은 mstest.exe.config의 것과 동일합니다.

<?xml version ="1.0"?>
<configuration>
    <!-- ...[생략]... -->

    <!-- 참고: https://blogs.msdn.microsoft.com/aseemb/2010/03/07/how-to-enable-test-agent-logs/ -->
    <system.diagnostics>
        <switches>
            <add name="EqtTraceLevel" value="4" />
        </switches>
        <trace autoflush="true">
            <listeners>
                <add name="eqtlistener" type="System.Diagnostics.TextWriterTraceListener" initializeData="C:\Temp\TestRunner1.log"/>
            </listeners>
        </trace>
    </system.diagnostics>
</configuration>

이 설정을 하면, ".loadtest" 파일에 설정한 부하 테스트의 수행과 관련된 로그들이 남게 됩니다. 위의 설정에 따라 생성된 TestRunner1.log 파일의 내용을 보면 초기에 다음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no internal listener being created, appsetting set to 'no'

바로 저 내용이 How to enable test agent logs 글에서 설명한 appSettings의 CreateTraceListener 설정입니다. 해당 옵션을 "yes"로 설정하면,

  <appSettings>
    <add key="StopTestRunCallTimeoutInSeconds" value="5"/>
    <add key="LogSizeLimitInMegs" value="20"/>
    <add key="CreateTraceListener" value="yes"/>
    <add key="GetCollectorDataTimeout" value="300"/>
  </appSettings>

이번에는 mstest.exe 수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C:\temp> mstest.exe /testcontainer:c:\temp\test.loadtest
??Microsoft (R) Test Execution Command Line Tool Version 16.0.28326.58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Loading c:\temp\test.loadtest...
Starting execution...

Final Test Results:
Results               Top Level Tests
-------               ---------------
Not Executed          c:\temp\test.loadtest
0/1 test(s) Passed, 1 Not Executed

Summary
-------
Test Run Error.
  Not Executed  1
  ---------------
  Total         1
Results file:  C:\temp\TestResults\TestUsr_TESTPC 2019-05-08 22_44_48.trx
Test Settings: Default Test Settings

Run has the following issue(s):
Test host process exited unexpectedly.
Failed to queue test run 'TestUsr@TESTPC 2019-05-08 22:44:48': Unable to start the agent process.

원인은, 남겨진 TestRunner1.log 파일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W, 10900, 1, 2019/05/08, 22:44:48.582, TESTPC\QTAgent32_40.exe, AgentProcess:CurrentDomain_UnhandledException: Entered

W, 10900, 1, 2019/05/08, 22:44:48.590, TESTPC\QTAgent32_40.exe, EqtTrace: Unable to write to event log 'Application', source 'VSTTAgentProcess': The source was not found, but some or all event logs could not be searched.  To create the source, you need permission to read all event logs to make sure that the new source name is unique.  Inaccessible logs: Security, State.

E, 10900, 1, 2019/05/08, 22:44:48.590, TESTPC\QTAgent32_40.exe, AgentProcess:CurrentDomain_UnhandledException: IsTerminating :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The source was not found, but some or all event logs could not be searched.  To create the source, you need permission to read all event logs to make sure that the new source name is unique.  Inaccessible logs: Security, State.
   at System.Diagnostics.EventLog.FindSourceRegistration(String source, String machineName, Boolean readOnly, Boolean wantToCreate)
   at System.Diagnostics.EventLog.SourceExists(String source, String machineName, Boolean wantToCreate)
   at System.Diagnostics.EventLogInternal.VerifyAndCreateSource(String sourceName, String currentMachineName)
   at System.Diagnostics.EventLogInternal.WriteEntry(String message, EventLogEntryType type, Int32 eventID, Int16 category, Byte[] rawData)
   at System.Diagnostics.EventLog.WriteEntry(String message, EventLogEntryType type)
   at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Execution.ConfigurationHelper.LogError(String processName, String message)
   at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Execution.ConfigurationHelper.CreateTraceListener(String fileName, String processName)
   at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Agent.AgentProcess.Main(String[] args)
The Zone of the assembly that failed was:
MyComputer

