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6.0 이상의 문법을 컴파일 시 오류가 발생한다면?

지난번에도 이와 유사한 글을 남긴 적이 있는데요,

C# 6.0 이상의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명령행에서 컴파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66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빌드했을 때,

C:\temp\ConsoleApp1\ConsoleApp1> msbuild "ConsoleApp1.csproj"

Microsoft (R) Build Engine version 4.7.2053.0
[Microsoft .NET Framework, version 4.0.30319.4200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Build started 2019-05-10 오후 1:20:06.
Project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on node 1 (default targets).
Project file contains ToolsVersion="15.0". This toolset may be unknown or missing, in which case you may be able to resolve this by installing the appropriate
 version of MSBuild, or the build may have been forced to a particular ToolsVersion for policy reasons. Treating the project as if it had ToolsVersion="4.0".
For more information, please see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291333.
GenerateTargetFrameworkMonikerAttribute:
Skipping target "GenerateTargetFrameworkMonikerAttribute" because all output files are up-to-date with respect to the input files.
CoreCompile: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Csc.exe /noconfig /nowarn:1701,1702 /nostdlib+ /platform:anycpu32bitpreferred /errorreport:prompt /warn:4 /def
  ine:DEBUG;TRACE /highentropyva+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6.1\Microsoft.CSharp.dll" /refe
  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6.1\mscorlib.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
  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6.1\System.Core.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
  .6.1\System.Data.DataSetExtensions.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6.1\System.Data.dll" /r
  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6.1\System.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
  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6.1\System.Net.Http.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
  rk\v4.6.1\System.Xml.dll" /reference:"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4.6.1\System.Xml.Linq.dll" /debug+ /deb
  ug:full /filealign:512 /optimize- /out:obj\Debug\ConsoleApp1.exe /subsystemversion:6.00 /target:exe /utf8output Program.cs Properties\AssemblyInfo.cs "C:\Us
  ers\SeongTae Jeong\AppData\Local\Temp\.NETFramework,Version=v4.6.1.AssemblyAttributes.cs"
Program.cs(13,31): error CS1056: Unexpected character '$'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Done Building Project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default targets) -- FAILED.

Build FAILED.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default target) (1) ->
(CoreCompile target) ->
  Program.cs(13,31): error CS1056: Unexpected character '$'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0 Warning(s)
    1 Error(s)

Time Elapsed 00:00:00.29

C# 6.0에서 추가된 string interpolation 구문이 빌드되지 않는다면 사용된 csc.exe의 경로를 확인해야 합니다. 위의 내용을 보면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Csc.exe"라고 되어 있는데 따라서 .NET Framework에 기본 설치된 C# 5.0 컴파일러가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현재 자신의 빌드 환경에서 어떤 경로의 csc.exe가 사용되고 있는지는 where을 실행해 보면 됩니다.

C:\temp\ConsoleApp1\ConsoleApp1> where csc.exe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csc.ex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MSBuild\15.0\Bin\Roslyn\csc.exe

보는 바와 같이 C# 6.0 이상의 구문을 지원하는 Roslyn 컴파일러의 우선순위가 밀려 있는데 이를 (환경 변수의 잘못 설정된 PATH 등을 수정해) 바로잡아주면 정상적으로 프로젝트를 빌드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0/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66정성태5/12/201637100.NET Framework: 584.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1) - 기본 [1]파일 다운로드1
10965정성태5/12/201629902디버깅 기술: 81. try/catch로 조용히 사라진 예외를 파악하고 싶다면? [2]
10964정성태5/12/201627226오류 유형: 331. ASP.NET에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10963정성태5/11/201628738VS.NET IDE: 107. Visual Studio 2015의 "DTAR_..." 특수 폴더가 생성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2
10962정성태5/11/201627332오류 유형: 330.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시 DisconnectedContext 예외 발생
10961정성태5/11/201627981.NET Framework: 583. 문제 재현 - Managed Debugging Assistant 'DisconnectedContext' has detected a problem in '...'파일 다운로드1
10960정성태5/10/201626611오류 유형: 329. ATL 메서드 추가 마법사 창에서 8ce0000b 오류 발생
10959정성태5/9/201628113.NET Framework: 582. CLR Profiler - 별도 정의한 .NET 코드를 호출하도록 IL 코드 변경파일 다운로드1
10958정성태5/6/201656549개발 환경 구성: 284.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1) [3]
10957정성태5/3/201630300오류 유형: 328.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두 번째 이야기 [1]
10956정성태5/3/201627274Windows: 117. BitLocker - This device can't use a Trusted Platform Module.
10955정성태5/3/201634376.NET Framework: 581. C# - 순열(Permutation)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2
10954정성태5/3/201635054.NET Framework: 580. C# - 조합(Combination) 예제 코드 [2]파일 다운로드1
10953정성태5/2/201622414.NET Framework: 579. Assembly.LoadFrom으로 로드된 어셈블리의 JIT 컴파일 코드 공유?파일 다운로드1
10952정성태5/2/201626269.NET Framework: 578. 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가 비-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를 참조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0951정성태5/2/201624058.NET Framework: 577. CLR Profiler로 살펴보는 SharedDomain의 모듈 로드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950정성태5/2/201632665.NET Framework: 576. 기본적인 CLR Profiler 소스 코드 설명 [2]파일 다운로드2
10949정성태4/28/201622494.NET Framework: 575. SharedDomain과 JIT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10948정성태4/28/201628350.NET Framework: 574. .NET - 눈으로 확인하는 SharedDomain의 동작 방식 [3]파일 다운로드1
10947정성태4/27/201626582.NET Framework: 573. .NET CLR4 보안 모델 - 4. CLR4 보안 모델에서의 조건부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10946정성태4/26/201628647VS.NET IDE: 106. Visual Studio 2015 확장 - INI 파일을 위한 사용자 정의 포맷 기능 (Syntax Highlighting)파일 다운로드1
10945정성태4/26/201620822오류 유형: 327. VSIX 프로젝트 빌드 시 The "VsTemplatePaths"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오류 발생
10944정성태4/22/201623727디버깅 기술: 80.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찾는 방법
10943정성태4/22/201628983디버깅 기술: 79.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NET DLL을 추출/저장하는 방법 [1]
10942정성태4/19/201623767디버깅 기술: 78. windbg 사례 - .NET 예외가 발생한 시점의 오류 분석 [1]
10941정성태4/19/201623066오류 유형: 326. Error MSB8020 - The build tools for v120_xp (Platform Toolset = 'v120_xp') cannot be found.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