즉,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는 이벤트 로그에 VSTTAgentProcess 소스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정상적인 실행을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관리자 권한으로 mstest.exe를 수행해야 하고, 이번에는 CreateTraceListener=yes 설정으로 인해 VSTTAgentProcess.log 로그 파일이 다음의 경로에 생성됩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Common7\IDE

사실, 이벤트 로그가 아니더라도 저렇게 Program Files 폴더에 로그 파일을 쓰게 되므로 결국 관리자 권한이 꼭 필요하게 됩니다. 그런데 VSTTAgentProcess.log 로그 파일을 보면 기존 로그(TestRunner1.log) 파일에 써진 내용과 거의 다른 점이 없습니다. 따라서 굳이 저 옵션을 켜서 불편하게 관리자 권한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5/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43정성태9/26/20246444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1]
13742정성태9/26/20246734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1]파일 다운로드1
13741정성태9/25/20245922디버깅 기술: 202. windbg - ASP.NET MVC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의 덤프 분석 시 요령
13740정성태9/24/20245771기타: 86. RSA 공개키 등의 modulus 값에 0x00 선행 바이트가 있는 이유(ASN.1 인코딩)
13739정성태9/24/20245921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ublic Key 파일 해석과 fingerprint 값(md5, sha256) 생성 [1]파일 다운로드1
13738정성태9/22/20245639C/C++: 174. C/C++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의 file descriptor, FILE*파일 다운로드1
13737정성태9/21/20246001개발 환경 구성: 727. Visual C++ - 리눅스 프로젝트를 위한 빌드 서버의 msbuild 구성
13736정성태9/20/20246010오류 유형: 923. Visual Studio Code - Could not establish connection to "...": Port forwarding is disabled.
13735정성태9/20/20246079개발 환경 구성: 726. ARM 플랫폼용 Visual C++ 리눅스 프로젝트 빌드
13734정성태9/19/20245789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13733정성태9/19/20246117VS.NET IDE: 194. Visual Studio - Cross Platform / "Authentication Type: Private Key"로 접속하는 방법
13732정성태9/17/20246170개발 환경 구성: 724. ARM + docker 환경에서 .NET 8 설치
13731정성태9/15/20246760개발 환경 구성: 723. C# / Visual C++ - Control Flow Guard (CFG) 활성화 [1]파일 다운로드2
13730정성태9/10/20246431오류 유형: 922. docker - RULE_APPEND failed (No such file or directory): rule in chain DOCKER
13729정성태9/9/20247179C/C++: 173. Windows / C++ - AllocConsole로 할당한 콘솔과 CRT 함수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3728정성태9/7/20246998C/C++: 172. Windows - C 런타임에서 STARTUPINFO의 cbReserved2, lpReserved2 멤버를 사용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3727정성태9/6/20247537개발 환경 구성: 722. ARM 플랫폼 빌드를 위한 미니 PC(?) - Khadas VIM4 [1]
13726정성태9/5/20247434C/C++: 171. C/C++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의 file descriptor와 HANDLE파일 다운로드1
13725정성태9/4/20246176디버깅 기술: 201. WinDbg - sos threads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request ThreadStore"
13724정성태9/3/20248029닷넷: 2296. Win32/C# - 자식 프로세스로 HANDLE 상속파일 다운로드1
13723정성태9/2/20248298C/C++: 170. Windows - STARTUPINFO의 cbReserved2, lpReserved2 멤버 사용자 정의파일 다운로드2
13722정성태9/2/20246034C/C++: 169. C/C++ - CRT(C Runtime) 함수에 의존성이 없는 프로젝트 생성
13721정성태8/30/20246063C/C++: 168. Visual C++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 두 번째 이야기
13720정성태8/29/20246221VS.NET IDE: 193. C# - Visual Studio의 자식 프로세스 디버깅
13719정성태8/28/20246372Linux: 79. C++ - pthread_mutexattr_destroy가 없다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까요?
13718정성태8/27/20247458오류 유형: 921. Visual C++ - error C1083: Cannot open include file: 'float.h': No such file or directory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